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렸을때 가난하게 자란 사람이 짜게 먹는편인가요

... 조회수 : 3,741
작성일 : 2012-03-22 18:08:34
제 개인적인 경험상 조금 영향있는것 같더라구요 저도 짜게 먹 거든요 어렸을때 가난한편이어서 반찬듷이 죄다 짰어요 그입맛이 변하짛않는거같아요
IP : 118.33.xxx.15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3.22 6:11 PM (59.7.xxx.28)

    남편은 부유하게 자랐고 저희 친정은 가난했는데 제가 더 싱겁게 먹어요
    미각도 더 남편보다 예민하고..
    남편은 비위가 좀 약한편인데 얼큰하거나 짜지않으면 잘 못먹는것같아요
    애들 중에도 비위가 약한 큰애가 좀 짜게 먹는 경향이 있고..

  • 2. ,,,,
    '12.3.22 6:13 PM (119.71.xxx.179)

    건강에 신경을 많이 안써서 그런거 아닐까요?

  • 3. ㅇㅇㅇ
    '12.3.22 6:20 PM (210.117.xxx.96)

    매식을 많이 하는 사람이 짜게 먹어요.

  • 4. ....
    '12.3.22 6:34 PM (222.234.xxx.193)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제 개인적인 느낌으로보자면...

    먹는 걸로 스트레스를 풀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니까 더 맵고 더 얼큰하고 그런 걸 찾게 되는거같아요.

    가난과의 연관성은 잘 모르겠네요.
    아무래도 빈곤하게 되면 패스트푸드나 안 좋은 음식을 먹을 확률은 증가하구요

  • 5. 전혀;;
    '12.3.22 6:41 PM (121.136.xxx.28)

    아닌것같아요
    저희 아버지는 그야말로 도련님소리 들으면서 크셨는데 엄청 짜게 드시고
    엄마는 싱겁게..드시죠
    그래서 어릴때 집 음식은 늘싱겁고 그랬는데
    저도 꼬마때부터 짠걸 엄청 좋아했어요엄마가 그렇게 안먹이는데도
    제가 제일 좋아한건 백숙, 곰국이었죠..소금을 따로 주니..아주 짜게 퍼먹을수 있어서..ㅎㅎ
    가끔 제가 남긴 곰탕국물 아버지가 드실때가 있었는데 그때마다 놀라서 소릴 지르셨어요 넌 소금국을 먹냐고

  • 6. 럽진
    '12.3.22 6:44 PM (122.38.xxx.4)

    전 돈 없을때 일부로 좀 짜게 했어요
    그럼 밥을 많이 먹을 수 있으니까 엉엉

  • 7. 그닥;;
    '12.3.22 6:51 PM (175.206.xxx.211)

    저희 집은 진짜 싱겁게 -_- 음식 고유의 맛을 살리면서 조리하시는데 (건강상의 이유도 있고 신념이기도해서)
    저는 윗윗분 처럼 오히려 나가서먹으면 짜게 먹을 수 있어서 너무 신났어요 -_-;;;;
    제 남편도 -_- 철저한 식단 관리를 받으며 자라와서
    둘이 결혼을 하니 반찬이 아주 -_-;;;;; 게다가 둘다 밥 보다 반찬을 더 많이 먹어서 -_-
    조만간 고혈압으로 뭔가 일 치를 거 같아서 요즘은좀 조심하고 있네요.

  • 8. 엘라
    '12.3.22 7:12 PM (121.165.xxx.175)

    돈 보다는 고향이 영향 있는 경우 있어요. 시댁이 호남인데 젓갈 왕창 넣습니다. 무지하게 짠 건 아닌데 먹고나면 물 먹고 싶어요....

  • 9. ..
    '12.3.22 7:16 PM (203.249.xxx.31)

    음식을 짜게 만드는건 심리적으로 참아야할일이 많은 즉 맘고생을 많이 한 사람들의 경우가 많답니다.

    짜게 음식 만드는분은 안쓰럽게 봐주세요.
    저도 이얘기 듣고는 달리 보이더라구요.

  • 10. ..
    '12.3.22 7:25 PM (118.43.xxx.167)

    남쪽 지방이 좀 짜게 먹는 경향이 있었어요. 지금은 건강 생각해서 싱겁게 많이 먹지만요.
    옛날엔 냉장고도 없던 시절엔 남쪽지방은 더 따뜻했기때문에 저장성때문에 짜게 먹었다고 하네요.
    그게 습관이 되서 짜게 먹구요.
    특히 바닷가쪽 지방이 많이 짜게 먹습니다.
    우리 시댁도 바닷가쪽 남쪽지방인데 처음엔 짭쪼름하게 드셨는데 아주버님이 자꾸 싱겁게좀 하라고 하셔서 지금은 엄청 싱겁다는..ㅋㅋㅋ
    우리 남편도 처음에 결혼했을때 짜게 먹더라고요.
    지금은 많이 싱겁게 먹고 있습니다.
    그리고 노인의 경우 단맛과 짠맛이 둔하기 때문에 짜게 먹습니다.
    그래서 조부모님이 손주를 키우는경우 짠맛이 길들여지기 쉬워 키가 잘 크지 않는 경우도 있다죠.

