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최고의 육개장 요리법을 찾습니다.

칭찬고픈 며느리 조회수 : 2,942
작성일 : 2012-01-11 16:09:20

아침에 LA갈비 요리법 물은 며느리입니다.

 

시어머니께서 육개장 끓이라십니다.

시댁식구들 저희집에 다~오시는데 이 추운데 뜨건 국물 있어야 한다고'''.

LA갈비처럼 멋진 레서피 주실 분 또 없으신가요?

한 번도 끓여 본 적 없는데 걱정이 앞섭니다.

잡고기 말고 사태나 양지만 넣어서 토란,파,숙주 넣어 맛난 요리법을 찾습니다.

고사리는 안 넣구요.

집들이거든요.ㅠㅠ부탁드립니다.

IP : 118.45.xxx.30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1 4:13 PM (14.47.xxx.160)

    일단 양지를 덩어리로 사다가 핏물빼고 푹 끓이고 덩어리는 건져내서 먹기좋게 찢어놓고..
    육수는 기름기좀 걷어낸다음 숙주 데쳐내서 재료들을 양념에 미리 조물조물 무쳐 간이 들게
    한다음 두가지 합체해서 푹 끓이시면 됩니다.
    텁텁하니 고추장 넣지마시고.. 집간장으로 간하세요..

  • 2. 원글
    '12.1.11 4:22 PM (118.45.xxx.30)

    혹시 고사리 말고 다른 야채 넣어서 맛있는 경우 있을까요?
    파 숙주 토란말고 말입니다.

  • 3. 나라냥
    '12.1.11 4:24 PM (180.64.xxx.3)

    역시 고깃국은 고기비율이 높아야 국물이 맛있어요.
    고깃덩이로 찬물에 넣고 푹 끓이세요.. 한 3~4시간 끓여야해요. 초반 30분정도는 센불로.나머지는 약한불로 뭉근하게요.
    초반30분 센불은 물을 적게잡고 끓이고 찬물 한바가지 넣고 푹 우리면 좀 더 맛있는 느낌이에요^^;
    고깃국물 다 내면 고기건져 손으로 찢구요..뜨거워요; 조심;; 국물은 기름 건져내요.
    숙주는 데쳐서 꼭 짜서 듬성듬성 썰구요
    토란은 데쳐진거 사세요. 씻어서 찬물에 좀 울궈두세요. 아린맛 있거든요. 이것도 꼭 짜서 듬성 썰어두고요
    고기찢은거,숙주,토란대 고추기름,고춧가루,집간장 이렇게 넣는데요.
    간은 버무린거 좀 집어먹어봐서 짭짤하면 되요. 30분정도 두고 간 배면 국물에 넣고 같이 끓여요.
    국물간은 집간장으로 봐도 되고, 소금넣어도 되구요. 육개장같은건 좀 간간해야 맛있더라구요. 짜면안되구요^^;
    대파는 마지막에 넣으심 되요.

  • 4. 나라냥
    '12.1.11 4:28 PM (180.64.xxx.3)

    느타리버섯 넣으세요. 이것도 결대로 쭉쭉 찢어서 살짝 데쳐서 꼭 짜서 넣음되요..
    레시피 살펴보니, 고추기름1, 고춧가루4, 국간장3, 마늘1~2,후추,소금 이렇게 들어가네요.
    고추기름이나 고춧가루는 매운거 호불호에 따라 가감 하시구요

  • 5. gma
    '12.1.11 4:28 PM (210.204.xxx.253)

    이*트에 보니 육개장에 들어가는 나물들 말려서 따로 팔던데요-
    http://www.emartmall.com/display/item.do?method=getItemInfoViewDtl&item_id=15...

    겉봉에 레서피도 완전 간단 버전으로 쓰여있던데 ㅎㅎ

  • 6. ...
    '12.1.11 4:34 PM (175.115.xxx.121)

    저도 여기저기 뒤져서 엊그제 한 냄비 끓여 먹었는데...

