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더 받는게 나을까요???아님.....
그럼 30만원정도 받나봐요.
근데 더 보태서,25만원정도 내게되면 연금을 50정도 받는다나...
그런말을 들었나보더라구요.
그러면서 제게 그렇게 더 보태서 연금을 받는게 나을까,
적금을 따로 또 드는게 나을까하고 물어보시는데..
제가 이런걸 잘 몰라서요...ㅠㅠ
무지한 저는 제대로된 답변을 못드리고 마음이 참 아팠네요..
정확하지는 않지만,대충 저 내용을 보시고 조언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어요..ㅜㅜ
1. ..
'10.11.11 4:25 PM (219.254.xxx.130)국민연금 더 내는게 좋죠.. 현재 국민연금수익률은 어떤금융상품보다 좋아요.국민연금 말이 많다지만 어머니세대는 문제없이 혜택을 받으실수있구요..
2. ,
'10.11.11 4:25 PM (110.14.xxx.164)확실하다면 연금이 낫지요
3. 현명한 선택
'10.11.11 4:27 PM (112.169.xxx.224)어머님이 젊으셔서 좋으시겠어요. 저흰 아까운 기회를 놓쳤답니다.
후다닥 드셔요. ㅎㅎ
연금 받는 노인들 부러움의 대상입니다. 따님 효녀세요.4. 헤로롱
'10.11.11 4:27 PM (183.101.xxx.29)어머니 세대라면 국민연금이 낫지요.
5. ㅇ
'10.11.11 4:28 PM (222.117.xxx.34)윗님 말대로 어머님 세대는 국민연금으로 되도록 많이 넣으시면 더 큰 혜택을 얻을수 있습니다!!
6. 어머님이라면
'10.11.11 4:30 PM (222.234.xxx.169)몇 년 뒤면 연금 받을 수 있는 부모님들은
무조건 지금 넣을 수 있는 최대한의 액수를 넣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적금 이자의 수백배 되는 액수를 연금으로 받을 수 있어요.7. jk
'10.11.11 4:30 PM (115.138.xxx.67)국민연금의 단점이 딱 하나 있는데
그건 연금을 받는 기간 이전에 사망하면 손해라는겁니다. (적금은 남죠. 하지만 연금은 남지 않음)
근데 연금받기전에 사망하면 어짜피 돈이라는건 필요없죠. 본인이 이세상 사람이 아닌데.... 쩝..
그 상황이 아니라면 국민연금이 무조건 이득입니다. 나이가 많으시다면요.8. ..
'10.11.11 4:37 PM (119.71.xxx.237)국민연금이 좋죠~^^
9. 위에
'10.11.11 4:42 PM (210.97.xxx.236)jk 님 말씀에 오류가 살짝 있는데
본인이 연금받는 나이 전에 사망해도 유족 (배우자, 18세 미만의 자녀 등) 이 있으면 유족에게 연금이 가구요. 연금수령 조건이 되는 유족이 없어도 원금에 일정 이자를 포함해서 상속인에게 돌려드려요. 적금은 남고 연금은 없어지는게 아닙니다... 어쨌든 연금 더 내시게 하세요.10. 연금
'10.11.11 4:43 PM (211.219.xxx.20)와..댓글 넘 많아서 깜짝놀랐어요.
게다가 따뜻함이 느껴지는 친절한 답변들...너무 감사드려요...ㅠㅠㅠㅠㅠㅠㅠㅠ
저희 엄마는 지금 55세세요.그럼 말씀해주신 어머님 세대에 저희 엄마도 포함되는거에요?????
그리고,현명한선택님,왜 효녀라고 해주셨는지 궁금합니다.^^?11. ......
'10.11.11 4:45 PM (121.162.xxx.134)그런데 국민연금 받을 사람이 죽으면 국민연금 받기로 한만큼이 아닌, 더 액수가 적은 유족연금으로 바뀌어 나오는것 아닌가요?
12. 연금
'10.11.11 4:47 PM (211.219.xxx.20)위에님,그렇군요.제가 알기로도 저희 아빠 말씀으로는 아빠가 못받으면 대신 엄마가 받게된다고 하셨었어요.그게 그 말씀이었네요.덕분에 저도 자세히 알게되었네요.
그리고 또 액수가 적게 받는거라고도 알고있어요;;그럼 뭐가 나은건지 모르겠네요;;;;13. 앗!
'10.11.11 4:51 PM (222.117.xxx.34)저두 사망하면 못받는줄 알았는데 받을수 있군요!!!
근데 배우자가 사망하고 본인도 국민연금 대상자일때 둘다 받을수 있는건가요?
전 예전에 어디서 못받는다고 본것같아서..14. 현명한 선택
'10.11.11 4:51 PM (112.169.xxx.224)노후에 용돈 얼마씩 드리는 것도 당연 효도지만...
미리 대처해서 현명한 선택될 수 있도록 애쓰시는것
당근 효녀 아닌가요? ㅋ 50대 부모님두고 이런 생각
아예 못하시는 분들 많습니다. 바빠서..부모님이 아직은
젊다 생각되어서 등등... 저도 일시반납받았던거 46개월분
다시 배로 돌려넣어 달달이 넣어볼까해요.15. ..
'10.11.11 5:02 PM (210.123.xxx.201)부부둘다 연금자일때 한명이 사망하면
1)사망 배우자 연금의 80%(60%?? 가물가물) 만 받는다.(=유족연금) 본인건 포기.
2)본인 연금 + 유족연금의 20%를 받는다.
둘중 하나 선택인 걸로 알고 있어요.
근데 죽는거야 뭐 누구도 모르는 일이니 일찍 죽을꺼 걱정까지 한다면 들을만한 연금이 없겠더라구요.16. ㅡㅡ
'10.11.11 5:03 PM (121.152.xxx.173)무조건 좋은게 아닌걸로 알고 있는데요.
본인의 벌이가 얼마 이상이면 낸만큼 받지 못하는걸로 알고있어요.
잘알아보시고 결정하세요.17. ...
'10.11.11 5:04 PM (122.202.xxx.197)앗! 님
부부가 연금을 따로 받다가 한사람이 사망했을 때
두 연금을 다 받을 수 있는 게 아니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액수 큰 것으로.18. 음
'10.11.11 5:11 PM (119.64.xxx.178)시중연금보다야.. 국민연금이 낫죠.
19. 그리고
'10.11.11 5:12 PM (122.202.xxx.197)경제에 관심이 많은 강남구 사람들이
의료보험은 적게 내려고 갖은 수법을 쓰지만(우리의 각하께서도 불법을 저질렀죠.)
국민연금은 최대한의 액수로 빠짐없이 불입한다고 얼마 전 뉴스에 나왔죠.20. 흠..
'10.11.11 5:19 PM (118.34.xxx.86)그래서 월급여 좀 비슷한 맞벌이의 경우,
배우자 사망시 많이 불리합니다.. 하지만, 공익성 문제니까, 그래도 참죠..
일부 미꾸라지 땜시(소득 적게 신고하고, 국민연금 만땅으로 더 넣고, 유리봉투인 월급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