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부모님 명의집에 전세로 들어가는거 어떨까요?

전공수학 조회수 : 6,193
작성일 : 2011-11-11 09:17:32

안녕하세요

결혼 6개월차 신혼입니당

 

결혼하면서 시부모님이 2억 7천짜리 전세를 얻어주셨는데요

처음 인사갔을때 삼성동에 아파트가 있는데 내년 4월 전세 만기되면 거기로 들어가도 된다라고 하시길래

그냥 만기때 들어가면 되나부다 했는데 전세금 4억 9천을 저희가 드리고 들어가야하더라구요

 

친정엄마는 그렇게라도 들어가면 전세만기때마다 이사다니거나 전세금 올려줘야할 걱정없이 아이들 키우면서 쭉 살면 좋겠다고 하시면서 5천정도 도와주시겠다고 하네요...

내년 4월까지 7천은 모을수있을거같아 그때 들어가려면 1억을 대출받아야하는데

 

전 4억 9천을 드리고 들어갈바엔 차라리 4억 9천으로 작더라도 우리명의의 집을 하나 사는게 낫다고 생각되는데요...

회원님들 생각은 어떠세요?

 

 

 

IP : 222.110.xxx.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1.11.11 9:19 AM (112.148.xxx.223)

    그정도 여유가 있으시면 작더라도 내집을 사는 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 2. ..
    '11.11.11 9:21 AM (211.253.xxx.235)

    본인 집 마련하시는 게 좋죠.

    셈이 이해가 안되긴 합니다.
    2억 7천짜리 전세 얻어주셨는데 그건 내꺼로 챙기고 4억 9천짜리 집에 그냥 들어가실 예정이셨던 거???

  • 3. 다른
    '11.11.11 9:22 AM (110.15.xxx.248)

    형제가 어떻게 되는데요?
    형제가 많은 편이라면 그런 경우 재산 때문에 다툼이 생기기 쉽구요
    두 형제 뿐이라든지.. 이렇다면
    나중에 물려줄 생각이지만 전세돈까지 해주기엔 부담스러우니 너희가 장만해라. 이런 경우 같구요

    집안 분위기에 따라 좀 다르죠
    경제적 부담이 없는 시댁 같으면 그렇게 들어가는 것도 친정어머니 말씀대로 좋을거에요
    일년정도에 그 정도 모았다면 융자 1억 정도도 금방 갚겠네요

  • 4. 맑은날
    '11.11.11 9:24 AM (108.41.xxx.63)

    전세 얻어 주신건 그 돈을 주신 거죠?
    그 값이라면 저라도 집 사겠어요.

  • 5. 그런가요
    '11.11.11 9:26 AM (211.246.xxx.150)

    부모님이 처음에 돈 한푼 지원안해주시면서 본인들 집에 4억 9천 전세금 마련해 들어오라고 하시는
    제안이라면 두말할 것 없이 님 생각이 맞습니다 하지만 2억이 넘는 돈을 시작할 때 부모님께 전세금으로 지원받은거라면 부모님이 꽤 후하고 괜찮신 분들 같기도 하네요 전세금 내고 들어가면 당분간 부동산 팔릴 일도 거의
    없을거 같고 그 집은 결국 님네꺼 될거 같기도 하구요 고민되시겠어요 그와 별개로 이제 겨우 6개월 되신 분이고 시부모에게 지원받은 자산이 2억 7천이나 되는데 거기에 친정에서 겨우 5천 더하고 본인들 모은돈에 나머지는
    대출해서 '우리 명의 집'으로 갈아탈 생각을 하시는게 아주 조금 님 위주이신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 6. 우선
    '11.11.11 9:30 AM (220.86.xxx.243)

    시부모명의 집에 전세로 들어가서 살아보세요. 아직 신혼6개월이면 아기 낳고 살다가 생각하셔도 될듯해요. 그집이 원글님댁이 될수도 있구요.

