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운전 = 영원한 스트레스

수앤루 조회수 : 2,510
작성일 : 2011-11-08 10:16:12

장롱면허로 10여년 가지고 있다가 몇 년 전에 지방으로 이사오면서 운전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원래 여자들은 방향감각도 공간감각도 남자들보다 떨어진다는 걸 스스로 위안 삼으며 조심조심 집 근처

가깝고 쉬운 길로만 다녔는데, 이젠 조금 먼 거리 복잡한 시내며, 고속도로 비슷한 국도까지 가야 할 일이 생기네요

서울보다 지방이 어찌보면 차가 적고 한적해서 운전하기 쉬울꺼라 생각들 하시겠지만

집채만한 덤프트럭이니 대형 화물차들이 어찌나 미친듯이 달리면서 조금만 머뭇거리면

죽일들이 크락션을 울려대는지 운전하다가도 가슴을 쓸어내린 적이 한두번이 아니네요ㅠ.ㅠ  

어제도 집 근처에서 운전을 하다 정말 죽을 고비를 넘겼어요!!!

작은 도로에서 큰 도로를 진입하는 곳이 있는데 언제나 무시무시한 속도로 달리는 트럭들 때문에

끼어들기가 쉽지 않습니다.  제 바로 뒤에는 끼어들려고 기다리는 차들이 줄을 서 있었구요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어서 저 멀리 트럭한대가 오는 걸 확인하고는 급히 끼어들었는데

어느새 순식간에 쏜살같이 달려와 바로 뒤에 바짝 붙어서는 귀가 찢어질 정도로 홍킹하더니 위협하듯 차를 몰아

제 앞에서 바로 멈추는 거 있져!!!  저 땜에 열받았다는 걸 그런 식으로 표현하는 건가요??

빠른 속도로 오는 건 알지만 꽤 먼 거리여서 충분히 끼어들 수 있을 줄 알았고 제가 끼어들면

뒤에 오는 차는 당연히 속도를 줄여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아직 만년 초보인 저는 이런 순간이 아직도 제일 겁나고 두렵네요.  언제쯤 이런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남들은 쉬워 보이는 운전이 저는 매일매일이 스트레스예요.  특히나 빨리 달리면서 동시에 끼어들기가 제일 어렵고

생각만해도 가슴이 쿵쾅쿵쾅 마구 뛰어요ㅠ.ㅠ  지방이라 운전을 안하고 살 수도 없고.. 운전 경험이 많으신 맘들은

어떻게 초보시절을 보내셨으며 어떻게 운전을 배우셨는지 조언 부탁드려요~ "연습만이 답이다" 뭐 이런 막연한 대답

말고 좀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ㅎㅎ

저도 남들처럼 즐겁게 드라이브하면서 어디든 걱정없이 다닐 수 있는 그런 날이 올까요??ㅎㅎ

IP : 124.199.xxx.72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속도
    '11.11.8 10:18 AM (121.176.xxx.230)

    끼어드는 차 때문에 속도 줄일수는 없구요 그걸 기대하셔서는 실력 안 늘어요. 차가 지나가면 바로 그 차 뒤 꽁무니로 끼어드셔야 해요.

  • 2. 저랑
    '11.11.8 10:21 AM (180.64.xxx.147)

