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언제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는지요...

궁금해요 조회수 : 1,061
작성일 : 2010-12-17 06:41:31
양력으로 1월 31일 밤 11시 57분에 돌아가셨어요.
3일상인데 31일을 하루 치면 그렇다고 해서 2월 1일을 하루로 쳐서 상을 치뤘었어요.
그럼 제사는 언제 지내는 것이 맞는지요?

1월 31일 저녁인지...
2월 1일 저녁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그리고 제사 양력으로 지내도 되는지도 궁금해요.
설이나 추석을 음력으로 하니 제사도 음력으로 해야 되나 싶긴 한데...
생일은 전부 양력으로 해서... 양력으로 해도 되는지도 궁금하네요.

이번이 1주기인데 1주기에는 특별히 따로 해야 되는 것이 있는지도 궁금해요.

주위분들께 여쭤볼 수도 있긴 한데... 그냥 이런 말 꺼내기가 마음이 무거워 이 곳에 여쭤봅니다....
답변 주시는 분들께 미리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IP : 222.236.xxx.11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사는
    '10.12.17 7:18 AM (122.34.xxx.185)

    집안에 어르신 계시면 말씀드리고 날자 정해보세요
    양력,음력 제사모시는 가정이 자기네들 좋은대로 모십니다

    제사는 돌아가신날 바로 앞날 즉 1월 30일이 맞습니다
    특별히 따로 해야될것은 없지만 가신지 얼마 안 되었으니
    제사 격식에 얽매이지 마시고
    고인이 살아계실때 즐겨하셧던것 올리시고
    정성껏하시면 되시겟습니다

  • 2. 맞아요
    '10.12.17 8:33 AM (218.232.xxx.59)

    돌아가신 날이 31일이면
    그 전날 30일에 제사를 지내시면되요
    어른들은 제사음식들도 예전음식(?)을 고집하시지만
    생전에 좋아하시던 것도 올리세요

    제사가 얼마 남지 않으셨는데
    고인에 대한 그리움이 많으시겠어요 ㅠ.ㅠ

  • 3. ...
    '10.12.17 8:48 AM (218.232.xxx.13)

    원래는 돌아가신 날 첫 새벽에 드리는 게 맞습니다.
    그러니까 31일 0시 무렵에 드리는 게 맞지요.
    그러나 요즘 0시에 제사 드리는 집이 없는 관계로
    그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겁니다.
    시간 따져서 하시려면 31일 0시에 드리시던가 아니면 30일 밤에 지내세요.

  • 4. ..
    '10.12.17 8:59 AM (210.94.xxx.1)

    윗분이 말씀 맞습니다.

  • 5. 윗분에 이어서
    '10.12.17 10:08 AM (114.207.xxx.82)

    생전 마지막 식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정 전에 돌어가셨으니 돌아가신 전 날 (30일) 밤11시에서 1시(子時)에 지냅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자정 쯤에 지내기 어려우니 해진 후 지냅니다.
    그러나
    거의 자정에 돌아가셨으니,
    돌아가신 날 저녁 어두워져서 지내면 됩니다.
    돌아가신 날 저녁이면 아직 돌아가시기 전이니 생전의 시간이라 볼 수 있지요.

    여러모로 복잡해서 헷갈리신다면
    생전의 마지막 식사시간이나 살아계실때의 마지막 밤 시간이라 기억하시면 편할 듯 합니다.

    다만,
    오전이나 낮에 돌아가신 분들의 경우, 돌아가신 날 저녁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돌아가신 후의 시간이므로 그 전날 제사를 모시는게 맞습니다.

    '맞다'라고 단정해서 말씀드렸지만
    집안마다 조금 씩 다를 수 있기에 - 제사 음식이나 축문.. 이런 것은 집안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제삿날이 다를 수 있다는 것 좀 그렇지만 - 집안 어른께 여쭤봐서 제사를 모시는 것이
    가장 나을 듯 합니다.

