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타운하우스 전세 사는분 있나요..??

.. 조회수 : 3,238
작성일 : 2010-12-30 12:15:21
얼마전에 보고온 타운하우스가 눈앞에서 아른거려 미치겠어요,, ㅡㅡ;;
분양가도 몇억은 깍아준대고 샘플하우스에 놓여잇는 전시품과 가전제품까지 몽땅
그대로 준다니 그 돈만해도 천만원은 넘더라구요.
분양 받고싶지만 못팔아먹는다는 조언에 사는건 포기했구요
전세로라도 너무 살아보고 싶은데 말입니다 에효,,
자가용은 두대라서 애들이랑 밖에 나가는건 대중교통 이용안하니 상관없구요.
우리가 외국나가서 살고싶은 로망이 있엇는데
딱 외국 주택가 그 분위기더라구요 ㅜㅜ

단점이 많을까요?? 관리비는 대단지 타운하우스라 적게들어서 관리비
그 외로 단점좀 열거해주세요 저 정신좀 차리게요 ㅡㅡ;;
저 완전 타운하우스에 정신줄 놧어요
전 자꾸 장점만 보여서 미치겟따니까요.
IP : 125.135.xxx.51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0.12.30 12:20 PM (183.98.xxx.69)

    너무 너무 살고 싶은데 사람들이 다 말리네요...
    사는 건 커녕이고 전세도 전세금 잘 안 빠져서 고생한데요.
    아예 노년에 눌러 앉아 사실 거 아니면 가지 말라더라구요.
    아직 아이 어리시고 유동적으로 움직이실 일 생기실 거면 가지 마세요 ㅜㅜ
    저도 눈물을 먹므고 참고 있어요

  • 2. ...
    '10.12.30 12:23 PM (118.223.xxx.103)

    타운하우스는 아니고
    고급빌라에 전세살아봤는데용...그 거의 빌트인이잖아요. 전세살려면 지금 냉장고,김냉,에어컨,렌지,세탁기...등등 어떻게 하실려구...2년을 어디 맞기실수있다면..전 다팔고..다시샀어요..ㅠㅠ

    그리고 아무리 관리비적게들어도
    기본평수가 있기때문에 지금사시는 곳이 아파트라면 그곳관리비의 두배에서 세배생각하심 되요.
    차없으면 뭔일 하기 힘들고요. 장보기부터...

    님처럼
    멋지게 지어놓은 분당에 호화빌라에 홀라당정신잃어서...

    빌라는 매매가격이 점점떨어지기에...안사고..전새살았는데..
    집주인들온다고 연장안해줘서...이사가고,이사오고,,,복비주고...모든가전제품 다시사고...
    관리비 2년생각해보면...
    한 일억까먹은것 같아요.ㅠㅠ

  • 3. 분당
    '10.12.30 12:27 PM (122.32.xxx.30)

    구미동 고급빌라 타운하우스들 진짜 살아보고 싶긴한데..
    거긴 진짜 돈많은 사람들이 살아야 할 거 같아요.
    관리비며...전반적인 생활수준이 높잖아요.

  • 4. 겨울에
    '10.12.30 12:33 PM (125.130.xxx.213)

    난방비 생각해 보세요. 그러면 얼추 정떨어지지 않을까요? ㅎㅎ
    제가 타운은 아니고 대단위 전원단지에 삽니다. 타운보다 좀 더 자유스럽죠
    운영되는 모양새는 비슷합니다. 관리비도 내야하고....
    전용 골프장이나 수영장이 있는경우에 그것도 주민들이 관리해야하고....
    관리비도 만만치 않습니다.

    여기 주택을 보유하고 사는분들, 서울에 집한채씩은 다 있습니다.
    언제든지 전세놓고 나갈 수 있는 기동력을 갖추고 있어요.
    아이들이 초등학생인 젊은 부부들이 대부분인데도 그래요. 차는 거의 두대씩..
    그러니 교통은 큰문제가 되지않죠. 교육이요? 어디서 그렇게 들어오는지..학원버스
    엄청 들어오고 과외선생님부터 피아노선생님까지 ..;;;;;;
    그런데 여러분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노인분들은 거의 없어요
    오히려 어르신들은 대도시가 편하다고 하시구요.
    집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 만만치않고 하물며 봄이라고 정원에 기분이라도 낼라치면
    일년초 꽃값도 장난 아닙니다.
    또 거의 전업들이라서 낮에 골프연습장에 가면 다 이웃들입니다.
    근처 리조트 헬스장이나 수영장도 마찬가지구요. 코스트코는 말할것도 없고 ㅎㅎㅎ

    그리고 전세 안빠진다고 하시는데
    부동산에 가면 전세매물 기다리는 대기자들이 줄서있습니다.
    매매는 어떨지 몰라도 전세는 내놓는 즉시 그냥 나가요.
    아마 체험삼아 살아보시겠다는 분들이 많아서 일거에요.
    그러다 살만하다 싶으면 집지으시는게 순서구요.
    위에 열거한게 장점인지 단점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원글님 입장에 맞춰서 잘 생각해보세요

  • 5. ^^
    '10.12.30 12:48 PM (61.253.xxx.110)

    한방에 좌절할만한 임팩트 강한 단점을 나열해드리고 싶긴한데,
    저도 타운하우스에 대한 로망이 너무 크네요 ㅎㅎㅎ
    아이들이 어린 시절에라도 잠깐 살고팠는데, 상황은 영 안되고요.

