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분단비용이 많을까? 통일비용이 많을까?

safi 조회수 : 948
작성일 : 2012-01-22 20:29:18

*분단비용

분단되어 있는 기간 동안 계속해서 들어가는 비용이지요.  이미 60년이 넘도록 계속해서 분단비용이 들어가고 있고

앞으로도 들어가게 될텐데요. 군사비 지출이 무엇보다 가장 크죠. 대포사고, 전투기 사고 해병대 병사들이 밤새 서해를 지키도록 초소도 세우고, 북한군함이 상륙하지 못하도록 구조물도 세우고... ...

그리고 또 북한이 막고 있어서 우리가 동북3성으로 직선 비행을 못하니 항공비용과 물류비용등의 운송비가 불필요하게 계속 줄줄 세고 있지요.

물론 코리아 디스카운트 비용, 국제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경제가 저평가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북한이라는 위험요소 때문이라는 건 뭐 다 아는 사실이지.. 이 막대한 경제적 마이너스를 계산하면 군사비 지출한 것보다 더 많을지도 모르죠!?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문제도 아닌데 세계에 무슨 이상 기류라도 생기면 대한민국에 투자된 외국 자본이 제일 먼저 빠져나간다죠~~

분단상태를 지키기 위해서는 요런 비용들이 굵직굵직하게 계속 낭비된다는 것...

또한 전쟁에 대한 두려움, 공포감,

천안함 장병들의 생명, 북핵문제 등의 돈으로 계산 못할 무수한 비용과 희생이 분단비용으로 지출되고 있지요.

 

*통일비용

우선 중요한 것은 통일비용을 마치 북한을 남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비용으로 오해하면 안 된다는 겁니다.

그것은 통일비용으로 책정하는 것이 아니라 통일 이후에 생각해야 할 문제인겁니다. 요걸 생각하느라고 통일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통일 이후에 북한 경제를 어떻게 할 것이냐를 생각하다가 북한에 죽어가는 우리 동포들을 영영 구해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

통일은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 통일비용은 사람을 살리는 비용!

통일 이후의 비용은 어떻게 사느냐? 더 잘 사느냐의 덜 잘 사느냐의 문제라는 것!!

 

통일비용은 계속해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한시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이지만

분단비용은 통일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들어간답니다. 그리고 통일되고나면 분단비용으로 지출된 상당부분들이 무용지물이 되거나 폐기물처리해야 한다는 것.

그러나 통일비용은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남는 비용이지요.

대한민국 땅이 넓어지죠, 지하자원이 엄청나게 늘어나죠. 무엇보다 생명을 살리게 되니 말입니다.

 

쩐의 원리로도 통일이 분단보다 나은 것 같은데... 아닌가요???

IP : 220.79.xxx.6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의부터 명확히
    '12.1.22 9:53 PM (123.243.xxx.112)

    분단 비용은 무슨 이유로 무엇무엇이고
    통일 비용은 무슨 이유로 무엇무엇인지부터 명확히 선을 긋고 정해야
    비교할 수 있지요.

    베트남이건 예멘이건 독일이건,
    나뉘었던 나라들이 통일한 사례들을 보면 통일 비용이 확실하게 천문학적이라는 건
    분명히 드러나 있는데,
    분단비용이란 건 실체가 명확하지 않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826 부자패밀리님.잘 걷는 팁좀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2 아리 2012/01/30 1,948
64825 오븐요리?? 노하우좀 알려주세요.. 7 루비 2012/01/30 1,991
64824 이외수 ‘돈봉투 연루자’에 일침 “뇌를 분실하셨나” 참맛 2012/01/30 1,044
64823 다이어트 일기 1일 9 꼬꼬댁 2012/01/30 1,558
64822 직장다니시는분들 영어공부 어떻게하세요? 3 영어 2012/01/30 1,460
64821 새로운것을 시작하는데 두려움이 큰 아이 어떻게 키워야 할까요? 5 엄마 2012/01/30 1,705
64820 머리빗 어떻게 청소하나요? 5 엔쑤지아스틱.. 2012/01/30 2,466
64819 방학중에 중고생이 다니닐수있는 토플학원이 있나요? 1 서울에서 2012/01/30 1,426
64818 서울시내버스 내부 cctv 보존 기간? cctv 2012/01/30 9,548
64817 미사드리고 왔는데..질문이 있어요~ 9 .. 2012/01/30 2,469
64816 1월 30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1 세우실 2012/01/30 1,068
64815 남편빚 갚아주어야 하나요 10 고민 2012/01/30 4,375
64814 가카의 감자줄기 같은 꼼수, 깔끔하게 도표 정리 7 가카 연대기.. 2012/01/30 1,541
64813 아일랜드나 네덜란드에서 사올만한 약, 화장품 등등 어떤게 있을까.. 1 궁금해요 2012/01/30 2,811
64812 이 가방 어떤지요? 5 흐흐 2012/01/30 1,692
64811 애정만만세 오늘 방송에서 천호진이 어떻게 된거에요 .. 2012/01/30 2,503
64810 냉인지..뭔지 좀 봐주세요 2 검색 2012/01/30 1,456
64809 서울에 부모님 사실 아파트 어디가 좋을까요 8 2012/01/30 2,423
64808 무턱수술잘하는병원에서 수술해도 부작용 생길까요 3 심각 2012/01/30 1,851
64807 초6올라가는 아들 영어가 제로에요 도움글절실 16 무지엄마 2012/01/30 2,608
64806 한나라, `고교 무상교육' 추진키로 9 참맛 2012/01/30 1,347
64805 테니스 즐겨 보시는 분.. 8 000 2012/01/30 1,604
64804 쌀에 바구미가 많았는데(작아서 잘안보인알)밥 해먹었는데 괜찮을까.. 2 아휴 2012/01/30 2,238
64803 다시는 일본 여행 못간다 생각하니 좀 슬퍼요 53 ㅁㅁ 2012/01/30 9,466
64802 연하게 색 나는 립밤 추천해주세요 2 입술보호겸 .. 2012/01/30 1,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