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말정산 토해내신 분들~~

엉엉엉 조회수 : 4,886
작성일 : 2012-01-19 17:18:50

미혼에 부양가족이 없어서 그런지 매년 토해내고 있는데

 

매년 그 금액이 껑충껑충 뛰네요 ㅜ.ㅜ

 

올해는 60이에요. 어떤 분들은 미리 낼 세금 나중에 내는 거니 괜찮다..하시지만

 

당장 2월 월급에 큰 여파를 미치니 신경 안쓸 수가 없네요.

 

그리고 괜히 엄마말 듣고 주택 마련저축을 3년 부었다가 해지한적이 있는데 너무 후회돼요..

 

다시 들려고 해도 2009년 이전 가입자만 소득공제 된다네요..

 

1월에 정신 차리고 연금저축이랑 주택마련저축이랑 청약이랑 다 다시 들까 하는데

 

효과가 있을까요?

 

아님 소득공제용으로만 들기엔 별로일까요??

IP : 123.254.xxx.248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별로 소용없어요
    '12.1.19 5:22 PM (115.161.xxx.209)

    아주 미미하게 줄긴합니다.
    결혼해서 아이없어서 저희도 심할땐 100까지 토한적있거든요...

  • 2. ..
    '12.1.19 5:24 PM (121.168.xxx.32)

    저흰 작년에 300정도 토했고 같은회사 부양가족없는 총각은 700넘게 토했어요~ㅎㅎ
    작년엔 보너스가 좀많이나와서 그랬었고
    올해는 안되겠다 싶어서 연금보험 가입했는데...보너스도 한푼도 안나와주는 바람에
    오히려 이번엔 200 좀 안되게 받게됐어요
    요즘 연말정산엔 연금보험 필수라던데...안들으셨음 연금보험 알아보세요

  • 3. ..
    '12.1.19 5:26 PM (211.40.xxx.228)

    전 맞벌이고 남편에게 부양가족등등 다 밀었더니 77만원 내야하네요.
    남편은 40만원 환급...
    짱돌 굴려봐도 세율구간이 같기에 남편 기분좋으라고 남편 환급받으라고 했네요.

    연금저축 얼마전 글에 해지나 만기에 연금받을려면 손해라는 글 보셨잖아요..
    소득공제용으로만 들었다가 큰코다칠지도 몰라요.
    저도 남편도 가입안했어요..

  • 4.
    '12.1.19 5:31 PM (58.145.xxx.210)

    보험이나 기부금같은것 없으세요?
    저도 미혼이고 딸린 식구 없지만, 보장성 보험 100만원 한도 공제 받고, 기부금 공제 받으니 뱉어내지는 않아요.
    계산기에 이것저것 넣었다 뺏다 시뮬레이션 돌려보시고, 올해부터는 차분하게 준비하셔서 내년에는 돌려 받으세요 ㅠㅠ

  • 5.
    '12.1.19 5:32 PM (58.145.xxx.210)

    아, 그리고 저도 연금저축 찾아봤는데, 연봉 5천 이하는 연금으로 공제 혜택보는 정도가 크지 않다고 해요. 괜히 10년 못채우고 해약하면 그게 더 손해일것 같아서, 저도 그건 안하려구요.

  • 6. 엉엉엉
    '12.1.19 5:36 PM (123.254.xxx.248)

    원글)네~ 기부금은 지정기부금으로 33만원 정도 내고요~ 보험도 종신으로 80만원 가량 내는 거 있어요~그런데도 이러네요~연금저축은 반대인 분들도 많아서 다시 생각해봐야겠네요~^^

  • 7. 근데
    '12.1.19 5:37 PM (112.168.xxx.63)

    보통 소득에 대한 세금 정산을 하는 거잖아요.
    소득에 비해 덜 냈으면 더 내는거고 더 냈으면 돌려 받는 거고..

    궁금한게
    보통 직장인들은 매달 소득액에 맞는 소득세를 차감하는데
    연말정산 할때 금액 차이가 많이 나서 토해내는 경우가 그리 많을까..하는 거에요.
    매달 소득액에 맞는 소득세를 차감을 안한건지 조금 차감한건지...