    전 느타리 버섯도 넣었구요 파를 넉넉히 넣어야 맛있다고 하더군요.

    파도 데쳐서 양념에 버무려 놓구요.

    글구 고추기름 내는 것 대신에 양념에 버무려 놓은 재료들을 볶다가 육수를 부어 끓이면 걍 끓이는 것 보담 맛

    있다길래 그렇게 했는데 나름 맛있게 잘 먹었네요^^ 참고 하세요~~

  • 7. 저는..
    '12.1.11 4:50 PM (175.118.xxx.145)

    버섯 데쳐서 넣으면 더 맛있더라구요^^

    생으로 바로 넣었더니 버섯냄새가 너무 강해서..본연의 느낌이 안 살아서요...

  • 8. 우리 육개장
    '12.1.11 5:03 PM (121.147.xxx.151)

    우선 고기는 사태와 양지 둘다 쓸 수 있는데
    양지는 맛에서 더 월등하고 사태는 기름이 좀 적습니다.

    1. 고기는 꼭 덩어리로 사오시고 핏물을 1시간 이상 빼주시고 잘 씻은 후 끓이고
    (전날 밤 끓여 놓고 다용도실에 내 놓으면 밤새 생긴 하얀 굳기름 걷어내기만 하면 되요.)

    2. 숙주와 파를 손질합니다( 파를 살때는 흰 부분이 더 많은 파를 사고 흰부분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3. 고기가 푹 익었으면 절반만 덜어 내 찢어 참기름, 약간의 소금, 깨소금 파로 무쳐 따로 그릇에
    담아 놓습니다.

    4 . 절반 남은 고기도 다 찢어 토란대와 참기름에 조물조물 후 국국물에 다시 투하~~

    4. 담백한 육개장이 좋으시면 고추가루 1~2큰술, 얼큰 칼칼한 맛을 즐기시려면 고추가루 넉넉히 투하

    5. 토란대가 어느 정도 부드러워지면 숙주 파도 투하 토란대가 부드러워질때까지 좀 더 끓이고

    6. 집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하고 후추가루를 약간 넣어준다.


    좀 더 시원한 육개장을 원하시면 전 날 밤
    북어나 황태 머리와 다시마 새우 멸치 무 양파 표고(있는 것만 넣어도 됩니다)를 넣고
    육수를 우린 후 다음날 한 번 슬쩍 끓이시던지
    아니면 그냥 그 국물만 고깃국물과 합쳐서 만들면
    더 깊은 맛이 나요.
    물론 이땐 고기국물을 끓일때 물을 적게 잡아야겠죠.

    집간장과 소금 두가지로 간을 하는 이유가 깊은 맛을 위한 거라네요.
    전 여기에 멸치젓 다린 걸 약간 넣어 세가지로 간을 하지만~~

  • 9. 우리 육개장
    '12.1.11 5:06 PM (121.147.xxx.151)

    집들이 음식이라 좀 더 돋보이게 하려면
    마지막에 오명으로 지단을 올리고 파송송이도 올리고
    절반 그릇에 찢어 양념에 조물거린 고기도 듬뿍 보기 좋게 올립니다^^

  • 10. 우리 육개장
    '12.1.11 5:06 PM (121.147.xxx.151)

    오타 오명=>고명

  • 11. 내 방식
    '12.1.11 5:28 PM (116.37.xxx.141)

    울 친정이 이게 전문인데요
    제가 본대로 끓이면 다들 ㅊ칭찬......
    레시피랄건 없지만 포인트는
    각종 나물을 따로 무칩니다
    집간장 고춧가루 참기름 마늘다진것 조물조물 무쳐놉니다
    죄다 따로.
    고사리, 토란대, 숙주 대파 공통 사항입니다.
    국물내기 비법중 특이사항은 숙주 만큼은 아니어도 콩나물을 약간 넘어야 국물이 시원ㅐ요
    무 한통 넣으셔야해요. 통으로 ....어느정도 익으면 건져서썰어 넣습니다
    대파는 나중에 넣는데 많이 넣어야 시원합니다
    나물을 참기름과 고춧가루로 무쳤기때문에 나중에 따로 고추기름 만들지 않아도 되구요.
    다른 분처럼 고기도 익으면 건지섬 손으로 쫙쫙 찢어서고춧가루 소금 파 마늘 아주 조금씩 주물러서 따로 준비한다
    국그릇에 담아낼때 고명으로 얹어내요

