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김장후 김치들 바로 김냉넣나요?

어제김장한사람 조회수 : 2,022
작성일 : 2010-11-22 11:42:34
금방 요리비결 보니 김치 담근후 하루이틀 숙성후 넣으라네요.

어제 김장했는데.. 엄마가 하루나 이틀 뒤에 넣은 사람들 다 후회하더라면서.. 바로 넣자해서 넣었어요.
집이 좁아 걸리적거리기도 했구요..
그런데 저랑 신랑은 익은 김치만 먹어요..
작년 금방 먹으라 담근 굴넣은 김치도 안익었더니 얼마나 맛이 없던지.. 굴이 삭으면서 더 별로였다는..
(둘이서 얼마먹지도 못했구요..빨리 해치우지 못해서..)

김냉김치 항상 하루 이틀 꺼내놓고는 익혀 먹었어요..
이런 경우면 하루이틀이라도 익혀서 넣는게 맞는듯한데...
님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IP : 115.69.xxx.224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0.11.22 11:45 AM (211.117.xxx.105)

    익은김치 좋아해서 2일 지난후 넣어요
    생것 담자마자 넣으면 절대 안익더군요

  • 2. 저는
    '10.11.22 11:45 AM (125.180.xxx.16)

    내년에 먹을김치는 바로 넣어서 장기보관으로, 올해먹을건 넣어서 김치류 표준에, 요새먹을김치는 베란다에 내놓았어요

  • 3. ..
    '10.11.22 11:45 AM (211.112.xxx.112)

    굴이나 해산물 들어간 김치는 빨리 먹는게 맞아요.....

    김치 담가 놓은 시원하고 그늘진곳에 최소한 하루에서 이틀은 두고 약간 익은듯한(?)냄새가 나면 바로 김치 냉장고에 넣으세요..김치 냉장고는 미리 켜두시는게 좋습니다....

    그렇게 하면 김치 냉장고 안에서 서~~~서히 익어가면서 더 맛있어 져요...
    시댁에서는(시어머님 안계심)김치를 하자 마자 김치 냉장고로 넣으니 이건 익지도 않고 안익은것도 아닌 이상한 맛이 나더라구요....

  • 4. 절임배추
    '10.11.22 11:47 AM (58.125.xxx.12)

    절임배추로 담근 김치는 만들어서 바로 넣는게 맛이 더 좋았습니다.

  • 5. 생김치
    '10.11.22 11:48 AM (116.45.xxx.56)

    별로라 이틀정도 밖에 뒀다 넣어요
    그게 훨 낫더라구요..찌게도 더 맛나구요

  • 6. ..
    '10.11.22 11:48 AM (1.225.xxx.84)

    익혀 넣어요.
    물론 먹는 순서에 따라 낳는 순서도 차등을 두긴 하지만
    굴이 든거라도 익은내가 나야 넣지 그냥 그 안에서 익히지는 않아요.

  • 7. 각자
    '10.11.22 11:52 AM (218.156.xxx.26)

    입맛에 따라 다르지 않나요?
    익은거 좋아하심 익혀넣고...
    저는 안익은거 좋아해서 바로 넣습니다.
    김장해서 바로먹는 그 맛이 넘 좋아서 익으면 막 짜증나요.

  • 8. ....
    '10.11.22 11:54 AM (119.69.xxx.16)

    저는익혀서 바로 먹을것 두통정도는 밖에 나눴다가 익었을때 넣어놓고 먹고
    나머지는 바로 넣어놨다가 나중에 김냉김치보관 상태에서 저절로 익으면 너무 맛있더군요

  • 9. 시어머니
    '10.11.22 12:02 PM (128.134.xxx.90)

    보니까 이틀은 밖에다 두시던 데요.
    그런데 요즘 날씨가 따뜻해서 하루정도만 밖에 두시면 어떨까요.

  • 10. 어제김장한사람
    '10.11.22 12:11 PM (115.69.xxx.224)

    답글들 감사해요.
    입맛이 다 다르니... 엄마랑 저랑은 다른가봅니다.
    생각해보니 저도 그냥 바로 넣었더니 니맛도 내맛도 아닌.. 어중간한 맛이 났던것 같아요..
    안에서 익지는 않는듯..