  • 6. 원칙
    '10.12.17 10:32 AM (115.41.xxx.3)

    사주의 기준도 말들이 많지요. 설이 기준이다. 입춘이 기준이다. 심지어는 동지가 기준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더군요.
    전통적으로 따지만 자시가 우리시간으로 11시부터 1시까지 이므로 11시 57분에 돌아가셨다면 날이 바뀐것이므로 즉 새벽에 돌아가신 것으로 됩니다.(동경시를 쓰지 않고 서울을 기준으로 해도 11시30분이면 날이 바뀌는 셈이지요)
    그런데 제사는 돌아가신날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그래서 전날 준비해서 12시가 넘으면 제사를 지내고 했습니다. 그런데 요즘을 바쁘다보니 시간을 점점 당겨서 9시에도 지내고 합니다.
    원칙적으로는 그렇게 시간을 당기려면 돌아가신날 저녁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요즘을 살아계신날 제사를 많이 지내더군요. 그렇다 하더라도 돌아가신분을 생각하며 가족들의 화합을 중요하므로 날짜에 크게 얽메이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가족들의 합의를 한다면 양력으로 지내는 것도 무방해 보입니다...

  • 7. 별빛사냥
    '10.12.17 10:56 AM (110.8.xxx.74)

    다들 조금씩 다르겠지만 저녁 12시 이후에 제사를 지내면 1월 30일이 맞구요
    저녁 7시~10시경에 제사를 지낼려면 1월 31일이 맞는 것 같아요

  • 8. .
    '10.12.18 4:34 PM (125.185.xxx.67)

    별빛사냥님 말씀이 맞습니다.
    저희도 그리 모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2031 컬러메일도 데이타요금에 포함되나요? 2 핸펀 2010/12/17 315
602030 보일러 리모컨 불.. 1 귀뚜라미 2010/12/17 240
602029 12월 17일자 경향,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프레시안, 미디어오늘 만평 2 세우실 2010/12/17 120
602028 언제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는지요... 8 궁금해요 2010/12/17 1,061
602027 대학 총학생회장단 “이명박,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넜다” 6 세우실 2010/12/17 1,076
602026 나도 모르는 카드 내역 3 ... 2010/12/17 883
602025 제왕절개 날짜를 13일로 잡았는데... 괜찮을까요? 7 날짜 2010/12/17 512
602024 급) 영작 좀 부탁드려요. ㅠ.ㅠ 제발요~~~~~ 1 헬프미~~ 2010/12/17 234
602023 조립 컴퓨터를 새로 샀는데요... 4 답변부탁 2010/12/17 335
602022 지금 깨어있는 분들 뭐하고 계신가요? 23 말똥말똥 2010/12/17 1,009
602021 깍두기 담고 싶은데요 헬프미 @@@@@@@@@ 1 홍시 2010/12/17 337
602020 돌잔치 욕심부릴 필요 없겠죠? 6 돌잔치 2010/12/17 732
602019 아이가 학교에서 1,2,3학년 전체에서 대상을 받았는데 뭐 돌려야하나요? 24 우짤까요? 2010/12/17 1,739
602018 지지리궁상... 나 스스로 만든 내모습인가요? 5 희망을.. 2010/12/17 1,408
602017 속독 훈련이 문장 이해나 국어 실력에 도움이 될까요 8 속독 2010/12/17 610
602016 두돌에게 좋은 영양제 뭐 있나요? 2 .. 2010/12/17 365
602015 피아노 가요 반주같은건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2 피아노 2010/12/17 809
602014 궁금해요 4 교포 2010/12/17 269
602013 해결이 안되는 왕따문제... 8 슬프다.. 2010/12/17 1,035
602012 혹시 오리털바지도 있나요? 치마나... 2 호호할망 2010/12/17 931
602011 인터넷이체는 1일 500만원 한도인데요. 7 은행 2010/12/17 486
602010 환불이 될까요? 13 백화점 2010/12/17 907
602009 급)카메라에 찍은 사진을 어떻게 가져오나요? 3 어쩔꼬 2010/12/17 301
602008 보령홍삼녹용진액 좋은가요?? 2 .... 2010/12/17 867
602007 남자들은 연애할때 다 결혼하자고 말하나요? 9 강아지 2010/12/17 2,442
602006 산후도우미님의 역할을 가르쳐주세요.(도우미님계시면 꼭좀 가르쳐주세요) 7 낼모레 출산.. 2010/12/17 579
602005 음, 정말 키즈카페에서 아이 똥* 씻기는 새댁이 있네요. 11 .. 2010/12/17 1,688
602004 요즘엔 가수가 되려는 사람들이 아이돌로 시작하나봐요 5 ... 2010/12/17 756
602003 자동차세무이자 할부되는 카드 뭐가 있나요?? 2 무이자 2010/12/17 3,164
602002 윗층님 이 시간에 뭐하세욧!!! 14 아래층의 설.. 2010/12/17 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