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깡통아파트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요

운지 조회수 : 5,383
작성일 : 2012-07-13 16:04:43
몇년 전 부동산 버블이 있던 시기에 빛을 무리하게 내서 비싼 아파트를 샀다가, 빛도 못 값고 집도 날리는 사람들의 처지를 빗대서 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모멸적인 표현에는 아파트라는 주거시설에 대한 총체적인 회의론까지도 깔려 있는 듯 합니다. '이제 아파트는 한물 갔다'거나 '아파트는 대지지분이 작아서 세월이 흐르면 감가상각 되고 깡통 된다'는 식의 논리죠.

그런데 아파트가 깡통이 되면, 단독주택이나 다세대나 연립도 똑같이 깡통이 되는 게 수순입니다. 또한 세월이 흘러서 낡는 건 아파트나 단독이나 다세대나 연립 다 마찬가지입니다.

아파트가 싫다고 다세대를 선택할 사람은 없을테고, 대안은 단독일텐데.. 서울 요충지에 단독주택 사려면 가격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상위 0.1%가 아니면 힘들겁니다.

그렇다고 수도권 외곽 전원주택? 이건 아파트보다 더 깡통이 됩니다. 아파트야 가격이 폭락해서 그렇지 환금성이라도 있지만, 전원주택은 거래마저도 안됩니다.

물론 아파트의 대지지분이 작은 건 사실입니다만, 어차피 때려부수고 재건축해서 일반분양 왕창 받을거 아니면 대지지분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즉 단독주택이 대지지분이 많기는 하지만, 그 단독을 부수고 대지지분을 활용해 원룸이나 다세대를 올려서 월세를 받아먹을게 아니라면 대지지분이라는 것도 뜬구름이나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만약 대지지분 많은 아파트가 낡으면? 이미 용적률이 높기 때문에 재건축 과정에서 많은 일반분양은 불가능할테고, 1:1 재건축을 하거나 대수선 리모델링을 하거나, 증축 리모델링을 해야 할겁니다. 

이 경우 집주인들의 재정상황에 따라 방향이 달라지겠죠. 집주인들이 돈이 썩어넘치게 많은 동네라면 분담금 3~4억원씩 각오하고 1:1 재건축을 할 것이고, 그게 아니라면 배관 및 보일러, 도색, 철근 보강, 주차장 리모델링 정도에 그치는 대수선 리모델링을 하겠죠. 기존에 모아둔 수선충당금에 합쳐서요. 그런데 이건 아파트 뿐 아니라 다세대나 단독주택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리모델링 비용에서는 수백가구가 모여 있는 아파트가 한꺼번에 공사를 하는 것이 단독보다 더 싸게 먹힐 수도 있죠. 

따라서 현재 초토화된 부동산 시장의 실상을 표현할 때 '아파트는 한물 갔다'고 하는 것 보다는 '주택은 한물 갔다', 또는 '부동산은 한물 갔다'고 하는 게 설득력이 있을 듯 합니다.

IP : 121.166.xxx.13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7.13 4:07 PM (115.21.xxx.185)

    단독주택은 '대지지분'이 있는 게 아니라 '등기 된 자기 땅'이 존재합니다.
    아파트는 자기 땅이 없어요. 건물만 있는 거라서 사실상 '부동산'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건물을 허무는 순간, 아파트 소유자분들에겐 땅은 사라지는 거에요.
    자기 땅 지분에 자기 마음대로 뭘 할 수 없어요.

    아파트 소유자분들이 착각하시는 게 '대지지분 = 내 땅'이라는 겁니다.
    두 개는 법적으로 아예 달라요.

  • 2. ...
    '12.7.13 4:34 PM (218.236.xxx.183)

    전원주택이 들어갈 때 마음하고 달리 이래저래 나오는 분들도 많고
    막상 팔려고 하면 들어간 돈도 못받는 일 많은건 맞아요...

  • 3. ㄹㄹ
    '12.7.13 5:51 PM (110.14.xxx.201)

    뭐 이런 생각하시는 분은 하는거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2344 21단자전거 어디서 사야 싸게 살수 있나요? 6 비단물결 2012/07/23 926
132343 가지를 한번도 안먹어봤는데요 10 궁금 2012/07/23 3,008
132342 고등학교 문과가 이과보다 성적받기가 더 수월한가요? 7 ? 2012/07/23 3,259
132341 재미난 티비프로그램 추천해주세요 1 드라마제외 2012/07/23 953
132340 (급)도와주세요ㅠㅠ 손안닿는 곳에 매실액을 엎었어요 4 zoo999.. 2012/07/23 1,592
132339 2000에90짜리 1000에100에 세주는거 위험할까요?? 5 .. 2012/07/23 2,041
132338 너무 외로워서 4 82쿡 2012/07/23 2,250
132337 시댁에서 자꾸 아기 가지라고 재촉하시는 경우 어떻게 현명하게 대.. 16 아가 2012/07/23 5,056
132336 무릎이 시큰거리고 아프신 분들 보세요. 46 무릎 안좋은.. 2012/07/23 68,882
132335 손바느질이나 미싱으로 돈벌수 있는거 뭐가 있을까요? 4 손재주 2012/07/23 2,368
132334 저는 넘 맛있게 해먹었어요. 1 또띠아호떡 2012/07/23 2,175
132333 변압기쓸때요.. 2 궁금.. 2012/07/23 867
132332 한약 어떨까요? 5 면역력 높이.. 2012/07/23 1,197
132331 얼굴이 흘러내리는 것 같아요...ㅠㅠ 50 bb 2012/07/23 19,589
132330 그래도 양원경이 행사같은거 뛰고 하면서 한달에 10 ... 2012/07/23 5,823
132329 해피투게더 또띠아 호떡 2 무슨맛? 2012/07/23 2,504
132328 물솥 꼭 따로 사야 되나요? 3 떡초보 2012/07/23 1,099
132327 매머드 보고 왔어요 mama 2012/07/23 1,010
132326 어디다 알아볼까요? 3 .. 2012/07/23 771
132325 임성민씨 처럼 영어 할려면... 44 ........ 2012/07/23 20,655
132324 "4대강 보에서 발암물질 남조류 대거 발생" .. 1 샬랄라 2012/07/23 1,140
132323 "클로버문고" 기억하세요? (유리의성, 대야망.. 8 ... 2012/07/23 1,608
132322 골프 처음 배울때 필요한것들 알려주세요. 6 .. 2012/07/23 4,955
132321 성범죄 "집행유예선고율 37.3%에서 54.6%로 늘어.. 2 참맛 2012/07/23 756
132320 만두 속 3 .. 2012/07/23 1,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