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잠 안자고 책 읽어달라는 아이.. 언제까지 읽어주세요?

갈등됩니다 조회수 : 1,051
작성일 : 2011-01-31 11:18:57

매일 그러지는 않아요.
그냥 좀 일찍 잠들었거나 (보통 10시에 자고 다음날 아침 10시에 일어나요.)
중간에 자다가 설핏 깼을때 책책책책 거립니다.

그럼 불켜놓고 잠시 읽어주면 자기도 하고 잠결에 물고기책 읽으면 손바닥 마주하고
왔다갔다 물고기 흉내도 잠시 내다가 잠들기도 하고요.

근데 가끔 일찍 잠들거나 그러면 꼭 새벽에 일어나서 책을 한두시간씩 읽으래요.
읽어주면 좋은데 네..저도 너무 피곤하면 한시간 읽고 지쳐서 우리 내일 또 읽자~하게돼요.ㅠㅠ
그러고나면 아이는 울고불고 난리구요.

신랑은 그냥저냥 넘어가는데 자기도 피곤하면 나가 잘때도 있고...
옆에서 짜증내느니 저도 그게 낫다고 생각하는데 어제는 제가 짜증이 났어요.

아침에 읽자..고 달래도 싫답니다.ㅜㅜ
책 좋아하는건 좋은 일이고 저도 다 해주고싶은데 잘시간 쪼개서까지 읽어야하나 싶은 맘이 들어요.
잘먹고 잘자야 쑥쑥 크는거라고 저는 생각해서 그런지..

다른 분들은 어떠세요?
그냥 아이가 원할때까지 이제 잔다고 할때까지 새벽 두시건 세시건 간에 읽어주는 편이세요?
어째야할지 모르겠어요.

아.. 아이는 이제 25개월된 여자아이예요.
IP : 180.65.xxx.3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31 11:22 AM (115.137.xxx.13)

    자다가 새벽에 불켜고 책읽고.. 넘 피곤하실 것 같고 그런 습관은 고쳐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새벽에 깨서 책 읽어달라고 해도 불 켜지 마시고 님이 토닥토닥 해주시면서 옛날 얘기 같은거, 아님 잘 알고 있는 동화얘기 그런 거 해주시면 안될까요?
    그럼 다시 금방 잠 들걸 같은데... 저도 울 아들 재울 때 같이 누워서 옛날 얘기 해주고 하면 재미있게 듣다가 스르르 잠들더라구요.
    그게 잘 훈련되면 동화 시디 같은 거 틀어주셔도 되구요

  • 2. 60분 부모
    '11.1.31 11:23 AM (114.205.xxx.33)

    전문가가 잠안자고 책원할때까지 읽어주는거 말도 안되는 행동이라고 했어요.
    권수를 정해놓고 습관을 들이면 일주일안에 익숙해진다고 하더라구요. 사실 그렇더군요.

  • 3.
    '11.1.31 11:26 AM (125.243.xxx.194)

    34개월 된 제 딸아이가 책책합니다. 근데 저희 애는 밤에는 안 깨고 쭉 자니 새벽에 어떤지는 잘 모르겠구요. 낮잠 자면서 책 읽어주다가 잠들면 얼핏 깨서 왜 책 안 읽어줘? 하면서 잠꼬대를 해요.
    담에 읽어줄께, 이따 읽고 지금은 그냥 자자 해도 읽어줄때까지 땡깡 부리는 통에 전 그냥 읽어줘요.
    근데요.. 우선은 새벽에 깨는걸 잡아줘야 할 듯 싶어요. 밤잠은 깊이 푹 자는게 좋은거 아닐까 싶어서요. 엄마도 피곤하고 아이도 피곤할 거 같은데...
    아~~ 어쨌든 엄마 노릇하는거 힘듭니다. -.-;;

  • 4.
    '11.1.31 11:30 AM (203.218.xxx.149)

    말귀 다 알아들을 나이인데 부모라고 해서 24시간 충성에 희생할 필요 없어요.
    필요가 없는 게 아니라 하면 안됩니다. 규칙을 정해서 지키는 것도 교육이거든요.
    낮에 실컷 놀려서 밤에 푹 자도록 하셔야 할 듯하고 밤에 깨서 울고 졸라도
    규칙을 정하면 무조건 지키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아이도 헷갈리고 떼도 늘어요.

  • 5. .
    '11.1.31 11:58 AM (125.176.xxx.20)

    자기전에 먼제 딜합니다. 오늘은 몇권...
    제가 많이 피곤하고 힘들거나 취침시간이 늦어졌으면 3권...
    컨디션이 괜찮고 시간이 좀 이르면 한명당 3권씩..총 6권..(물론 애들이 어려서 글밥이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둘째는 19개월이라 거의 그림책..^^;;)

    자기전에 먼저 정하세요 애랑 얘기하면서^^

  • 6. 책읽어주는 엄마
    '11.1.31 12:06 PM (120.142.xxx.8)

    특히 아이가 자기전 책 읽어주는게 아이에게도 엄마에게도 아주 소중한 시간이라고 하네요. 읽을때는 최대한 감정을 살려서 읽어주세요 ^^ 제가 일본에 여행갔을때 도쿄에서 만화책 읽어주는 남자를 (유명해서 TV에도 몇번 나왔음) 직접 봤거든요. 너무 너무 흥미 진진하게 읽어주는거예요. 그래서 이왕 읽어주는거 저도 정말 재미있게 읽어주려고 노력한답니다. 엄마 직업 자체가 나름 프로잖아요. 그리고 책 권수는 우리 집은 잠자리에서는 정해진 권수가 3권입니다. 포상으로 한 두권 더 읽어줄때도 있고 아이 스스로 피곤할때는 한권만 읽자고 서로 타협을 보기도 하죠.

