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작은딸 예비초등생인데요.. 더하기,빼기 10넘어가는것 계산법..

... 조회수 : 761
작성일 : 2011-01-26 09:57:00
예를 들어 17-5를 한다면 아직 받아내림,받아올림 이런식을 어려워해서 딸이 혼자 터득한게 속으로

17 밑으로 16,15,14~ 이런식으로 5를 빼주고 계산해요.. 이 나이에 이렇게 계산해도 되는지 아니면

식풀이로 해야하는지요? 어떤 엄마는 너무 선행한다고 저한테 얘기하는데 그렇게 어려운것게 아닌것 같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IP : 175.193.xxx.22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컥...
    '11.1.26 10:01 AM (125.182.xxx.42)

    원글님 . 울 아들램 초2 올라가는데 지금 그거 하고 있슴다. 너무너무 앞서가심다.

  • 2. .
    '11.1.26 10:03 AM (183.98.xxx.10)

    원글님 딸 불쌍합니다. 그렇게 어려운 게 아닌거 같다구요.
    초2들도 받아올림 받아내림 헷갈려하거든요.
    제발 아이 머리 커질때까지 좀 기다려보세요.

  • 3. 그냥
    '11.1.26 10:03 AM (14.50.xxx.4)

    세로셈해서 십의자리는 십의자리끼리 일의자리는 일의자리끼리 뺴라고 해요. 빌려와서 뺴는 건 아직 안 나오고, 나오면 가르치면되구요.

  • 4. 캐들레아
    '11.1.26 10:07 AM (59.12.xxx.224)

    빼기가 잘 되려면 우선 10 넘어가는 더하기가 기본입니다
    10 넘어가는 더하기는 먼저 십진법을 기본으로 10의보수(애들한테는 쉽게 십짝꿍이라고 말해요)를 확실히 터득하게 한뒤 가르기를 이용해서 계산하게 합니다
    즉 십진법,10의보수,가르기등이 단계별로 완벽히 되어야 우리가 쉽게하는 7+8=7+3+5=10+5=15가 터득되는겁니다
    하루아침에 되는건 아니지요
    이제 10넘어가는 더하기를 많이 연습하게 되어 익숙해지면 역으로 빼기가 자연스럽게 답이 나옵니다
    선행이 문제가 아니라 과정을 오래 탄탄해 했느냐가 수학실력을 좌우합니다

  • 5. 원글
    '11.1.26 10:08 AM (175.193.xxx.221)

    반성중입니다.. 우리 옆집에 같은 나이 친구는 구구단,시계보기를 정확히 해서 우리애가 좀 늦은건줄 알았네요.. ㅠ 답글 감사합니다.

  • 6. ...
    '11.1.26 10:09 AM (125.244.xxx.66)

    선행학습을 너무 하시고 계신듯...
    그래도 정~~ 선행해주시고 싶으시면 요즘 학습지들 잘 나오잖아요..
    1-1한권 사셔서 같이 풀어주세요..
    받아내림, 받아올림은 1-2학기 끝무렵에나 나온답니다..

  • 7. ..
    '11.1.26 10:10 AM (112.185.xxx.182)

    아니에요 저 초등학교(그때는 국민학교) 7살에 들어갔지만 10단위 계산 다 하고 들어갔습니다.
    아버지가 잘 가르치셨는지 제가 똑똑 했는진 모르겠지만요 ㅋㅋ

    산수는 5개짜리 묶음 만들기부터 해서
    그게 익숙해지면 10개짜리 묶음 만들기 하면 되요.
    그 다음엔 묶음 풀기 연습 시키면 되구요.
    그렇게 가르쳐두면 두고두고 어른이 되어서도 계산엔 자신있습니다.

    그게 암산의 기본이기도 하구요.

    그러니까 14-7 이면
    4에서 7을 뺄려면 모자라니까
    10에서 7을 빼고 남은 3을 4랑 더해라 <- 이렇게 가르치시면 되는거에요.
    어른들도 그렇게 계산하면 편해요.

  • 8. ..
    '11.1.26 10:12 AM (112.185.xxx.182)

    마찬가지로 7더하기 8을 하면 아이들이 어려우니까
    7에서 10을 만들려면 3이필요하니까 8에서 3을 가져가면 남는게 5..
    그러면 15가 된다 이렇게 이해하는거죠
    처음엔 이쪽이 더 복잡해 보이는데 익숙해지면 차원이 달라져요.

