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와 부모의 대화법
도대체 너는 왜 만날 그 모양이니?” "
언제 제 말을 끝까지 들어준 적이 있나요?”
좀처럼 마음의 문을 열지 않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많은 부모가 자녀의 마음을 읽지 못하고
일방적인 대화를 통해 자녀에게 상처를 주고 있다고 말한다.
자녀를 건강하게 키워낼 수 있는 대화법을 소개한다.
대화의 시작, 먼저 믿고 인정하기 흔히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말이 있다. ‘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는 말도 있다.
모두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말과 대화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말이다.
이런 대화법의 중요성은 어린 자녀와 부모 관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가 아직 어린 경우 일방적으로 이야기하고
명령하듯 이야기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녀도 엄연한 인격체다. 말 한마디 때문에 힘이 나고 말 한마디 때문에 상처받는다.
전문가들은 자녀와의 대화에 있어 어린 시절부터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
백일이 되기 전까지는 무조건 요구를 들어줘라’
낯가림을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줘라’
돌 이후에는 자율성을 최대한 인정하고,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때 ‘
왜’라고 반문하지 말라’는 주문을 내놓는다
실제 아이의 두뇌는 유전보다는 출생 초기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영·유아 시기에 폭행, 폭언, 공포, 스트레스 등
정신적 외상을 받으면 아이의 학습능력이 떨어진다.
미국 뉴욕 대학 소아정신과 카렌 M 홉킨스 교수는
태어나서 만 3세가 되기까지 꾸중만 들은 아이는 좌뇌 측두엽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감정이 없는 아이가 된다고 경고한다.
반대로 만 3세부터 12세까지 정당한 방법으로
꾸지람을 하지 않으면 전두엽이 단련되지 않아
어른이 되어도 인내심과 판단력이 흐려진다는 이론도 있다.
모두 어린 시절 아이에게 상처주지 않는 대화를 강조한 이야기들이다.
이런 자녀와의 대화에 대해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kace.or.kr)
송보아 부모 교육 전문 강사는 자녀와 나누는 진정한 대화는
아이를 인정하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자녀를 사랑하지 말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리 부모가 사랑해서 하는 대화나 행동이라도 받아들이는 자녀가
그것을 사랑으로 느끼지 못한다면 이는 사랑이 아닙니다.
무엇보다 먼저 부모 자신이 우리 아이는
괜찮은 아이다’라고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부모들이 자녀와의 대화에 실패하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 아이가 제대로 해내고 있다는 믿음을 갖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부모와 자녀의 대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은 ‘
내 자식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부모의 그릇된 양육태도라고 지적한다.
부모가 자신만 옳고, 아이는 당연히 자기 말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해서는 대화가 이뤄질 수 없다는 뜻. 아이를 내 소유물 혹은 분신이 아닌
하나의 독립적인 인격체로 볼 때 비로소 대화가 가능하다.
자녀의 행동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괜찮은 아이가 그런 말을 했을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거야’라고 생각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존중하고 수용하는 가운데 내 생각과 같지 않을 때는 자녀가 틀린 것이 아니라
내 생각과 다른 것이라는 식으로 인식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