  • 7. .
    '11.1.31 12:22 PM (115.86.xxx.17)

    60분 부모에서 오은정샘?인가 전화 질문에서 그러시데요.
    세권정도 정해놓고 딱읽고 그담엔 자는거라고 불꺼야한다고요.

    물론 규칙대로 키우는게 힘들지만
    전문가의 말은 그렇더라는.

  • 8. ..
    '11.1.31 1:18 PM (203.244.xxx.254)

    제 경험으론..책을 좋아하는것도 그렇고..
    잠 자기 싫어서
    아이도 엄마가 책읽어 달라는 요구는 잘 들어주는걸 아는것 같았어요..
    잠자기 싫을때 건성건성 들으면서도 책읽어달라고 생떼를 쓰더라구요 ㅠㅠ

  • 9. ,.
    '11.1.31 1:50 PM (125.187.xxx.167)

    푸름이아빠 생각이 나네요..
    밤새도록 와이프와 교대로 책 읽어줬다는...ㅎㅎ
    참 대단하다고 생각했지만,, 일단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여러댓글다신분들이 말씀하신대로^^

  • 10. ...
    '11.1.31 4:28 PM (220.70.xxx.65)

    책읽기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엄마와의 상호 교류라고 생각합니다.
    엄마 아빠가 짜증나고 아이의 수면 리듬이 깨지는 책읽기는 독보다도 못하다고 생각해요.
    예전 푸름이 아빠라는 사람이 아이가 원하면 밤을 새서라도 읽어주라는 글을 읽고 이게 뭐 X소리린가.... 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어요.
    새벽에 깨지않게 수면 조절 잘 하셔서 자기전에 즐거운 독서시간 가지세요.

  • 11. 자다
    '11.1.31 9:21 PM (58.143.xxx.241)

    자다 읽어주는건 부모에게 너무나 피곤한 일 아닌가요? 언제나 원할때마다 책을 읽어주어야만 아이에게 좋은 일이라고는 생각지 않구요. 제 경우는 권수를 정해놓고, 엄마가 피곤하니까 오늘은 두권만, 혹은 제 컨디션이 좋으면 5-6권 정도 읽어줍니다. 아이가 5권 정도 뽑아왔는데, 제가 힘들면 아이와 타협해요, 그럼 보통 2-3권 정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7280 최면에 걸리면 증상이 어떻게 되나요.. 1 bora 2011/01/31 326
617279 아파트 거실 바닥에서 사각 사각 소리가 거실 2011/01/31 330
617278 속이 안 좋아서 고생이신 분들. 그냥 제 경험이에요. 6 *** 2011/01/31 2,084
617277 s*2 클리어스팟 효과 있나요? 2 ㅡㅡ 2011/01/31 480
617276 위대한탄생. 21 위탄 2011/01/31 2,664
617275 신랑이 자면 코로 숨을 쉬어도 냄새가 나요 4 .... 2011/01/31 1,243
617274 스마트폰으로 트위터계정 몇개까지 만들수 있나여? 3 t 2011/01/31 619
617273 노후대비 저축인데 한번 봐주시겠어요? 1 노후 2011/01/31 713
617272 세줄그분 약속 4 ... 2011/01/31 222
617271 언니가 일본...도쿄..에 있어요~!!!!!!!!!!!!!! 1 사업구상 2011/01/31 764
617270 투자권유로 남편이 투자를 했는데, 권유자에게 돌려받을 수는 없는거겠죠? 5 투자손실 2011/01/31 615
617269 아래 소망교회 어쩌고..세줄 그 분 2 피하세요 2011/01/31 270
617268 폐백요리 전문가 하려는데 3 너무 힘들까.. 2011/01/31 649
617267 아이패드사니까 참 좋긴한데요... 4 ... 2011/01/31 2,035
617266 잠 안자고 책 읽어달라는 아이.. 언제까지 읽어주세요? 11 갈등됩니다 2011/01/31 1,051
617265 남편이 대머리이신분 자녀들 유전이 되던가요? 17 걱정 2011/01/31 1,550
617264 결혼 10년 차 넘으신 분들.. 행복한 결혼이신가요? 10 혹시나 좀비.. 2011/01/31 1,829
617263 콜택시, 새벽에도 부르거나 예약할 수 있나요? 4 명절 2011/01/31 1,803
617262 테니스엘보증후군에 대해서 아시거나 치료받으신분계시나요?? 4 아파요 2011/01/31 566
617261 생명 지장 없다더니… 軍 초기발표 ‘안이한 판단’ 논란 6 세우실 2011/01/31 454
617260 UAE원전 기사는 쥐뿔도 안보이네요. 3 찍찍이 2011/01/31 463
617259 김비서 이게 최선입니까? 1 스몰마인드 2011/01/31 361
617258 나이 40에 세째 임신했어요~~ㅜㅜ 16 .. 2011/01/31 3,009
617257 그들이 사는 세상 해피엔딩인가요 1 현빈앓이 2011/01/31 722
617256 미국 사정(?) 잘 아시고, '위기의 주부들' 즐겨보시는 님 계신가요? 4 딴소리같지만.. 2011/01/31 1,043
617255 항상 궁금했었어요 1 쉬운건가요?.. 2011/01/31 185
617254 초1 가방사려고하는데요, 4 예비학부모 2011/01/31 427
617253 시누이 큰아이가 대학에 갔는데... 12 축하금 2011/01/31 1,382
617252 남편 회사에서 받은 인센티브 달라는데 얼마를 13 줘야하나요 2011/01/31 1,540
617251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좀 알려주세요ㅜㅜ 2 차량파손 2011/01/31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