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하고 첫명절 시댁에 돈드려야할까요?

새댁 조회수 : 3,671
작성일 : 2011-09-02 12:03:19

결혼하고 이번 추석이 첫 명절이에요.

시댁이 지방이라,

내려갈때 뭘 가지고 가야할지 고민중인데

비슷하게 결혼한 회사직원은

용돈도 준비하고, 선물도 준비한다고해요.

 

저도 용돈 넉넉하게 드리고 싶은게 마음이지만,,

이번 추석은 둘다 보너스도 안나오고,

결혼하고 아직 초반이라 그런지

돈들어갈때가 생각보다 너무 많아서 놀랬어요 ㅠㅠ

 

자주 뵙는게 아니라,

그래도 용돈도 준비해가야할까요?

 

IP : 112.221.xxx.245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뱃..
    '11.9.2 12:04 PM (110.13.xxx.156)

    제사비 정도는 드려야죠. 이제 신혼에 맞벌이고 시댁에 생활비 드리는것도 아닌데
    돈드러갈때가 뭐가 많을까요?

  • 2. ..
    '11.9.2 12:04 PM (121.186.xxx.175)

    명절인데 선물이든 용돈든 드려야죠

  • 3. 드리삼
    '11.9.2 12:05 PM (58.224.xxx.49)

    아무리 자애로운 시부모님이어도 맨손이면 속내론 아주 서운해하실 거에요....

    전 마이나스여도 어버이날 명절 칼같이 챙깁니다....

    두배로 챙겨주시는 시엄니기에 안 아까워요...^^

  • 4. ...
    '11.9.2 12:08 PM (180.66.xxx.127)

    돈없으면 빚내서라도 드렸어요.대부분의 부모님들(친정에도 드려야해요) 어려운 사정 이해한다 앞에서는 그러셔도 두고두고 말나올걸요..

  • 그건 아니죠
    '11.9.2 12:10 PM (112.168.xxx.63)

    돈없는데 빚내서...
    애초에 선택을 잘못 하셨네요.

  • 뭔 빚을 내면서까지
    '11.9.2 12:29 PM (175.114.xxx.199)

    첫인사니까 뭐 현금서비스를 받더라도 좀 하는게 맞지만
    말 나오는거 무섭다고 무리하나요. 말 나오는거 보다 빚이 더 무서워요.

  • ...
    '11.9.2 1:00 PM (180.66.xxx.127)

    나무로 된건 재활용에 못 버리던데요.
    쓰레기 봉투 큰거 사서 거기에 담아버려야 할거에요

  • 5. ...
    '11.9.2 12:09 PM (112.187.xxx.155)

    성의표시만 하세요.
    결혼초면 결혼식 후유증으로 돈 많이 들어갔을거에요... 쪼들리는게 당연하죠.
    그래도 암것두 안하면 좀 서운하실테니 10만원선에서 드리고 오세요.
    다른 선물보다는 현금이 나을거에요...

  • 6. 에고에고...
    '11.9.2 12:14 PM (121.165.xxx.63) - 삭제된댓글

    신혼에다 맞벌이에 돈 없으면 애키우실땐 어쩔려고요..
    당근 드려야하고요,,자주 찿아 뵙지 못하면 넉넉히 드려야 해요,,
    원글님 주기싫어서 그런거 아니죠..

  • 7. ...
    '11.9.2 12:16 PM (36.39.xxx.240)

    명절인데 당연히 시댁이고 친정이고 현금을 드려야지요

  • 8. ....
    '11.9.2 12:18 PM (121.132.xxx.42)

    형편에 맞게 드리세요. 명절이 한번 뿐인가요. 내부담능력에서 과하게 하시면 다음에 어쩌시려구요.
    그리구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도하시구. 그럼되요.

  • 9. ㅇㅇ
    '11.9.2 12:19 PM (58.227.xxx.121)

    원래 결혼 초반엔 웬만하면 다 마이너스예요.
    그래도 명절엔 명절비 드려야죠. 어려우시면 10만원 정도 하시고 간단하게 한과나 과일정도 준비해가세요.
    친정에도 똑같이 해드리시고요.

  • 10. 형편껏 하세요
    '11.9.2 12:19 PM (112.168.xxx.63)

    자주 뵙는게 아니라고 돈 안들어 가나요?
    명절,생신, 기타 경조사등 돈 들어가야 할 때 당연히 들어갑니다.
    그러니 처음부터 부담되는 금액 하지 마시고
    꾸준히 챙겨 드릴 수 있는 금액으로 하세요.

  • 11. 아띠
    '11.9.2 12:26 PM (121.162.xxx.91)

    지금 사정상 쪼들려서 생신때는 케익으로 입 닦는데요. 저희시댁은 음식 하나도 안하시거든요.. 시댁에 잠깐 들어 인사만 하고 시외가댁으로 갑니다. 그래도 명절엔 10만원씩 드려요.. 그래야 할것 같아서요.

  • 12. 당근
    '11.9.2 12:27 PM (118.46.xxx.133) - 삭제된댓글

    10만원이라도 드려야죠.

  • 13. 아...
    '11.9.2 12:28 PM (180.70.xxx.122)

    부모님 용돈드리려고 빚내서 드리는 분들도 계시네요
    전 돈있으면 넉넉히 드리고 싶은 맘은 있지만
    빚까지 져가면서 효도하고 싶은 생각은 없네요
    글구 원글님...첫번째 명절이기에 더더욱 드려야하긴하는건데
    액수는 10만원 정도 하시고 선물 좀사가세요 어르신들이 좋아하실만한걸로
    첨에 30만원씩 주면 아무리 사정 어려워져도 그거보다 못드리면
    서운한게 사람마음이죠

  • 14. 스끼다시내인생
    '11.9.2 12:28 PM (115.143.xxx.234)

    많이 주다 줄이는건 어려워요. 첨부터 형편대로 조금씩만 양가에 똑같이 하시길. 형편이 나아지면 늘리더라도요..

