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런 글 쓰면 욕먹을거 뻔할거 같지만..

욕먹을 각오 조회수 : 2,593
작성일 : 2011-02-10 23:21:03
여자들 많이 모이는 타 카페에 보니

예비 신부들 사이에서 하객 도우미 이런 것도 있더라구요. 이런 도우미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을듯 ㅋㅋ (아니려나요?^^)

그리고 결혼이 전부 그런건 아니겠지만, 결혼식 준비 절차도 너무 뻔하다는 생각도 들구요. 너무 틀에 박혀 있지 않나요?

그리고 왜 그리 많은 예물과 돈이 오가는지? 그것도 좀 이해가 안가네요.

물론 이런걸 이해 못하는 건 제가 경험이 없기 때문이겠지만요.
IP : 175.114.xxx.107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중년
    '11.2.10 11:23 PM (125.129.xxx.60)

    저도 이해 못합니다.......

  • 2. 욕먹을 각오
    '11.2.10 11:25 PM (175.114.xxx.107)

    아.. 그러시군요.. ㅡ.,ㅡ 저만 이런 생각을 하는 줄 알았는데..

  • 3. 매리야~
    '11.2.10 11:28 PM (118.36.xxx.147)

    사람들의 이목이 부담스러우니 그렇겠지요.
    썰렁한 결혼식을 보고 혹시나 수군대지 않을까하는...

    우리나라 결혼식이란 게..떠들썩해야 좋다라는 사고가 있다보니
    그렇지 않을까 합니다.

    나름의 사정이 있으니 하객도우미도 쓰지 않을까....그런 생각은 들어요.

  • 4. 할때도
    '11.2.10 11:29 PM (110.9.xxx.142)

    좀 그렇기는 하지만 특이하게 한다는것도 모험이기는 하죠
    저는 예물도 반지만 나눠끼고 예단도 안하고 이바지도 안하고 다 생략하고 했어요
    제가 이런것이 다 낭비라는 생각에...
    10년이 지난지금 생각하니 다시한다면 결혼식 본식도 식구끼리 모여서 조용하게 했을것 같아요

  • 5. 욕먹을 각오
    '11.2.10 11:33 PM (175.114.xxx.107)

    물론 남의 이목 의식해서 그러는거 알죠.. ^^

    남들 보기에 이상해 보일까봐 기둥뿌리 뽑아가며 결혼하는 그 사고방식이 이해가 안된다는 거에요.. ^^

    남이 대신 해주는 결혼도 아니고, 남이 대신 살아주는 결혼 생활도 아닌데 왜 남들 눈치를 그렇게보는건지 ..

    카페에 웨딩촬영 사진 올리는 것도 보면 다 똑같아요.. 모두 똑같은 절차에.. 똑같은 사진.. 그런 사진들 평생 보나요?

    그런 모습들 보면 결혼하기가 싫어져요..

  • 6. 매리야~
    '11.2.10 11:35 PM (118.36.xxx.147)

    저도 기존의 결혼식 말고 조촐하고 소박하게 하고 싶단 생각 하는데...
    막상 결혼을 앞두면 마음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더군요.

    결혼..현실과 이상이 좀 다르긴 합니다.

    저도 예단같은 건 정말 없앴음 좋겠어요.

  • 7. ...
    '11.2.10 11:42 PM (220.93.xxx.209)

    우리나라 겉치레 허례허식 많이 심한 편이죠
    정말 맘에 안 들어요

  • 8. 흠...
    '11.2.10 11:45 PM (222.233.xxx.4)

    전 결혼식 자체가 쓸데없는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준비하면서 배우자의 본성이라든가, 경제력에 따른 대처, 상대편에서 결혼을 준비하는 자세, 시부모나 장인장보가 될 사람들의 품성 등을 좀 알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는 것 같아요.
    나쁜 점을 알게 되면 청첩장 돌렸다 하더라도 취소하는 것이 이혼보다는 낫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본성과 성격은 거의 바뀌질 않으니까요.