    그나저나 겨울 난방비는 꽤 나온다는 얘긴 들었어요.
    전원주택이나 타운하우스는 보통 나이드신 어른들 아니면 구입하지 않으시는 것 같던데요.
    대신 한번쯤 살아보고픈 마음에 전세로 잠깐씩 경험삼아 살아보시는 것 같아요.
    아이들이 아직 어리다면 2-4년 정도 잠깐 전세로 살아보시는 것도 그닥
    나쁘진 않을 것 같아요.
    관리비나, 겨울 난방비 ...등등의 기본 유지비 감당이 어느정도 되신다면요~
    이러면 이게 단점이 아니라 부추기는 듯한.;;
    저 대신 한번 살아봐주세요~~~ ㅎㅎㅎㅎ

  • 6. 그런집은
    '10.12.30 12:56 PM (14.52.xxx.19)

    집을 재산으로 생각지 않는 정도의 재력이 있는 분이 가지시는게 맞습니다,
    아니면 아예 내가 깔고앉으면 그만이고 재테크는 관심없다,,하시는 분이나요.
    제가 속칭 고급빌라 사는데요,돈은 많지 않구요,
    지금은 집 넓고 편해서 너무 좋지만 애들 크면 이거 애물단지 된다는거 각오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요즘은 리모델링 얘기도 나와서 아주 심란해요,
    살림도 많고 돈도 없고 ㅠㅠ근데 이웃들은 아주 신났더라구요 ㅎ

  • 7. ...
    '10.12.30 1:12 PM (58.224.xxx.153)

    타운 하우스는 아니고 저도 속칭 고급빌라에 사는데요...일반 공용관리비만 60만원, 아끼고 아껴도 난방비와 전기비가 100만원이에요. 한달에 집 유지비만 150만원 들어가는데도 그리 따뜻하게도 환하게도 살아보지 못하고 있어요. 집을 모셔두고 있어요.

  • 8. 한마디로
    '10.12.30 2:05 PM (211.63.xxx.199)

    집한채 달랑 가진 서민들에겐 그림의 떡이네요~~~

  • 9.
    '10.12.30 2:16 PM (211.196.xxx.223)

    저희 동네엔 서울 시내인데도 동네 안에 그런 타운 하우스가 있어요.
    집 모양이며 구조가 완전히 미국식인데 위에 점 세개님이 그런 집에 사시나 봐요. ^^
    공용관리비랑 평소 관리비가 너무 많이 나가서
    거기 사시던 분이 집을 전세(5억인가 6억) 주고 신도시 평수 넓은 곳에 살러 가셨어요.
    그 댁은 부군이 은퇴 하셔서 현금 수입이 거의 멈추었고
    자산 있는 것 이자로 살고 계셨거든요.

  • 10. .....
    '10.12.30 3:59 PM (115.143.xxx.19)

    타운하우스 좋죠.단점이 있으라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8023 시판 고추장에서 안 매운 고추장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 고추장 2011/04/07 649
608022 상대방 기분 생각안하고 입에서 나오는대로 지껄이는 사람.. 6 그전엔 안그.. 2011/04/07 762
608021 북한이 플루토늄인가? 5 이상해 2011/04/07 359
608020 유치원아이들 뭐하고 있나요? 2 ... 2011/04/07 195
608019 취업을 했는데요 1 복식부기 2011/04/07 304
608018 정말 시어머니랑 연끊고 싶어요. 5 2011/04/07 1,474
608017 싸늘해진 日지진 모금,,, ARS 성금 하루 21명 8 베리떼 2011/04/07 899
608016 '웃동' 박정아 악행에 KBS 아나운서실 '남모를 속앓이' 8 ㅋㅋㅋ 2011/04/07 1,897
608015 오늘, 아침마당 보셨나요? 4 부부싸움.... 2011/04/07 1,874
608014 오래전에 민머리 이모티콘 아시는분~~~ 네이트 이모.. 2011/04/07 100
608013 우비 안 입혀서 보낸 분은 안계세요? 9 게으른맘 2011/04/07 862
608012 남자아기 세례명 추천해주세요~ 17 아기엄마 2011/04/07 1,309
608011 마크리 연비 어느정도 나오세요? 3 마크리 2011/04/07 413
608010 일산집값 많이 떨어졌나요?? ㅠ 6 밑에글보구 2011/04/07 2,337
608009 방사능으로 뒤숭숭한 요즈음 1 1234 2011/04/07 213
608008 다른 나라 사람들도 방사능 때문에 스트레스 받고 전전긍긍하나요? 13 국제재판소 2011/04/07 1,318
608007 오늘 생일인데 남편이 모르네요. 13 .. 2011/04/07 751
608006 애들 돌아왔네요. 1 지긋해 2011/04/07 301
608005 이제부터는 방사능누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3 참맛 2011/04/07 443
608004 꽃소금과 천일염이 조금씩 있습니다. 두개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저는 현재 꽃소금을 12 꽃소금 2011/04/07 2,066
608003 요즘 현대 정주영 cf는 왜 내보내는 건가요? 4 그런데 2011/04/07 727
608002 어그가 젖었어요 버려야겠죠? 4 어그 2011/04/07 551
608001 앞으로 절임배추도 맘놓고 못 사먹게 되는건가요? 5 ..... 2011/04/07 753
608000 신용카드로 쓴 후불버스요금은 카드요금에 포함 안 되나요? 5 .. 2011/04/07 434
607999 제 요구가 심한건가요? 4 화남 2011/04/07 693
607998 아이에게 너무 심하게 한 걸 까요? 4 방콕아이들 .. 2011/04/07 645
607997 서민 허리 휘는 '잔인한 4월' 3 세우실 2011/04/07 535
607996 아..도시가스 짜증. 2011/04/07 286
607995 과학 벨트 배분,,, 파문, 파문, 파문,,, 3 베리떼 2011/04/07 221
607994 지금 혹시 강남구에 비 오나요? 7 지금 2011/04/07 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