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기말고사 영어 서술형 답입니다. 문법잘아시는 분들 부탁드립니다.

영어 조회수 : 1,497
작성일 : 2011-12-15 10:57:42

In the past, their contributions to world ________________________

빈칸에 emphasize를 어형 변화 하여 집어 넣는 입니다.

답은 were never emphasized입니다.

그런데 아이의 답은 have not been emphasized입니다.

앞에 in the past가 있으니까 과거 시제를 쓰는 게 맞지만 in the past는 현재 완료하고도  쓰이지 않나 해서요.

아직 선생님께서 채점은 안하셨지만 혹시 틀린 것으로 될까 여쭈어 봅니다.

IP : 222.108.xxx.163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웃자
    '11.12.15 11:06 AM (221.147.xxx.173)

    문법보다 의미 차이가 있는 것 같은데요

  • 2. inspring
    '11.12.15 11:17 AM (165.246.xxx.28)

    그렇게 쓰는 사람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문법적으로는 틀린 표현입니다. have been ... 는 현재완료형으로 현재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3. tods
    '11.12.15 11:20 AM (208.120.xxx.175)

    현재완료는 그 행동/동작이 지금까지 계속되거나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로 봅니다.
    in the past 라고 시제를 정해주었으니까 단순과거-즉, 그 행위는 그 시점에서 종료된걸로 봐야할거 같습니다. 내일 영어선생님께 질문하고 게시판에 올릴게요 ^^

  • 4. 보라색바지
    '11.12.15 11:34 AM (115.143.xxx.83)

    tods님 설명이 맞아요.
    현재완료시제는 어떤일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연계성이 있어야 합니다.

    과거의 사실만 이야기 하는거기때문에 단순 과거형이 맞아요.^^
    아이가 복잡하게 생각했나본데요, 정확하게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단어(yesterday, ago 등등)와 함께 쓰인 문장은 완료형을 사용하지 않는게 일반적입니다.

  • 5. 일산사람
    '11.12.15 11:38 AM (112.161.xxx.42)

    답: were never emphasized ...in the past 는 현재완료형과 문법적으로 맞지 않지요

  • 6. 원글
    '11.12.15 11:42 AM (222.108.xxx.163)

    설명 감사합니다. 그런데

    She has gone to Canada in the past. 이 문장은 맞는 걸로 되어 있고
    현재완료시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해하기 까다로운 개념이다.... 전에(before, ever), 과거에(in the past) 등 역시 애매한 시점을 나타내는 말들과 함께 쓰인다
    이런 설명도 있는데요?
    기본적으로는 in the past하면 과거 같지만 in이라는 전치사가 있어 기간적인 개념이 되어 맞을 수 있는 것 같아서요.

  • 7. //
    '11.12.15 12:28 PM (1.225.xxx.3)

    저 지문이 교재나 교과서에 있는 지문이면 당연히 틀리는 것으로 채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능이면 모르지만 기말고사는 복습의 의미가 있는 건데, 이미 가르쳐 준 것을 제대로 적지 못한 경우엔 오답처리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 8. 보라색바지
    '11.12.15 12:53 PM (115.143.xxx.83)

    She has gone to Canada in the past
    이 문장은 has gone to 가 "~에 가버리고 현재 여기에 없다"라는 의미로 쓰이는 현재완료의 대표적인 문장입니다.
    in the past는 제가 찾아보니 완료형과, 과거시제 모두 쓰일 수 있는 표현인 것 같아요.

    원글에 쓰인 문제에 나온 예문은,
    전체 문맥을 추측해 봤을 때,
    과거에는 기여가 전혀 강조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에는 그렇지 않다라고 다른 문장이 더 있을 듯 하네요.
    이런 문맥이라면 현재와 전혀 다른 과거의 얘기를 하는 거기때문에 단순 과거 시점으로 보고 과거형을 써야 맞지요.

    문장 하나만으로 판단할 문제는 아닌듯 합니다.