    제가 친정엄마와 가장 다른것은 엄마하는데로 해도 깊은맛이 덣한건데
    나름 해결책은 참치액젓입니다
    국간장으로 어느정도 간을 하고 액젓을 넣으면 식당처럼 깊은 맛이 납니다
    중요한건, 참치액젓을 넣은후 뚜껑을 열고 김을 날려야 합니다
    그래야 비린맛이 않나요
    참치액젓은 미역국에도 요긴하구요

  • 12. 올리브
    '12.1.11 5:59 PM (116.37.xxx.204)

    고추기름은 판단 잘하세요.
    평소 식구들이 벌겋게 기름 뜬것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요. 실컷 애쓰고 망칠수 있어요.
    호불호의 문제랍니다.

  • 13. 원글
    '12.1.12 5:09 PM (118.45.xxx.30)

    어머나,전부 다 친정어머니처럼 가르쳐 주셨네요.
    건강하세요.감사합니다.

  • 14. 감사
    '13.6.2 2:08 PM (110.70.xxx.140)

    육개장 비법 저장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968 연휴 내내 뭐 해드세요? 3 밥순이 2012/01/20 1,294
61967 제사없는 우리 시댁..넘 편해요 31 자랑 2012/01/20 9,049
61966 제왕절개 수술비 + 입원비 어느 정도 하나요? 9 궁금해요 2012/01/20 15,231
61965 급 .... 대상포진 조언 절실 16 나편 2012/01/20 3,363
61964 대학교 등록금도 포함되죠? 1 연말정산때 2012/01/20 954
61963 왜이렇게. 자판 오류가 많은지.. 6 스마트폰 2012/01/20 895
61962 우리은행 카드설계사 아시는분... 크하하 2012/01/20 1,118
61961 아가 입체 초음파를 찍었는데요... 7 2012/01/20 1,930
61960 어찌살아요보다가 절약하시는분들께 여쭤보아요 16 베스트글 2012/01/20 4,912
61959 이재오 "나갈려면 박근혜가 나가라" 2 세우실 2012/01/20 1,169
61958 공공기관 비정규직 2 ㅁㅁㅁㅁ 2012/01/20 1,132
61957 차를 스텐그릇에 넣으면 색이 변하는건 왜일까요? 1 poporo.. 2012/01/20 960
61956 사회성부족한 아이(7세) 치료받아 보신분 계신가요? 7 아이상담 2012/01/20 4,378
61955 유치원 아이 성적 행동 잘못 대처한 선생님... 7 걱정맘 2012/01/20 2,473
61954 진주가루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4 아침숲 2012/01/20 1,976
61953 국방과학연구원,어떤가요? 12 중매섭니다... 2012/01/20 4,382
61952 동태전 처음 해 보는데 맛있게하는 비결좀 알려주세요 13 ^^ 2012/01/20 3,084
61951 애없는 전업주부... 안되는거죠? ㅠㅠ 16 나라냥 2012/01/20 5,290
61950 생 김 어떻게 활용할까요? 6 하니 2012/01/20 1,155
61949 명절에 전 뭐뭐 부치세요? 5 며느리 2012/01/20 1,572
61948 아주 무식한 질문...공인인증서 13 ... 2012/01/20 3,314
61947 강남에 땅 사둔 사람들은 거의 다 부자겠죠? 1 신지 2012/01/20 1,156
61946 올해부터 월급 깎인 회사들 많이 있나요 1 어떤가요 2012/01/20 848
61945 목돈을 예금, 적금대신에 ema같은 상품에 넣어도 될까요. 목돈 2012/01/20 986
61944 올리브 vada 2012/01/20 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