    초기엔 숫자 2개로 하지만
    나중엔 3개 4개로도 가능하고
    초기엔 5만들기 10만들기로 하지만
    나중엔 20만들기 30만들기 이런씩으로도 가죠.

  • 9. ...
    '11.1.26 10:16 AM (123.109.xxx.203)

    수학교과서 구해보세요
    그 계산을 너댓가지 방법으로 생각하도록 가르칩니다
    차라리 10의 보수를 열심히 연습하세요
    매실씨앗 같은걸로 매실이 모두 열개인데 바닥에 7개가있다면 엄마손엔 몇개가있을까
    이런거요
    100까지 세는것도 누워서하기좋아요 자기전에
    1,2,3.....100,99,98 하나,둘...백,아흔아홉
    엄마가 번갈아 세면 부담없어 좋아해요

  • 10. -
    '11.1.26 10:17 AM (211.209.xxx.77)

    1학년 2학기 과정이군요.
    정 가르치고 싶으시다면 1학년 2학기 교과서에 나오는 방법을 찾아 가르쳐주세요.
    다만 수개념이 안 잡혀 있으면, 아무리 설명해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개념이 잡혀있으면, 연산 풀이 안 시켜도 문제 보면 바로 풀고요.

    자기 머릿속에 있는 수의 묶음과, 그 설명을 이해할 수 있는 사고력(문장 이해력 및 도해 이해력)-
    이게 갖춰져 있기 전에는 아무리 설명해도 아이에게는 괴롭기만 할 겁니다.

    가끔... 연산만 줄창 시키는 어머님들 많이 뵙는데.....
    아이가 얼마나 괴로워하는지를 좀 봐주셨으면 하는 바람을.....- -

    (초2 올라가는 아이 두고 있는데요,
    1학년 2학기에 나오는 이 과정 때문에 애 먹는 엄마들을 많이 봐서 그래요.
    6살 때부터 학습지며 많이 시키던데.. 아이는 정작 그 풀이연습에 지쳐서 개념을 이해하려 하지 않더라고요;;)

    차라리 수학동화 같은 것 충분히 읽히면서 수개념 도형개념 갖추게 해주고
    책 많이 읽혀서 문장이해력을 높여두는 쪽이 장기적으로 유리하지.. 싶네요.

    시간개념, 구구단..... 외우면 끝입니다.
    아이들 암기력.. 정말 높아요.
    그런 보이는 결과에만 연연해하지 마시고... 아이들에게 '이해'를 먼저 시켜주세요~ ^ ^

  • 11. 웃음조각*^^*
    '11.1.26 10:22 AM (125.252.xxx.182)

    우리애는 여섯살 때 셈셈피자놀이로 놀면서 연산 먼저 길 터주고요.
    중간엔 손가락으로 동원해서 세더니
    기탄수학으로 연산 조금 시켜줬더니 잘 푸네요.

    속도도 제법 붙어서 덧셈뺄셈 2자리수 20문제짜리 1장 3분이면 풉니다.

  • 12. 우리딸 7살
    '11.1.26 11:35 AM (219.254.xxx.170)

    될껄데 지금 그걸 하고 있는데요
    빠른건가요 72-8 이런거 하는중인데 아이가 문제 풀면서 너무 즐거워해요
    너무 재밌다 그러면서요 그럼 시켜도 될까요
    너무 이르다 하니 제가 잘못하는가 해서요

  • 13. 그게요
    '11.1.26 2:04 PM (58.227.xxx.121)

