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방 3개..아이 둘, 부부...방 쓰임을 어떻게 나누면 좋을까요?

방 배치 조언 조회수 : 1,164
작성일 : 2011-02-14 16:05:05
저 밑에 침대 글도 올렸는데요

이사를 가긴 하는데요 딱 40평인 집이라 그런건지..방이 3개랍니다.ㅠㅠ

지금현재 24평 방 3개 살았는데요..아무래도 집이 좁으니, 방이 다 작은 편이기 했고,

이사갈 집은 방이 3개라도, 각방이 아무래도 지금보다는 넓은 편이긴 한데요

안방이 제일 넓고요, 안방에는 드레스룸,파우더룸,화장실이 딸려 있구요

나머지 방 두개 있구요

아이들은 저 밑에 썻지만, 큰애 3학년, 둘째, 세돌...이랍니다. 같은 성이긴 하지만, 나이차가 좀 나서..

방을 어찌 나눠야 할지...

저희가 잡다한 책들이 좀 많아서, 책장에 책도 좀 많을 예정입니다. 그대로 가져가야하니까요.

큰아이 책상, 침대, 작은아이 침대 장난감,교구, 각종 책들(큰아이, 작은아이,부부가 보는책), 피아노 이구요

저희는 서재같은 방은 하나 있어야 할 상황이구요...

서재에, 부부가 사용할 책상, 컴터가있어야 하는데...서재방에, 큰아이 책상을 넣어주는게 괜찮을까요?

아니면, 큰아이 방을 따로 만들고, 큰아이침대, 책상,책장,옷장(또는 붙박이장)을 그방에 넣어주는게 좋을까요?

그런데...침대있는 방에 공부할 책상이 있는게..별로 도움이 안될꺼 같아서....망설이는 중이지만

그러자고, 큰아이 방에  침대와 옷장만 두기엔, 방이 좀 남는 편이라서요..ㅠㅠ

그래서 큰아이 방에, 침대,옷장, 둘째아이 짐, 둘째아이 침대..이렇게 놓을까 했던거거든요

그런데..나이차가 많으니 비추라고 하시는분들이 많으시네요

방3개일경우, 서재가 있어야 할경우.....방배치를 어찌 하면 좋을지.....조언좀 많이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안방이 제일 커서 안방을 서재로 사용할까도 했는데요

어디서 보니 풍수지리상, 집안에 돈을 버는 사람이 안방을 사용해야 좋다고 하네요.ㅠㅠ;;

그렇기도하고, 여러상황상 안방을 부부가 사용해야 할듯하구요...

에효...그렇다고 서재방이 아주아주 넓은게 아니라..각종 책상,책장,아이들 짐들이..다 들어갈꺼 같지도 않고요

어찌.....방을 나눠야 할지...머리가 쥐가 날 지경입니다...

도와주세요...ㅠㅠ

IP : 1.228.xxx.14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 생각
    '11.2.14 4:08 PM (110.9.xxx.144)

    큰아이방 하나, 서재 하나(큰아이책, 어른책은 다 여기로), 안방 하나
    그리고 거실 한 켠에 작은아이 책장, 장난감 놔주시면 어떨까요..

  • 2. ..
    '11.2.14 4:45 PM (125.176.xxx.20)

    큰애방 작은애방 어른방..(어른방에 어른책 넣으세요)
    아니면 거실의 서재화로 모든책을 몰아놓으심이..^^;;

  • 3. ㅁㅁ
    '11.2.14 4:54 PM (180.64.xxx.89)

    저도 각각의 방이 필요 하다 싶어요 . 거실에 전면을 책으로 하고 싶지 않다면
    어른책은 따로 서재로 만드시면 방 두개가 어른 몫이 되잖아요 . 안방 ,서재 ,애들방 이렇게요 .
    전 그보다는 어른 책은 안방, 큰아이 방에 책을 넣어 주고 작은 아이방에도 또 책을 넣어주고 분산 시키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각자의 침대 책상 책장 이렇게 넣어 두는 것이 좋아 보여요

  • 4. 방 배치 조언
    '11.2.14 5:05 PM (1.228.xxx.148)

    그럼...작은아이를 위해 새로살 침대는 어디에 두면 될까요?

    그런데..작은아이방을 하나 마련하자니..아직 작은아이는 짐도 별로 없고, 그에 비해 방은 넓어서..왠지 공간활용이 아까운 생각이...ㅠㅠ

    아...거실을 넓고 여유롭게 사용하고팠는데..거실을 서재로 써야할까요..?

