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0년 지켜온 예금자보호법 원칙 무너져

뭐가뭔지 조회수 : 1,945
작성일 : 2012-02-10 14:38:17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20210115105398
 
???
IP : 58.226.xxx.18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10 2:40 PM (121.161.xxx.231)

    ㅅㅂ 지네들이 다 해쳐먹고 돈은 또 우리가 내야되는군..아놔ㅋㅋㅋㅋㅋ

  • 2. 당연히
    '12.2.10 3:08 PM (121.147.xxx.151)

    원칙 적용해야지요.
    한도 이상을 저축은행에 예금하는 이유는
    이자를 더 받으려고 만약의 수에 피해볼 것도 생각하고 있는 건데
    한도 이하밖에 예금 못하는 돈 없는 사람들이나
    분산투자의 불편을 감수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골탕먹게 생겼네...
    원칙이 없는 세상이 되면 날파리 쥐떼만 좋은 세상이 되건만

  • 3. 결정된거 아니죠?
    '12.2.10 3:20 PM (112.168.xxx.63)

    이건 말도 안돼는 거죠.
    법도 필요없고 아무 원칙도 필요없는게 되잖아요.

    내가 왜 남의 예금까지 책임져줘야 하냐고요.
    완젼 미친것들이에요.

  • 4. 눈팅
    '12.2.10 3:59 PM (210.108.xxx.55)

    저축은행 사태는 정부의 책임도 일정부분 있어 보입니다.
    금융감독원 검사때 부실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고 허위공시할 수 있도록 도와준 꼴이니까요
    만일 이런 일이 미있국에서 발생하였면 아마 정부가 전액 보장해줘야 할수도 있습니다.
    이번 저축은행의 경우는 원래 5천만원까지는 예금보장이고 초과붕에 대해 55% 보상하는 걸로 되어 있습니다. 본인 책임도 45% 지게 되니까 예금자도 여전히 피해 많이 보게 되죠
    참고로 어제 미국에서는 개인들의 모기지론 피해에 대해 5개 대형상업은행과 정부간에 260억불의 벌금에 합의하였습니다. 30조원의 거액입니다. 은행의 명확한 책임은 없지면 차입자를 올바로 계도하지 못한 책임이라고 할까요...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경우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죠. 개인은 정확한 재무제표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정부가 감독권자로서 금융기관에 대한 올바른 감독이 필요한거죠
    이러한 차원에서 정부의 책임을 인정하는 것 (궁극적으로는 세금이고 잘못된 정부를 둔 국민들의 비용이겠죠)은 어느정도 합리적이라 판단됩니다. 정치적으로 해결된게 문제이긴 하지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604 아기가 감기가 심한데 뭘 먹이면 좋을까요??ㅜㅜ 3 아기기침.... 2012/02/10 1,058
69603 서브웨이보다 엄청 비싼 파리 바게트..... 14 분당 아줌마.. 2012/02/10 4,717
69602 15인분 도시락 싸는 시간 얼마나 걸릴까요? 8 dlgld 2012/02/10 1,326
69601 졸업식날 절대!! 짜장면 안먹기로 했어요 9 휴~ 2012/02/10 3,432
69600 10년 지켜온 예금자보호법 원칙 무너져 4 뭐가뭔지 2012/02/10 1,945
69599 가끔 학교 순위 올리시는분 글 문의. 교육게시판 2012/02/10 601
69598 급...생초콜릿 만들어 보신분 ? 1 발렌타인 2012/02/10 678
69597 중학생 참고서 구입.. 3 사오 2012/02/10 1,113
69596 난동부리는 부모 7 큰딸 2012/02/10 2,513
69595 교복 사면 수선도 해주나요? 7 수선 2012/02/10 1,176
69594 곧 있으면 아가씨 생일인데요.. (선물 관련) 3 고민... 2012/02/10 1,194
69593 봉주 5회 아직 다운못받으신 분 링크 올려요~ 봉주5회 2012/02/10 732
69592 아이가 보기 너무 유치했을까요? 5 졸업식꽃다발.. 2012/02/10 1,244
69591 옷장 설치하다가 장판을 전기톱으로.. 3 2012/02/10 1,391
69590 순간 순간 열이 치받아요. 4 갱년기 증상.. 2012/02/10 1,965
69589 샐러드 드레싱 만들기가 왜이리 어려울까요? 20 힘들어요 2012/02/10 3,088
69588 어디를 가면 사람을 많이 사귈수 있을까요. 2 .. 2012/02/10 1,546
69587 이런 트라우마..극복..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5 남에게 베푸.. 2012/02/10 3,857
69586 새마을금고, 신협, 단위농협 비과세 어디가 좋을까요? 6 ... 2012/02/10 4,295
69585 나꼼수 봉주5회, 나꼽살 11회 올라왔어요^^ 1 분열말자 2012/02/10 1,027
69584 '이 대통령 친형' 이상득, 마침내… 1 세우실 2012/02/10 1,015
69583 저 그냥 가만있는게 낫겠죠?? 5 캔디 2012/02/10 1,749
69582 이런경우엔 같이 안사는게 맞을까요? 14 결혼 1년차.. 2012/02/10 3,738
69581 역삼역..스타타워 부근에 사는데 요가 다닐곳 찾아요~ 2 어디 2012/02/10 1,031
69580 아는 사람이 미국 한의사 코스를 하러 갔는데... 그럼 한국에 .. 5 궁금 2012/02/10 2,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