    사정이 비슷하신 거 같아요.
    전 장롱면허는 아니지만 면허를 좀 늦게 따서 집 근처만 살살 운전하고 다니다
    지방으로 이사왔어요.
    집 근처에는 온갖 종류의 덤프트럭이 다 다니는데다 차 없이 움직이기가 힘드니 국도, 고속도로, 간선도로...
    정말 모든 종류의 도로를 다 운전해야하죠.
    처음엔 너무 무서웠습니다.
    덤프가 옆에 지나가면 차가 뒤집힐 거 같기도 하고 덤프가 살짝 스치기만 해도 저는 곧 죽을 것 같더라구요.
    특히 작은 도로에서 큰 도로로 끼어들기란 너무너무 어려운 일이었는데
    뒷 차가 빵빵 거리든 말든 제 안전히 확보 안되면 절대 들어가지 않았어요.
    이동네로 이사와서 남편이 처음 알려준게 그거였거든요.
    내 안전이 확보되지 않으면 무리 하지 말라고요.
    고속도로에서는 규정속도로 달리고 절대 1차선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물론 저 때문에 답답하겠지만 그런 차들은 1차선을 통해서 추월해가면 되니까요.
    그렇게 운전하다 보니 지금은 1차선도 마음대로 드나들게 되었어요.
    항상 나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1차적 목표로 하시면 운전이 훨씬 수월해요.

  • 3. ..
    '11.11.8 10:33 AM (58.143.xxx.224)

    보통보다 더 겁이 많고, 운전에 흥미없는 분들이 간혹 있는 거 같네요
    우리 남편이 그래요 운전대만 잡으면 피곤하다 어쩐다, 해서
    겁나서 잘 못해요, 제가 다 하죠, 전 뭐 처음 시작할때부터 날쎈돌이여서
    요즘좀 피곤하긴 하지만, 남편만큼은 아니더군요

  • 4. 트럭..
    '11.11.8 10:34 AM (218.234.xxx.2)

    트럭들이 좀 그렇죠.. 그냥 제일 저속 차선으로 달리세요. 그럼 누가 뭐라고 해요.
    트럭도 추월하려면 1차선 옮기는 것이 상식인데..저속 차선에서 비키라고 빵빵 거리는 놈이 웃긴 놈이죠.

  • 5. 엘런
    '11.11.8 10:34 AM (1.244.xxx.30)

    전 운전 오래 했지만 지금도 국도에서 덤프나 대형 트럭이 뒤에 오면 살짝 옆길로 나갔다가
    큰차 지나가면 다시 진입해요.
    그러면 뒷차로 인한 스트레스 없이 편히 운전할 수 있어요.
    그리고 급해 보이는 차들은 추월을 도와줘요.
    먼저 가라고 깜빡이 켜주거나 갓쪽으로 살짝 붙여주면 서로 안전운전 할 수 있어요.
    그리고 끼어들기할때는 뒤에서 오는 차의 속도를 잘 감지해서 판단하시는게 중요합니다.

  • 6. 저도 남편한테
    '11.11.8 10:41 AM (123.109.xxx.78)

    들은바로는 덤프트럭은 차 자체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빠른속도로 오다가 갑자기 속도줄이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하네요 만약 급작스럽게 밟더라도 달려오던 속도로 인해서 한참 밀고 간다고...
    따라서....알아서 피해가는 수밖에 없답니다...

  • 맞아요
    '11.11.8 10:45 AM (180.64.xxx.147)

    덤프의 경우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뒷에 짐칸 부분이 앞으로 밀고 나오면서 덤프 운전자를 덤칠 수 있기 때문에
    덤프들은 될 수 있으면 급브레이크 안밟는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덤프 앞으로는 끼어들지 말라고 그러더라구요.
    끼어들 차선의 차가 내 앞을 스쳐가는 순간 바로 따라 들어가면 수월합니다.
    물론 그 차가 뒷차와의 간격이 좀 넉넉해야죠.

  • 맞아요..
    '11.11.8 11:19 AM (121.176.xxx.230)

    덤프트럭에게 속도를 줄여 끼워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은 없을 거에요. 원글님이 초보신건 맞지만요, 원글님 배려하다가 대형사고나면 그게 더 큰일이니까요.