  • 7.
    '11.11.11 9:41 AM (222.98.xxx.193)

    제가 글만으로 볼때 시댁어르신들 아주 좋은분들 같은데요
    사실 2억7천가지고..아니 뭐 1억 더 가능하시다면 4억가까이 되는 돈으로 서울 괜찮은곳에 집 마련하는거 힘들지않나요
    친정어머님 말씀대로 이사다닐 필요없고 전세금 올려줄 염려없으니 얼마나 좋나요
    너무 날세우면서 보지마세요. 거기서 돈부지런히 모으셔서 괸찮은 집 장만하라고 배려하시는걸로 보입니다. 제눈엔..

  • 8.
    '11.11.11 9:44 AM (222.98.xxx.193)

    그집이 님 차지가 될수도 있단 댓글들은 제가보기엔 좀 오버같습니다

    그리 욕심내셨다가 계획틀어지면 속상할테니 그냥 임대인 눈치안보고 편히 살수있는 전세니 감사하다 생각하시면 될거같아요

  • 맞아요
    '11.11.11 9:54 AM (110.15.xxx.248)

    융자가 1억이라지만 갚을 능력되고 나중에 그게 종잣돈이 되서 집을 사더라도 덜 부담스럽겠죠
    나가란 소리 안하는 전셋집은 내 집이나 마찬가지에요
    지금 안들어가면 그냥 2억돈이 있는거구 들어가면 4억대로 뭉칫돈이 되니까
    나중에 시부모 집이 맘에 안들면 그 돈 빼서 집사서 나가면 되죠.
    돈 한푼 안내고 시부모가 얻어줬다면 나가는 것도 내맘대로 하는게 쉽지 않아요
    나갈 때 세를 놓더라도 그 돈은 시부모 돈이니까요.

  • 9. 전세
    '11.11.11 10:10 AM (211.192.xxx.60)

    남편 동료가 시어른 명의의 아파트에서 신혼살림을 시작했는데요.
    결혼한 지 1년도 채 안되었는데 시댁에서 급전이 필요하다며 매물로 내놓았어요.
    사전에 어떤 상의도 없었기에 한 달도 못 되는 기간에 신혼부부는 집 구하고 돈 마련하느라 혼쭐이 났고요.
    물론 다 사정이 있어서 그랬겠지만 시부모님 집이라 해서 맘 놓고 있을 수만은 없나보다 싶었어요.
    살면서 어떤 변수가 나타날 지 모르는 일이니 여러모로 잘 따져 보셔요.

  • ..
    '11.11.11 10:12 AM (211.253.xxx.235)

    이 분은 4억 9천 전세금 내고 들어가는 거니까 그 집이 매물로 나간다 해도
    4억 9천은 쥐고 있는 거잖아요.

  • 10. 제가 지금
    '11.11.11 10:11 AM (14.56.xxx.35)

    님이 말한 형태로 살고 있습니다. 아버님 집인데 저희가 전세금을 드리고(그 돈으로 대출금 갚으셨어요) 살고
    있어요. 전세금은 현시세보다는 저렴하게 드렸어요. (계약서를 따로 쓰지는 않았고, 아버님은 따로 사시지만
    같이 사는걸로 되어있어요) 암튼, 이사오고 좀 있으니 아버님께서 당신 이불 한채 마련해 놓으라고 하시고,
    시누이 놀러오면 당신 집이니 자고 가라하시고, 원래도 불쑥불쑥 찾아오시긴 했지만 당신 집이시니 너무나
    당당하게 토요일, 일요일 오셔서 주무시고 가시고, 어디 무슨 문제 없는지(새 집이라) 오시면 살피시고,
    가끔 집을 팔까싶다 말씀하시니 아, 정말 이게 뭔가 싶습니다. 더 웃긴 건 시댁식구들이 아버님이 아들한테 집해줬다고 알고 계세요. 그리고 아버님도 저희가 돈 드린건 다 잊으셨는지 자꾸 내 집에서 아들네가 살고 있다고 말씀하시구요. 전엔 아들집에 오셨어도 아들네라고 불편하다고, 너희 쉬라고 얼른 일어나시곤 했는데
    지금은 내 집에서 내가 자고 간다는데, 내 집에서 내 딸 재운다는데....이런식으로 나오시니 넘 피곤해요.