  • 9. 흠...
    '11.2.10 11:46 PM (222.233.xxx.4)

    장인장보(x)- 장인장모(O)

  • 10. ^^
    '11.2.11 12:17 AM (211.234.xxx.2)

    아들이 중학생인데 장가갈때는 정말 위엣분 말씀처럼 예단, 이바지 등
    기타 허례허식 안하고 간단하게 하고파요. 이런생각 갖는 사람들이 많아
    져서 우리아이들 결혼할때쯤이면 많이 달라졌으면 좋겠어요

  • 11. 결혼식은요
    '11.2.11 12:18 AM (220.127.xxx.229)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의미도 큰 겁니다.
    나 이놈하고, 나 이年하고 결혼하니까 얘가 내꺼라는거 잘 봐두고 기억해주라.
    그리고 혹시 얘가 헛짓하는거 보거든 그냥 넘어가지 마라, 그런 의미가 있죠.
    더불어 자신과 자신 집안의 위세를 과시하는 것도 있고요.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냥 그렇게 돈을 들이고 시간을 들이는 풍습이 생긴 건 아니지요.
    결국 저런 위세가 필요없고, 상대가 내것이라는 것을 사방팔방에 소문내지 않아도 확실히
    상대를 장악할 자신이 있으면 그런거 안 해도 되는겁니다.

  • 12. 원스이너불루문
    '11.2.11 12:30 AM (180.224.xxx.10)

    내가 돈이아무리 많아도 자식에게 일정액수이상을 주면 증여세를 물어야합니다.
    상속하면 상속세도 물어야하고요
    그런데 유일하게 세금을 안내도 되는게있어요
    바로 혼수입니다.
    혼수는 금액이얼마든 세금을 메기지 않아요
    사회상규에 반하지않은 운운하면서 세금을 안메기게 되어있죠
    그래서 고액의 자산가들은 자식들에게 물려줄재산을 혼인할때 준답니다.
    혼수를 몇억씩주는건 생전증여 의의미로 준다고 보면 돼요

    몇일전에 왜 이혼했다고 혼수2억하고 지참금 8억인가 돌려달란소송있었죠
    그런게 그런겁니다.

    혼수로 몇억씩줘서 받아서 집사면 세금한푼안물어도 되니까 그런식으로 가는거죠
    집을사주면 증여세 혹은 상속세를 물어야하지만 결혼할때 혼수로 딸부모가 주면 세금면할수있고 딸이 그돈받아서 사면 세금한푼안낼수있습니다.

  • 13. 저도요...
    '11.2.11 1:31 AM (86.128.xxx.209)

    네.. 저도 원글님이랑 똑같은 생각이에요.
    전 저랑 관계된 것은 안해도 상관없는데 부모님이랑 관계된것은 제 맘대로 할 수가 없어서 최소한 흉내만 냈어요.
    웨딩촬영 안하고 피로연도 안하고 함 받는것도 안했어요. 이것저것 다 빼고 빨리 그냥 살았으면 좋겠드라구요. 신혼여행도 둘이 배낭 메고 그냥 제주도 돌아다니다 왔어요. 그래도 섭한거 하나도 없고 오히려 지금 다시 하라면 예물도 안할것 같아요.

  • 14. 욕먹을 각오
    '11.2.11 8:32 AM (112.216.xxx.98)

    위에 댓글들 읽어보니, 재력이 좀 되시는 분들은 과시를 위해서라도, 아니면 재산분배를 위해 혼수를 크게 한다는 것이고..

    그 외 사람들은 허례허식이니까 필요 없다.. 대체로 이런 생각인 것 같네요.