    그리고 학교에서 배운 부분과의 연계성을 생각해서 문제를 생각하셔야지요.
    특히 내신시험같은 경우에요..

  • 9. ...
    '11.12.15 1:08 PM (115.41.xxx.10)

    틀리게 할거 같은데, 결과 알려주세요.

  • 10. 원글입니다.
    '11.12.15 1:09 PM (222.108.xxx.163)

    네 감사합니다.뒷 부분의 내용에 그러나 이제는 우리가 그런 태도를 바꿔야 한다는 내용이 있기는 합니다. 그라나 아직까지 강조하지 않는 상태는 변하지 않았고 그게 문제니까 이제는 태도를 바꿔야 한다는 내용이므로 현재도 강조되지 않다는 의미가 틀리지는 않을 것 같아요.
    그리고 이 문장은 본문이 아니라 본문외라 거의 선생님이 필기해주시거나 강조했던 부분이 아니더라구요. 아이도 본문 외우고 갔는데 본문 외라 교고서와 다른 문장을 쓴 것 같아요.

  • 11. 보라색바지
    '11.12.15 1:30 PM (115.143.xxx.83)

    글쎄요..
    원글님 댓글을 읽고 나니, 제가 교사라면 이 학생의 답은 틀렸다고 할 것 같습니다.
    영어로 워문을 올려주시면 더 좋을 듯 하지만,

    현재완료라는 건 과거부터의 어떤 사실이 주욱 이어져 오거나 과거의 사실과 현재의 연계성을 나타낼 때 쓰이는 겁니다.
    원글님 마지막 댓글을 보니 화자는 과거에는 그들의 기여가 전혀 강조되지 않았고, 지금도 그렇긴 하지만 이 부분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 싶어하는 거지요.
    즉, 화자의 논점이 과거와는 달라져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싶은거기 때문에, 현재완료를 쓰지 않고 과거로 쓴거 같구요.

    본문이 어쨌든 교과서에 있는 내용인거지요?
    교과서 내용이 아니더라도 이 지문을 선생님께서 아이들에게 유인물이나 다른 자료로 제시하고 수업을 한 부분이라면 원 본문대로만 정답처리가 되는게 맞습니다.

    전 처음에 선생님이 수업하지 않은 외부 지문을 문제로 내서 물어보시나 했는데,
    수업시에 제공된 지문이 있다면, 원 지문대로만 정답처리가 되어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12. 원글
    '11.12.15 1:39 PM (222.108.xxx.163)

    윗분의 주장 중에서
    그들의 기여가 전혀 강조되지 않았고, 지금도 그렇긴 하지만 이 부분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 싶어하는 거지요.
    즉, 화자의 논점이 과거와는 달라져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싶은거기 때문에, 현재완료를 쓰지 않고 과거로 쓴거 같구요.

    -윗분은 화자가 과거를 썼을 때 필자의 의도를 분석하신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완료로 바꿔 썼다고 해서 잘 못된 표현은 아닌거죠.
    바로 뒷문장은 however we need to change our attitude toward them by recognozing thoer gofts to modern society입니다.인식하지 않았으므로 이제 인식하는게 필요하다는 주장입니다.

    선생님이 틀렸다고 하셔도 크게 이의를 걸 생각은 없습니다. 또, 그렇다면 받아들일 생각이고요. 하지만 원문대로만 답을 정답처리 해야한다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렵네요.

  • 13. //
    '11.12.15 2:18 PM (1.225.xxx.3)

    제가 보기에 현재 상황에서 이 답이 정답이냐 오답이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원글님의 아이가 이러한 답을 왜 쓰게 되었는가,,혹 앞으로 이러한 상황이 또 생길 것인가..하는 것 같아요.