  • 11. ==
    '12.3.22 7:51 PM (211.108.xxx.32)

    빈부 격차가 음식의 염도에 주는 영향에 대한 일고찰...
    이런 정도의 논문이 나오지 않는 한
    허황된 가설 수준에도 못 가는 단상일 뿐이네요.
    저희 집 가난한데 무지 싱겁구요
    저희 시가 쪽 친척은 부자인데 무지 짜요.

  • 12. ...
    '12.3.22 8:50 PM (121.157.xxx.159)

    저희 친정 꽤 살았어요.
    기사아저씨가 등교시켜주시고 저희집에 영화 찍으러 올정도로...
    그런데 짜게 먹습니다.
    부모님 고향이 전라도세요.. 아마 지역특성 아닐까 싶네요

  • 13. 지역특성상
    '12.3.23 12:03 AM (14.52.xxx.59)

    그런것도 있고(이건 저장성의 문제일수도 있지만 전라도 쪽 곡창지대는 대지주만 부자였을 확률이 높죠)
    거슬러 올라가면 반찬을 풍족하게 못 차릴때 좀 짜게 만들죠
    그리고 그 입맛에 길들여지면 습관처럼 짜게 먹구요
    스트레스 받을때 음식 간이 세지는건 저도 어느정도 공감해요
    매운거 왕창먹고 후식으로 단거 팍팍 퍼먹으면 스트레스 좀 풀리거든요 ㅠ
    지금 당장 잘사는 사람 말고 거슬러 올라가면 비슷하게 맞을것도 같네요

  • 14. 짱스맘
    '12.3.23 1:15 PM (182.215.xxx.89)

    내가 나고 자란 엄마의 손맛에 따른 거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8940 전화 바꿔줄때 보통 '***입니다'라고 말 전해 주면서 바꿔주지.. 6 사무실 전화.. 2012/03/29 933
88939 어제 이태원 상가 GM?? 말씀해주시던데.. 음.. 2012/03/29 563
88938 낼모레영화보려고하는데 추천좀요 날수만있다면.. 2012/03/29 437
88937 강정한라봉이 왔어요..대박맛있네요..+조금 섭섭했던얘기 3 ㅇㅇㅇ 2012/03/29 1,286
88936 몇 천원하는 애들 옷 사러 갔다가... 3 땡땡이 2012/03/29 1,450
88935 답이없어요..ㅠ 1 ,. 2012/03/29 765
88934 종부세, 양도세, 50% 소형의무 재건축을 원하시면 민주당 뽑읍.. 4 개념강남인 2012/03/29 968
88933 5캐럿 다이아몬드 매매, 어떻게 해야 할까요(도움 절실합니다) 4 다이아 2012/03/29 5,053
88932 “인사를 잘 안받아주시네요 .. 2012/03/29 625
88931 음식은 고유문화라서 1 쉽진않겠지만.. 2012/03/29 534
88930 오늘의 사진 . 5 음하하 2012/03/29 1,567
88929 까마귀를보거나 소리들으면 정말 나쁜일이생기네요ㅜㅜ 18 사랑달 2012/03/29 9,409
88928 저 아무래도 인터넷중독인거같아요 ㅜ.ㅜ 3 미치겠다 2012/03/29 962
88927 대졸 자녀 취업 시기를 알고 싶어요. 2 대졸 취업 2012/03/29 896
88926 호텔 부페 추천해주세요 7 궁금이 2012/03/29 1,688
88925 요즘 부동산얘기가 많아서..이거참고하시라고 4 어이쿠 2012/03/29 2,508
88924 웃기는 내 동생 좀 보세요, 3 울동생 2012/03/29 937
88923 처방받은 수면제가 효과가 없네요 - 3 효과꽝 2012/03/29 1,429
88922 보험레진 or 비보험레진 8 치과치료 2012/03/29 14,437
88921 KB 스마트 폰 적금 추천부탁드려요^^ 1 ^^ 2012/03/29 565
88920 오십줄에 빚에서 벗어날려나 2 현수기 2012/03/29 1,209
88919 초등아이들 용돈 주시나요 8 2012/03/29 1,080
88918 돈벌러 갈테니... 걱정마쇼.. 15 치.... 2012/03/29 2,879
88917 이해가 어려운 시아버님 1 이해힘들어 2012/03/29 955
88916 MB심판의 새벽이 밝았다! 5 세우실 2012/03/29 1,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