    수개념이 아이들에 따라서 발달 정도가 다릅니다.
    걷는것도 빨리걷는애 느리게 걷는애 있잖아요.
    여기에도 종종 올라오는질문.. 우리애 말 늦는데 어쩌나요.. 이러면
    대부분 3살때까지만 트이면 괜찮아요.. 우리애도 늦었는데 지금 말 아주 잘해요.. 이런 글들 많이 올라오죠?
    수개념도 마찬가지예요.
    수개념이 5-7세 개념부터 조금씩 발달하기 시작하는데요..
    좀 일찍 트이는 애들있고 늦게 트이는 애들 있습니다.
    늦게 트인다고 머리 나쁜거 절대 아니고요..공부 못하는것도 아닙니다. 좀 더딜 뿐이죠.
    애들 말문 늦게 트인다고 말 못하는거 아니듯이요.
    그런데 문제가.. 수개념이 덜 잡힌 애들을 가지고 무리하게 연산을 시키면
    아이들이 수학을 싫어하고 거부감을 가지게 되요.
    그렇게 한번 거부감이 생기면 극복하기가 힘듭니다.
    결국 엄마는 공부 잘 하라고 열심히 가르치는데 애는 괴롭기만 하고 나중에 수 개념이 생겨도 수를 거들떠 보기도 싫어지고..
    결국 수학도 싫어지고 성적도 떨어지고.. 하는 돌이킬수 없는 부작용만 생깁니다.
    지금은 아직 아이가 어리니 연산인데요.. 더 커서도 마찬가지예요. 수학 과도하게 선행하는거 다 똑같은 부작용 만듭니다.
    괜히 애들 잡지 마시고~ 애 수개념 살펴가면서 괴롭히세요.

  • 14. 루시아
    '11.1.26 4:17 PM (114.206.xxx.134)

    너무 일찍 서두르지 마세요.
    시간이 지나면 터득하게 될것을 억지로 가리치다 보면 역효과 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2845 추석때..부산가실분...모여서 같이가고 싶은데요. 2 카풀 2010/08/25 403
572844 오서코치가 아사다마오코치는 안한다고 하는데요 9 궁금 2010/08/25 1,904
572843 일룸 책상만큼 일룸 의자도 좋은가요? 6 의자 고민 2010/08/25 2,278
572842 현금영수증 문의드려요? 3 영수증정리 2010/08/25 274
572841 구미호 여우누이뎐 못다한 이야기.. 6 흠.. 2010/08/25 2,529
572840 동물진료 부가세 반대 서명 동참합시다! 14 안돼! 2010/08/25 482
572839 오래 쓸수 있는 이쁜 찻상이요? 나이가 2010/08/25 204
572838 @@29일 조계사 바자회에 기증 할 제 물건들 공개합니당~~@@ 5 phua 2010/08/25 729
572837 7세 남자아이 첫 책상 어떤것들 사셨나요? 8 아이방꾸미기.. 2010/08/25 769
572836 남자아이들 다리아프다고 할때(일과성윤활막염) 3 병원 2010/08/25 1,235
572835 누진 다촛점렌즈 4 노안 2010/08/25 1,361
572834 이번 구미호가 왜 신선한가 했더니, 역시 글쟁이는 달라 2 구미호 여우.. 2010/08/25 1,846
572833 강아지 키우고 싶은데..... 12 강아지 2010/08/25 494
572832 제습기좀 추천해주세요 4 제습 2010/08/25 283
572831 확실히 오서가 언플은 더 매끄럽네요. 19 .... 2010/08/25 2,408
572830 국회방송 ‘신재민 청문회 중계 불방’ 외압 의혹 1 세우실 2010/08/25 147
572829 멍이 잘 드는데... 병원에 가봐야할까요? 6 놀래라 2010/08/25 640
572828 덴마크식다이어어트 3 다이어트 2010/08/25 492
572827 크리스티나가 선전하는 *** 콩국수 맛있나요? 콩국수 2010/08/25 144
572826 방귀를 무서워하는 강아지 21 -_- 2010/08/25 1,594
572825 블로그에 사진 올릴때, 한꺼번에 다 올릴수 있나요? 네이버 2010/08/25 275
572824 제습기나 공기청정기 사용하시는 분~ 추천 2010/08/25 178
572823 인터콘티넨탈 호텔 숙박비 4800만원 끝없는 탐관오리의 전형 8 다마네기김태.. 2010/08/25 1,109
572822 한자(漢字) 저학년과 고학년 중 선택 한자공부 2010/08/25 179
572821 철산주공 13단지 어떤가요? 8 광명시 2010/08/25 1,468
572820 캐시미어가 비싼 이유가 뭔가요? 5 2010/08/25 888
572819 나나 무스꾸리 VS 사라 브라이트만... 8 ..... 2010/08/25 516
572818 신혼이혼에 대하여 조언구합니다. 37 신혼이혼 2010/08/25 11,866
572817 남자 아이용, 주니어 백팩 어디 것이 좋을까요? 학교 가방으로요.. 4 튼튼한백팩 2010/08/25 375
572816 타블로 유머 10 가카는너무못.. 2010/08/25 1,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