    금방 두통 꺼내놓고 왔네요.
    하나는 굴통, 하나는 갈치통.. ㅋ

  • 11. 55
    '10.11.22 12:20 PM (112.150.xxx.92)

    밖에서 익혀 넣으실거라면 종종 확인해보세요.
    부글부글 부풀어 올라서 국물 넘치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어제 밖에 놔뒀던 김치통 남편이 김냉에 넣는데 국물이 넘쳐서
    남편 옷 다 버리고 거실에 김치국물파티했어요 ^^

  • 12. ..
    '10.11.22 12:37 PM (125.241.xxx.98)

    일단 김치통에는 80프로만 채워야 합니다
    그리고 하루밤 거실에 두고 넣으면 맛이 있더군요
    이때 국물맛을 찍어 먹어 보면 간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조금 짜면 무조각 두개식 넣으면 좋고요
    싱거우면 소금 넣으면 쓰니까 액젓 조금씩 넣으면 간도 맞아 지더라고요

  • 13. *****
    '10.11.22 12:48 PM (210.91.xxx.186)

    김치냉장고 전원을 끄고 넣어놉니다... 실온에 2일 뒀다가 전원을 킵니다...
    많이 익은걸 좋아하시면 3일정도 두시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6185 경제학이 수학을 잘해야 잘한다는 덧글? 48 경제학이.... 2010/11/22 4,360
596184 갑작스러운 미국이주를 위한 준비 7 도움 간절합.. 2010/11/22 801
596183 월 실수령액 320정도면 연봉이 ??? 4 궁금이 2010/11/22 1,910
596182 우풍센집에서 난방조절하기 5 우풍센집 2010/11/22 761
596181 운전면허를 따려고하는데요.. 1 면허 2010/11/22 228
596180 오르비스 클렌징오일 괜찮나요? 2 건성피부 2010/11/22 337
596179 반나절 도우미 4만원? 4 도우미요! 2010/11/22 1,138
596178 겨울방학때 초2아이데리고 일본다녀올까 하는데요 4 조언구함 2010/11/22 540
596177 인사동 정독도서관 근처 식당 추천 좀 부탁드려요~ 아이코 모이.. 2010/11/22 306
596176 난방배관에 금이가서 아랫집 천장에서 물이샙니다(급질) 9 궁금이 2010/11/22 612
596175 김장후 김치들 바로 김냉넣나요? 13 어제김장한사.. 2010/11/22 2,022
596174 뭔지모를 기분 상하는 느낌 18 .. 2010/11/22 2,935
596173 코스트코 캐시미어 폴라티 괜찮은가요 캐시미어 2010/11/22 396
596172 ‘외장하드 빼돌리기·컴퓨터 바꿔치기’ 또 다른 정황 1 세우실 2010/11/22 313
596171 동해+설악산 다녀왔어요 2 역시 2010/11/22 423
596170 베이지색 쟈켙 팔꿈치에 1센티미터 싸인펜 얼룩이 있다면 회사 입고 다니실까요?.. 4 여러분이라면.. 2010/11/22 224
596169 코스트코에 냉동칠면조 있나요? 4 배고파요 2010/11/22 1,025
596168 광저우는 겨울이 아닌가요? 2 아시안게임 2010/11/22 701
596167 1년간 400만원 밀린 월세.. 이자 받을 수 있을까요?(계약서엔 이자 미표시..) 3 .. 2010/11/22 872
596166 층간소음 적반하장 윗집때문에 마음이 상하네요 3 우울 2010/11/22 1,043
596165 서울여대 서양화과 vs. 세종대 서양화과 28 미대 질문 2010/11/22 2,363
596164 콜로이드 실버 아시는 분, 고견 부탁드려요! 2 또 낚이는건.. 2010/11/22 171
596163 꿀을 사야하는데요... 10 .. 2010/11/22 642
596162 내 집 마련에 실패한 사람들의 공통점 9 씽씽돌이 2010/11/22 1,874
596161 올케가 뭐가 섭섭했던걸까요? 49 뭐가 섭섭 2010/11/22 6,885
596160 시크릿가든..행복해요!!!!! 3 레온 2010/11/22 930
596159 저는 백화점 정상가로 물건 사 본 적이 한 번도 없어요 ;; 13 제이미 2010/11/22 2,262
596158 체햇는데도..위에 문제가 없다면..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8 궁금 2010/11/22 407
596157 검정색 폴라티 추천요~~ 3 문의 2010/11/22 544
596156 계량컵 사용하시는 분이요... 5 pyrex 2010/11/22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