    저흰 매달 맞게 차감하는데도
    연말정산때 보면 내야할 소득세가 조정되어서 좀 차이가 나긴 하더군요.
    소득세가 전년도 기준 세율로 차감하다 정산을 하니 차이나는 것인지..

  • 8. -_-
    '12.1.19 5:38 PM (211.244.xxx.39)

    위에 삼백,칠백 토해냈다는분..
    도대체 연봉이 얼맙니까?
    매월 소득세주민세 공제안하고 연말정산때 한꺼번에 내나요???

  • 9. 깍뚜기
    '12.1.19 5:39 PM (124.63.xxx.27)

    연금보험이나 연금저축은 판단을 잘 해보셔야 하고요,
    또 소득세율 구간에 따라서 공제 효과가 별로 일 수도 있고요.

    만약 무주택 세대주라면 청약저축은 들만 해요. 어차피 한 달에 10만원 적금 붓는다 생각하고
    나중에 장기전세나 청약 받을 수 있으니까요. 이자도 주니까 조건이 된다면 청약 저축 고려해 보세요.

  • 10. ..
    '12.1.19 5:42 PM (119.202.xxx.124)

    연말 정산에 목숨걸지 마세요.
    공제 몇 푼 받으려고 연금보험들고 뭐하고 나가는 돈이 수십배 될거에요.
    기왕 내야 하는 세금
    세금 내는 것도 일부는 좋은 일에 쓰이니 넓은 의미에서 기부라 생각하고 맘편하게 내는게
    정신 건강에 도움됩니다.

  • 11. 65만원ㅠ
    '12.1.19 6:04 PM (122.34.xxx.11)

    미혼도 아니고 아이도 하나 있는데도 올해는 토해내야 한다네요.작년에는 4만원이던가
    공제 받는다고 나오더니만 올해는 왜이리 많이 나가는지 너무 속상해요.

  • 12. 글쎄요
    '12.1.19 6:04 PM (203.248.xxx.14)

    저희는 작년에는 450만원 환급받았는데 올해는 환급분이 200만원도 채 안됩니다.
    물론 작년까지 어머니 병원비가 천만원이상 나왔고 장마저축으로도 환급 꽤 받았는데..

    어머니 작년에 돌아가시고 거기다가 연봉이 8800만원(연봉 9600만원) 이상이라고 장마저축도
    올해부터는 환급대상이 아니라네요..

    이미 원천징수로 900만원정도 세금냈던데...
    연금저축,신용카드,보험 등으로 한도를 꽉 채워도 200만원도 채 환급 못받으니 좀 억울하네요.

  • 13. 속상해요
    '12.1.19 6:25 PM (115.161.xxx.209)

    유리지갑들은 1원 하나라도 다 털리고......
    절세할수있는 방법있으면 최대한 하고싶어요.

  • 14. 미미
    '12.1.19 6:37 PM (175.193.xxx.38)

    원글님 연봉 어느정도 되시는지 몰라도 8800만원 이상 최고등급세율 구간 아니시면
    연금저축은 소득공제용으로는 기대하시지 않는게 좋아요. 그거 정확히 계산해놓은 사이트도 있다고 하네요.
    지금 당장 몇푼 소득공제 받으실지는 모르지만, 이후에 연금으로 받으실때 세금 5% 정도 떼구요, 만일 그때가서 원글님께서 다른 연금까지 합쳐서 많이 받으시면 세금 더 많이 내야할지도 몰라서요.
    위에 연봉이 얼마면 3~400 돌려받는지 궁금해하시는 분 계시네요.
    저희 남편 보니까 연봉 3억 좀 넘는데, 7~800만원 돌려받는 해도 있고, 작년엔 680만원 토해냈고 그러네요.
    이게 해마다 다른 이유는, 달달이 떼는 세금은 그 이전해 소득을 기준으로 떼는데, 그 해에 갑자기 인센티브를 몇천~억 단위로 받게되면, 아무래도 그 인센티브에 대한 세금이 제대로 안매겨지고 간이세금 형태로 내는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연말정산에서 제대로 정산하는 듯.
    어차피 낼 세금 내는거니까 돌려받든, 토해내든,, 다 조삼모사인데, 이상하게 이것이 돌려받으면 기분 좋고 토해내면 아까워서 미칠것 같은 ㅜㅜ