    아이를 위해서라면 오히려 이런 답이 오답이 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혹 '수동태'가 시험범위인 상황이라면 더욱 더요...원글님의 태도와 같이 아이가 이런저런 예문들을 주르륵 나열하며 정답처리를 요구한다면 선생님은 정답처리 해주실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대부분 그러시겠죠,,설득하기 귀찮아서라도..)
    그렇지만 한 문제 더 맞고 틀리고보다 시험의 출제범위, 출제자의 의도 이런 것까지 파악해야 한다는 것을
    이번 기회에 배우는 것이 앞으로 학생으로서 그 아이의 미래에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선생님이 정답으로 해주셨다고 해도 부모로서 아이가 한 개 더 맞은 것을 같이 기뻐하기보다는, 이번엔 운이 좋아 맞은 것으로 되었지만 다음엔 정확한 답(출제자가 원하는)을 쓰는 것이 필요하다고 꼭 얘기해주셨으면 싶네요..

  • 14. 지나가다
    '11.12.15 2:22 PM (163.152.xxx.48)

    네이버에 나오는 예문, 특히 국내 문제지에서 나온 예문들 100% 믿지 마세요
    영작 수업 들을 때, 예문에 있는 거 따다 썼는데도
    엄청 틀렸어요.. 특히 전치사들요
    그게 원어민이 보기엔 설명하기 어렵지만 이상하다고 얘기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155 영화 "부러진화살" 포스 쩌네요.. 2 .. 2011/12/24 2,582
52154 유시민 대표의 대북관 1 물결 2011/12/24 1,163
52153 상봉코스트코에 지금사람많은가요??? 2011/12/24 900
52152 흥신소만도 못한 MB 현정부의 국가정보원 나루터 2011/12/24 983
52151 계란으로 마사지나 팩 할때 흰자랑 노른자 분리하지 않고 같이 섞.. 6 아마폴라 2011/12/24 18,364
52150 아산스파비스 근처 펜션 1 오로라 2011/12/24 6,669
52149 내일(25일) 홍은동 힐튼호텔 근처 많이 막힐까요? 2 궁금해요 2011/12/24 1,148
52148 생리대,, 좋은 딜 있나요? 6 22 2011/12/24 2,248
52147 종편에 관한 궁금한점? 4 궁금. 2011/12/24 1,288
52146 신림9동 신림현대맨션 사시거나 잘 아시는 분 1 2011/12/24 3,895
52145 워싱턴 포스트에 보도된 정봉주 전 의원 사건 사랑이여 2011/12/24 1,204
52144 감자탕 몇시간끊여야해요? 2 거진두시간째.. 2011/12/24 1,751
52143 일본 방사능이 걱정 안하는 사람이 참 많은거 같아요 14 -_- 2011/12/24 4,547
52142 요며칠 학생 자살사건을 보니 1 .. 2011/12/24 1,068
52141 국회의원이 안재욱집을 몰락시키는 이유가 뭔가요? 2 빛과 그림자.. 2011/12/24 2,938
52140 와인을 큰유리잔에 파는 커피숍이 있나 봐요. 6 유행?? 2011/12/24 2,274
52139 해외여행 자유화 이전에는..일반인들은 어떻게 해외여행 갔을까요.. 3 ... 2011/12/24 1,973
52138 싱가폴 크랩파는 곳 있을까요? 1 .. 2011/12/24 1,066
52137 어제 아고라 재밌는 글..원글님추가글 오늘또올라왔는데..기가 막.. 8 ㅇㅇㅁ 2011/12/24 2,870
52136 가혹한 현장실습... 뒤에는 MB정부의 '정책 실패',,, 2 베리떼 2011/12/24 1,191
52135 대전,대구 사건을 보고서 한말씀 드립니다. 8 버터빵 2011/12/24 2,621
52134 조중동방송 광고로 돈 얼마나 벌려나.. 3 아마미마인 2011/12/24 1,117
52133 서울시 연하장 받았어요 연하장 2011/12/24 1,157
52132 탐앤탐즈 사장과 관련해 문득 드는 생각 1 ㅠㅠ 2011/12/24 1,968
52131 아이들 핸드폰 문자도 확인해야 하는걸까요??? 중학생 깡패.. 2011/12/24 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