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곽노현서울시교육감" 일제고사 대신에 문예체 인성교육하겠다"
(서울=연합뉴스) 이준삼 기자 = 중학교 1~2학년생의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치르지 않겠다고 발표한 서울시교육청이 시험 대신 스포츠스타, 방송인, 소설가, 전현직 장관 등이 대거 참여하는 문학·예술·체육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선사한다.
서울시교육청은 "모레(21일)로 잡혔던 중학생 학력평가를 치르지 않고 일주일간 국내 저명인사들이 학생들과 함께하는 문예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문예체 교육주간 행사에는 유명인사들이 서울시내 각 중학교를 일일이 찾아다니며 학생들의 인생 진로를 지도하게 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들은 교육청의 재능기부 요청을 받고 승낙한 각계 인사 250여 명 중 일부"라며 "이번 행사에 참여하지 않는 인사들도 앞으로 시간이 날 때마다 문예체 교육에 동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재능기부에 동참한 유명인사는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 김명곤 전 문화관광부 장관,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소설가 공지영·박범신, 시인 도종환, 국악인 김덕수,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방송인 김용만·김제동, 야구스타 양준혁 등이다.
분야별로는 시인·소설가·동화작가 등 22명, 연출가·평론가·연극인 등 66명, 언론인 10명, 방송인 8명, 국악인·성악가·지휘자 등 32명, 스포츠 선수·무용가 등 26명, 상담 전문가 등 25명, 의대교수·문화재 전문가 등 24명이다.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서울에서 문예체 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되면서 사회 저명인사들의 재능기부 운동이 활성화된다면 국내총생산(GDP)의 0.1% 수준(약 1조원)의 교육재정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시교육청은 전국 시도교육청이 번갈아가며 주관해 매년 12월에 시행하는 중학교 1~2학년 대상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서울에서는 올해부터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고 지난 1일 밝힌 바 있다.
시교육청은 "중학생 대상의 전국연합학력평가는 겨울방학 직전에 치러져 학생들의 관심이 낮고 평가결과도 다음해 2월에나 통지돼 활용도가 떨어진다. 대신 문예체 교육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jslee@yna.co.kr
1. 너무
'10.12.19 2:41 PM (175.117.xxx.245)좋죠,,,,,,,,,,,실현만 된다면,,,너무 반가운 뉴스..사십년전,,무려 사십년전이군요,
그 때만 해도 각급 초중등학교 문화행사가 얼마나 많았는지,,그렇게 바쁘게 학교생활해도
얼마든지 재밌게 잘 살았는데,,놀기도 많이 놀고,,꿈같은 야그라구요????^^2. 음
'10.12.19 3:36 PM (14.52.xxx.19)저 다니는 도서관에도 유명한 여류소설가가 온다길래 왠일인가 했네요,
저런 사연이 있었군요,
근데 정말 현장 모르는 소리에요,그거 누가 듣나요,또 첫경험 소리나 안하면 다행이지요,3. ..;
'10.12.19 4:19 PM (121.170.xxx.178)음 님처럼 생각하면 평생 가도 변화나 발전 같은 건 할 수 없지요. 취지만을 놓고 생각한다면 아이들 줄 세우기 하는 학력평가보다는 충분히 가치있는 일이라 생각되네요.
물론 그 취지나 이상과 달리, 실제 현장에서는 제대로 시행되지 않을 수도 있지요. 하지만, 진로 결정 이전의 어린 나이에 여러 다양한 사회분야를 저명인사들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하는 것은 대학 입시에만 목을 매지 않아도 다른 선택이 가능한 여러 삶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는 점에서 충분히 의미가 있지 않나 싶네요. (책상에 앉아 만날 공부만 하고 있다 보면 다른 진로가 있다는 것조차 생각하지 못하게 되거든요.) 헛소리 싸지르는 아이들이 있는가 하면 분명 귀 기울여 듣고 그것이 나중에 인생에 있어서 커다란 경험과 자산이 되는 아이들도 있을 겁니다. 누군가가 제대로 귀 귀울여 듣지 않는다고 해서 누군가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는 일에 현장 모르는 소리라고 단칼에 치는 것도 편협한 태도가 아닌가 싶네요.
혹시, 귀 기울여 들을 소수를 위해 쓸데없는 예산을 퍼붓는 거냐, 라고 반박하고 싶다면, 교육이란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도 큰 의의가 있는 것이며, 기회를 제공했는데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지 않으려는 아이들까지 책임질 수는 없다고 말하고 싶군요. (물가에 데려갔는데 물을 마시지 않는다고 물에 머리를 밀어넣을 순 없는 거 아닙니가.;)4. 바라 보던 쪽만
'10.12.20 3:07 AM (218.149.xxx.100)보다가 갑자기 그 반대쪽으로 시선을 돌리기가 쉽지는 않죠.
다소 낯설더라도 바람직한 방향이면 적극 찬성해야 합니다.5. 대찬성
'10.12.20 8:05 AM (91.64.xxx.219)실제로 중1,2학년들과 가까이 접하는 사람인데요..
일제고사는 교육적 효과가 있긴있죠.ㅎㅎ
정부의 교육 정책을 반대할 수 있는 안목을 키워줍니다..
입이 아프게 주장하지만 일제고사, 누구를 위한 발상인가요?? 우리 아이들 지금 처한 시험들 만으로도 넘칩니다..사실 하루 날잡아서 학교 체육대회 내실 있고 잼나게 하는게 몸과 마음이 건전한
인간으로 기웁니다.....
내실있게 위의 문예체 교육들이 이뤄지고 지속적, 연속성이 있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