  • 15. 머리로는
    '11.2.11 9:29 AM (115.136.xxx.24)

    머리로는 원글님처럼 진부하다, 허례허식이다, 이렇게 생각해도
    막상 자기가 결혼할 때가 되어 이리저리 떠밀리다보면 의식할 새도 없이 그렇게 진행되는 거 같아요

    때로 '난 이런 관습따위 타파할테다!'라고 마음먹어도,,
    결혼이 혼자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쉽지 않아요,,
    헤쳐나가야 할 것이 많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0003 아빠에게 있어서 첫째는 조금 특별한 느낌인가요? 또 4살아이의 기억력.. 5 그런가 2010/09/25 846
580002 영화 무적자--볼만 한가요? 6 // 2010/09/25 782
580001 호텔침구의 속통은 뭔가요? 4 포근해 2010/09/25 1,685
580000 선물 보통 이렇게 사셨나요? 20 .... 2010/09/25 2,409
579999 도박, 공무집행방해 벌금 200만원 6 내가 못살아.. 2010/09/25 903
579998 "MB·유인촌 꼭 봐야…돈 대신 삽도 받는다" 2 샬랄라 2010/09/25 495
579997 긴급~~~베이비순이 뭘까요? 6 베이비순 2010/09/25 881
579996 스칸디아 가구 싸게 살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5 가구 2010/09/25 1,651
579995 여행사에서 카드 현금영수증 안해주는거 2 여행사 2010/09/25 466
579994 그럼 오리털이불은 겨울에도 아주 따뜻한가요? 16 급질 2010/09/25 1,692
579993 완벽한 남자는 없는거죠? (없는거라 믿고싶음..ㅜㅜ) 17 qkd 2010/09/25 2,090
579992 kt 휴대폰으로 게임.동영상 5분 정도를 했는데, 6만원이 나왔어요. 1 음...당했.. 2010/09/25 593
579991 추위를 너무 많이 타는데.. 보약..뭘먹어야 할까요 11 추워요 2010/09/25 1,204
579990 광화문 물난리...지금 다 정상으로 정리되었나요? 교보문고는..? 3 오늘 2010/09/25 1,655
579989 와인폰 써보신 분들 어른들이 실제로 쓰기 좋은가요? 5 궁금 2010/09/25 558
579988 서대문쪽에 제등 풀어줄 경락 잘하는곳이요.. 2 등이아파요 2010/09/25 547
579987 급질입니다 답변플리즈 ㅠ) '차렵이불' 가을 겨울에 덮고자기 따뜻한가요? 6 급질 2010/09/25 896
579986 분쇄된 원두커피는 개봉후 얼마나 보관 가능할까요..? & 보관방법 팁도 알려주세요..^^ 7 ... 2010/09/25 1,848
579985 아이 세뱃돈이나 용돈은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5 아이 2010/09/25 780
579984 신세계~~검은아저씨 치즈케익~~!!!!!!!!!!!!!!! 4 치즈케익 2010/09/25 1,867
579983 8살 어린 동료직원의 문자 ~ 41 머리아파 2010/09/25 5,924
579982 샘표랑 농심이랑 어느쪽이 더 좋나요? 16 샘표 2010/09/25 1,580
579981 글 내립니다. 감사합니다. 49 아놔 2010/09/25 9,452
579980 소유진은 이태영의과거를 모르고 결혼한건가요? 2 황금물고기 2010/09/25 1,484
579979 결혼 십년동안 한번도 안싸울 수 있나요?? 25 ?? 2010/09/25 2,292
579978 BYC, 트라이 아동내의 싸게 구입할곳 없을까요? 6 ... 2010/09/25 927
579977 키톡 애쉴리님 밥상보면 수저받침이요- 4 궁금해서요 2010/09/25 1,063
579976 황금 물고기에서요~ 7 드라마 2010/09/25 1,853
579975 다른 집에 가면 설거지 하시나요? 20 알쏭 2010/09/25 2,462
579974 클래식 음악감상실 3 예전 종로3.. 2010/09/25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