  • 15. 드려야죠
    '11.9.2 12:37 PM (59.6.xxx.65)

    당근 드리는게 맞죠


    안줄라고 고민하는것임??

  • 16. ...
    '11.9.2 12:51 PM (115.140.xxx.126)

    돈들어갈때가 생각보다 너무 많아서

    --> 부모님 명절 용돈이 다른 돈 쓸 곳보다 우선순위가 낮지는 않지요.

    현금 십만원 + 2만원 전후 선물 추천합니다.

  • 17. 봄날
    '11.9.2 1:27 PM (180.71.xxx.10)

    이런 고민한다는 거 자체가 좀.....
    결혼했으면 이제 정말 어른이고, 부모님께 할 도리가 있는 건데요.
    돈 들어갈 곳은 점점 더 많아집니다.
    우선순위를 잘 정하시길...

  • 18. ...
    '11.9.2 1:56 PM (125.241.xxx.106)

    매달 용돈은 안드리더라도
    명절 어버이날 생신은 하늘이 두 쪽나도 챙기세요

  • 19. 드리심이...
    '11.9.2 2:45 PM (114.207.xxx.27)

    지금 형편 안 좋다지만 살아보니 형편 좋을 때가... 별로 없더이다. 어렵더라도 할 수 있을 때 하는 게 나중에 후회가 안 되더라는...

  • 20. 돈없다고 굶겨 키우셨다면 모르지만
    '11.9.2 3:00 PM (211.226.xxx.225)

    쪼개고 조개서

    양족 부모님 용돈과

    큰집이 잇다면 제사비 일부 감당하도록하세요

  • 21. ..
    '11.9.2 9:28 PM (124.61.xxx.54)

    양가 10~20만원 사이에서 똑같이 드리세요.
    선물 안 사가도 됩니다.현금이 최고예요.^^

  • 22. 당근이죠.
    '11.9.3 6:32 AM (121.138.xxx.31)

    첫명절이니 만큼 꼭 드려야죠. 명절에 음식장만하고 등등
    돈이 많이 들어요. 가서 먹고 자고 하고 올건데 당연 드려야 하고요.
    첨인데 안드리면 완전 맘상하고 두고두고 말나와요. 20 정도 드려야죠. 선물은
    과일 같은거 부담없는거로 들고 가시고요.
    저는 엄마한 사돈 한과 드리라고 주셨던것 같아요.
    명절은 꼭 챙겨야되요. 그리고 명절에는 어머님이 힘들고 그러시기때문에
    좀 예민하세요. 저는 원래 아주 잘해드리는 편인데도 첫추석에는 가서 많이
    혼나고 오는것 같아요. 친척들 보기 민망했다..면서 트집을 꽤 잡으세요.
    남편이나 내 옷차림등으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763 2호선(대림,신림역~사당역)주변 아파트 추천바랍니다 급질문 2011/09/07 1,182
10762 온라인 비밀번호 자주 변경하세요? 3 2011/09/07 793
10761 저아래 세차장 항의글 쓴사람인데요..(환불vs다시맡김vs그냥잊음.. 1 나라냥 2011/09/07 873
10760 시댁 합가 정녕 다들 반대하시나요? 57 합가고민 2011/09/07 16,029
10759 이미지가 올라가 지나여? 1 hms122.. 2011/09/07 641
10758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요 (특히 밤에요...ㅠ.ㅠ) 3 궁금 2011/09/07 1,688
10757 시댁쇼크 읽다보니 1 오래전에 그.. 2011/09/07 897
10756 과일 껍질째로 드시나요? 6 껍질 2011/09/07 1,264
10755 멸치 육수낸거, 냉장실에서 몇일동안 괜찮을까요? 8 ! 2011/09/07 1,792
10754 아들키때믄에 고민입니다. 2 걱정중 2011/09/07 1,660
10753 나꼼수 아직인가요? 현기증 나네요. 6 ㅇㅇ 2011/09/07 1,203
10752 전 왜 시집엔 잘 하고 친정엔 생각도 못했을까요? 6 우리부모님 2011/09/07 1,916
10751 엔지니어님 양파짱아찌 레시피 좀 찾아주세요. 2 올리비아 2011/09/07 1,607
10750 인공수정에 대해서 궁금해요.^^ 8 궁금 2011/09/07 2,553
10749 불굴의 며느리에서 신애라 목걸이요 2 그냥 2011/09/07 1,632
10748 쉽지 않겠죠? 1 사랑이여 2011/09/07 675
10747 출산후.. 1 vmflgk.. 2011/09/07 861
10746 국민연금내라하는데 궁금해요~(개인사업자분들 조언 궇합니다~^^).. 9 버는것도 없.. 2011/09/07 4,275
10745 눈뜨고 보이스피싱 낚일 뻔 했습니다. 조심하세요. 4 대검찰청??.. 2011/09/07 2,424
10744 작은평수에 살다가 큰평수로 이사가면 생활비가 많이 차이날까요? .. 6 rhals 2011/09/07 2,660
10743 조리원과 도우미 어느 쪽이 더 낫나요?? 6 세아 2011/09/07 1,852
10742 임대주택 장기전세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3 궁금 2011/09/07 1,757
10741 김치볶음 할때 설탕도 넣어야 되나요?????? 컴앞대기 4 ??????.. 2011/09/07 1,403
10740 이런것도 시댁쇼크에 들어가나요? 19 .. 2011/09/07 2,683
10739 연금보험 어떤 게 괜찮을까요? 4 연금보험 2011/09/07 1,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