  • 5. 방3개
    '11.2.14 5:11 PM (125.141.xxx.210)

    아이가 같은 성별이라도 터울이 지면 방을 나눠야 됩니다. 큰아이가 작은 아이
    때문에 집중을 못해요. 평수가 넓든 좁든 방3개에 전문적인 서재방은 욕심입니다.
    아이짐은 아이방대로 나누고, 아이책들도 아이들 방으로 나눠야 됩니다.
    다만 작은아이방이 넓다면 한쪽으로 책장을 넣어 어른 책을 꽃아 두는것도 괜찮아요.
    컴퓨터 같은것은 안방으로 넣구요. 그래야 거실이 넓어 진답니다.

  • 6.
    '11.2.15 12:59 AM (121.139.xxx.252)

    그냥 간단하게 자기 것은 자기가.... 갖고 방에 들어가면 될 듯 한데요^^;

    컴터 등은 거실에 두는 게 맞다고 보고요. 아이들이 컴터를 지나치게 사용해선 안되니까.
    그리고 잠을 잘때 전자파가 많이 나오는 제품들이 곁에 있는 건 숙면에 방해가 된다고 합니다.

    책들은 아이들 책은 각자 방에 넣어 주시고 부부가 함께 자주 보는 책들은 거실 컴터 옆에,
    그리고 잘 안보는 오래된 책들은 둘째 방에 둘째 책들과 함께 해두시는 게 좋을 듯 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1661 톱밥속에 들어가서 안나와요.. 4 우리집햄스터.. 2010/09/28 513
581660 오늘의 추천곡입니다. 1 미몽 2010/09/28 253
581659 하늘하늘한 빠리지엥..은 개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3 .. 2010/09/28 1,104
581658 아기 수수팥떡, 백설기 직접 만들어주고 싶어요. 가능할까요? 3 생초보 2010/09/28 388
581657 이백천의 세시봉이야기 1 재밌어요 2010/09/28 662
581656 한글과컴푸터 한글 2007 7 여전히무식이.. 2010/09/28 540
581655 국민 연금 내야 할까요?? 5 연금 2010/09/28 1,285
581654 성폭행범, 합의는 무죄?…"돈 받고 마음 푸세요" 3 세우실 2010/09/28 251
581653 백화점 상품권 싸게 살 수 있는 곳 있을까요? 4 혹시 2010/09/28 940
581652 이럴 경우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부탁해도 될까요? 2 rr 2010/09/28 557
581651 놀러와 게시판에서 퍼왔어요 (송창식씨와 부인 인터뷰) 18 대인배 2010/09/28 20,388
581650 김치 담가서 행복해요~ 1 룰루~ 2010/09/28 675
581649 매실 다 들 건지셨나요? 씨뺀 과육은 어떻게 먹어야 하나요? 3 매실 2010/09/28 673
581648 미술학원 고민됩니다!! 82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2 학원 생전 .. 2010/09/28 397
581647 사주 이야기 나와서 저도 거들어요 2 내 팔자 2010/09/28 1,467
581646 남부터미널 하고 가까운 경기도? 8 거리 2010/09/28 570
581645 다 내가 잘해!!! 이런 남편이랑 사는 분 2 뭐든지 2010/09/28 458
581644 디지털카메라 추천바랍니다. 3 휙이 2010/09/28 484
581643 휘님이 궁금해요 4 하이 2010/09/28 623
581642 정말 싫은 거였네요..이아이 요아이.. 2 으아악 2010/09/28 887
581641 폰타나 기름 좋은건가요? 1 .. 2010/09/28 382
581640 입술에 물집 잡혔어요..ㅠ.ㅠ 4 D라인 2010/09/28 468
581639 과하게 퍼주고 집착하는 친정엄마때문에 미치겠어요... 18 답답 2010/09/28 3,414
581638 갈비찜이 너무 달아요 ㅜㅜ 즉효방법 없을까요? 3 . 2010/09/28 1,531
581637 건야채, 어떤가요,안좋진 않겠죠? 애용하는데요... 1 시금치금치 2010/09/28 360
581636 초등 교과서는 도대체 누가 만들까요 힘들어.... 14 도망자 2010/09/28 1,073
581635 코스트코 야채도 많이 올랐나요? 7 ... 2010/09/28 1,103
581634 대파 없이 지내기. 11 나는 2010/09/28 1,806
581633 송창식씨가 놀라겠어요 7 ㅎㅎㅎ 2010/09/28 2,184
581632 캐나다산 카놀라유 오일 괜찮을까요?? 3 싫은데 2010/09/28 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