  • 15. 미혼은..
    '12.1.19 6:47 PM (218.234.xxx.17)

    미혼은 진짜 많이 토해네요. 부양가족(노부모) 외에는 방법이 없어요.
    같이 모시고 살지 않아고, 자녀 중에 한사람만 가능하니까 형제들에게 올라 있지 않으시다면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올리세요. 65세 이상, 70세 이상 이면 공제 폭이 더 커져요.

  • 16. 속쓰려
    '12.1.19 7:06 PM (220.116.xxx.48) - 삭제된댓글

    작년에400토해냈어요ㅠㅠㅠ환급은 커녕 매년 토해내느라 속이 헐어요....다달이 세금 꼬박꼬박 떼어가더니만 뭘 그리 떼는지 눈 돌아가겠어요ㅠㅠ

  • 17. 저도
    '12.1.19 7:30 PM (121.157.xxx.159)

    남편한테 밀어주니 해마다 토해 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381 영드 셜록 시즌2 보신 분들? (스포) 21 반지 2012/01/28 2,063
64380 콜리플라워 아스파라거스 어디서살수있어요? 3 자연식 2012/01/28 838
64379 수동 운전 재미있나요? 13 ..... 2012/01/28 2,566
64378 서울시의 일그러진 영웅 학생인권 말아먹다! safi 2012/01/28 732
64377 8개월 아가가 아토피래요 17 ㅜㅜ 2012/01/28 2,281
64376 굿하고 남은 음식 드시나요? 13 굿 2012/01/28 11,651
64375 나중에 자식한테 고대로 받는다는말.. 케바케인가봐요 20 시누이 2012/01/28 5,325
64374 주진우 기자가 국문학도가 된 이유.txt ㅎㅎ 2012/01/28 1,196
64373 친정엄마 주택연금 받으려면 엄마앞으로 명의이전해야하나요?(돌아가.. 3 .. 2012/01/28 2,288
64372 집에 버섯이 종류별로 많은데 뭘 할까요? 16 미도리 2012/01/28 1,613
64371 어린이집 생일파티 피자 ...어떤게 좋을까요? 2 피자피자 2012/01/28 1,651
64370 초코렛 전문점이 있다면 그곳에 어떤 메뉴를 넣으시겠어요? 11 초코패닉 2012/01/28 1,292
64369 홀덤보드카페 어떤곳인가요? 찐감자 2012/01/28 571
64368 한창 농구 인기 있던 시절에 농구 좋아하셨던 분들 계신가요 ㅎㅎ.. 4 이상민 2012/01/28 771
64367 포인트사용하려고 본인인증하기 포이트 2012/01/28 635
64366 마크? 이 님 이상해요; 20 초딩? 2012/01/28 2,585
64365 남자 찜쪄먹는다는뜻이 좋은뜻인가요? 4 부자 2012/01/28 1,742
64364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제거 포기...한다고 발표했네요. 13 민폐국가 2012/01/28 3,882
64363 통영얘기 많은데 저도 통영 질문이요 9 동동반짝 2012/01/28 1,880
64362 설탕은 보통 백설탕 쓰시나요? 19 ... 2012/01/28 3,002
64361 냉동된 떡은 어떻게 해동해서 먹어야 맛있나요? 3 2012/01/28 8,729
64360 조갑제 갑자기 왜 이런겨 2 .. 2012/01/28 1,497
64359 초상이 났을때 장례비용은 누가 내나요? 17 초상 2012/01/28 8,568
64358 궁금했던것 질문좀 올려요 나무식해 2012/01/28 655
64357 신발먼저 고른후에 하의 고르세요? 하의고른후에 맞쳐서 신발고르세.. 1 abc 2012/01/28 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