  • 7. 원글
    '11.11.8 11:28 AM (124.199.xxx.72)

    그럼 덤프트럭이 아주 멀리 있어도 일단 보내놓고 끼어들어야 하나요??? 그런 몰랐네요ㅠ.ㅠ 좋은 정보 넘넘 감사합니다!!! 언제나 82에서 너무 많은 걸 배우고 얻어가네요~^^ 덤프트럭이 더 무서워 지는데요, 그렇잖아도 트럭 울렁증 있는데 앞으로 트럭만 보면 얼음 되겠어요ㅠ.ㅠ

  • ^^
    '11.11.8 11:54 AM (117.53.xxx.208)

    초보운전자가 크고작은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바로
    내 뒤에 기다리고 있는 차들 때문에 일어나는데요.
    뒷차에 미안해서 내 실력에 비해 무리한 시도를 하다가 결국은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아요.

    대형마트 주차장에서도 뒷차가 계속 뒤에서 서 있으면 부담백배 되어서
    허둥대며 주차하다가 문짝이며 여기저기 긁어대고 찌그러지죠.

    깜빡이를 켜서 미안한 마음은 충분히 전달하시되
    무조건 내가 안전하게 운전하고 주차하는데만 집중하셔야 됩니다!

    운전은 평정심 유지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자신감이 넘쳐도 너무 쫄아도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으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826 주근깨커버에 좋은 파데좀 추천해주세요. 2 30대중반 2011/11/14 2,514
37825 이승환이 촛불집회 때 공연을 한 것이 생각나네요 3 TV보며 2011/11/14 2,500
37824 인간적인 배신이라니.. 웃겨요 3 헐.. 2011/11/14 2,766
37823 저두 탄력있는 복근을 가지고 싶어요ㅠ.ㅠ 4 고민녀 2011/11/14 2,902
37822 천일의 약속에서 닥치고 정치 책...배경으로 한 참 나왔는데.... 18 저만 봤나요.. 2011/11/14 4,064
37821 자꾸 생각나는 어제 그 배추김치맛 8 동글이내복 2011/11/14 2,968
37820 댓글의 댓글이 아예 없어진건가요 문의 2011/11/14 896
37819 문화센터에서 아기들 찍어주는 손도장, 그냥 받게 하시나요? 9 예민맘 2011/11/14 2,531
37818 유니클로 겨울세일 언제쯤하나요? 5 살빼자^^ 2011/11/14 5,515
37817 이꿈 해몽해주시는 분이 안계시더라구요... 4 저도 꿈! 2011/11/14 1,992
37816 학창시절에 수학점수 정말 낮았던분들 많으시죠? 14 인간이라면 2011/11/14 2,924
37815 로드리고 - 기타를 위한 아랑훼즈 협주곡 제2악장 &.... 3 바람처럼 2011/11/14 4,042
37814 이런 정장 자켓은 어느 브랜드가면 있을까요 3 .. 2011/11/14 1,671
37813 초등학생 학급홈피의 막말과 합성사진 게시등 어찌 말려야 할까요?.. 1 학급홈피 2011/11/14 1,520
37812 대안학교를 다룬 방송 프로그램 보신 분 계신가요? 3 대딩 2011/11/14 2,034
37811 공짜로 받은 로션인데 뭔지 잘 모르겠어요,,, 2 소닉 2011/11/14 1,294
37810 11월 14일자 민언련 주요 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 세우실 2011/11/14 956
37809 넘어져서 무릎을 깼어요.. 1 랄라줌마 2011/11/14 1,840
37808 저 뭐 배울까요? ^^ 2011/11/14 1,058
37807 단*감마을 *은 뭘까요? 3 olive 2011/11/14 1,729
37806 일은 할 수없지만 쉽게 죽지는 않는 병. 48 아프지 말자.. 2011/11/14 15,296
37805 학교에서 독서골든벨을 했는데, 상장도 안주네요... 5 .... 2011/11/14 1,979
37804 예비 여중생이예요. 3 파카 2011/11/14 1,502
37803 (급질) 디스크 환자에게 적합한 침대는 무엇일까요? 4 궁금 2011/11/14 2,356
37802 초3 수학문제 좀 풀어주세요..... 11 ... 2011/11/14 2,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