  • 11. 글쎄..
    '11.11.11 11:05 AM (211.199.xxx.206) - 삭제된댓글

    부모 자식간에 전세 계약이 성립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님이 들어가실거면 남편이름이 아니라 님 이름으로 전세계약서 써야할 것으로 생각되구요..

    시부모님의 인품에 따라서 님의 삶이 윗분 말씀대로 상당히 피곤해질 수 있음을 아셔야 될 것 같은데...

    저라면 그냥 지금 당장 집구입을 안하고 다른 곳에서 전세 살다가 돈 모아서 내힘으로 집장만 할듯..
    세상에 공짜는 없더라구요..이 날까지 살아보니

  • 12. fly
    '11.11.11 11:21 AM (115.143.xxx.59)

    외동아들이면 별탈없겠고..뭐..시부모인품에따라 다르지않나요?사주고도 생색내는집있고 안그런집있고..전 좋아보이는데..그집으로 들어가는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128 스마트폰 유용하게 쓰시는 어플 뭐 있나요? 3 기본 2011/11/18 2,619
39127 사회 봉사로 반값 등록금 보답 1 서울시립대 .. 2011/11/18 1,833
39126 조 아래.. 담낭제거 수술이요.. 4 종합병원 된.. 2011/11/18 2,899
39125 오쿡 홍삼만드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 2011/11/18 3,252
39124 TV방자전 보셨어요? 2 ... 2011/11/18 2,864
39123 연간 20억 서울시에서 받았어요 오세훈의 서울시에게! 10 정명훈 2011/11/18 2,816
39122 키톡에 왜 "아이사진있음 개사진있음" 써요? 10 의무인가요 2011/11/18 3,707
39121 최효종 개콘 사마귀유치원 2회 - 국회의원이 되고 싶어요. 영상.. 개콘 2011/11/18 2,125
39120 박근혜씨 기부하겠다는 약속이라도 지키시라 달라도 정말.. 2011/11/18 1,614
39119 요새 소녀시대는 3 궁금 2011/11/18 2,709
39118 ING 변액보험 해약관련 문의 3 해약 2011/11/18 3,159
39117 복지관에서 아기화상입었어요ㅠ보상받을수있나요? 7 2011/11/18 2,228
39116 결혼할 인연으 따로있는지? 2 30대싱글녀.. 2011/11/18 4,393
39115 (급) 여의도, 영등포 저렴한 호텔 추천해주세요(외국인바이어 숙.. 5 숙박 2011/11/18 2,306
39114 남편 술먹으면 이상한 냄새가.... 2 뚱딴지 2011/11/18 3,161
39113 이거 보셨어요? 세종대왕님이 안 계셨더라면... 14 감사 2011/11/18 3,863
39112 스마트폰이 뭔지 ㅠㅠㅠ 3 고려지킴이 2011/11/18 2,052
39111 최효종 트윗 팔로가 폭발~ 6 참맛 2011/11/18 3,509
39110 전세집 욕실문 교체는 주인이 해주는거죠? 5 00 2011/11/18 5,301
39109 초등 논술 1 솔루니? 2011/11/18 1,847
39108 시사인 구독하면 택배로 오나요 우편함에 꽂아놓나요 5 .. 2011/11/18 1,919
39107 키 말이 나와서 말인데요 4 2011/11/18 2,354
39106 보일러 온조 좀 봐주세요~ .. 2011/11/18 1,466
39105 분양권 살때 수수료 1 딸기맘 2011/11/18 1,833
39104 대상 “낙지가 순창을 좋아해?” 광고 잔인성 논란 4 꼬꼬댁꼬꼬 2011/11/18 2,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