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전기요금 폭탄 맞았어요

조회수 : 12,936
작성일 : 2010-11-02 10:45:15
여름에 매일 매일 에어콘 틀고 자도, 낮에도 집에 있는 시간은 항상 틀어도 전기요금이 8만원 이상 나오지 않았고, 지난 달에는 에어콘 쓰지 않으니까 3만원 나왔었어요.

오늘 고지서 보니까 이 달에 10만원이 훌쩍 넘는 요금이 나왔네요. 이번 달에 다른 달보다 더 쓴 거는 고구마 굽느라 토스터오븐 한 네 번 정도 더 돌린 것 밖에는 없는 거 같은데, 110볼트 짜리 220볼트로 승압해서 쓴다고 전기료가 더 많이 나오지는 않지 않나요?

직장 생활 하는 미혼이라 식사는 주중에는 직장에서 해결하고, 거의 12시 다 돼서 들어가는 때가 많아서 집에서는 거의 잠 자는 거 밖에는 없는 편인데, 전기요금 13만원은 너무 심하지 않은가요?

제 생각엔 뭔가 잘못된 거 같은데 어떻게 알아보면 될까요?
IP : 220.67.xxx.130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11.2 10:47 AM (122.35.xxx.55)

    고지서에적혀있는 사용량을 확인해보세요

  • 2.
    '10.11.2 10:49 AM (220.67.xxx.130)

    네 사용량이 지난 달에 비해 두 배 뛰었더라고요. 250에서 500 정도로. 그러니까 금액이 네 배 정도 뛰네요. 근데, 제가 아무리 생각해도 지난 달보다 더 쓴 거는 토스터 오븐 네 번 정도 돌린 거 말고는 없어요.

  • 3. ...
    '10.11.2 10:49 AM (211.108.xxx.9)

    오븐이 전기요금 많이 먹긴하지만...
    혼자인데 13만원이면 많이 나온편인듯...

  • 4. 8월
    '10.11.2 10:49 AM (122.35.xxx.41)

    저희집도 전기료 폭탄 맞았는데, 저희는 사용날짜가 8월 사용분이 던데요. 그런데 낮에 사람이 없는데 그 정도면 정말 이상하긴 하네요.

  • 5. ^^
    '10.11.2 10:50 AM (121.253.xxx.66)

    저두 아이패드 충전한다고 110볼트를 220볼트로 썼더니 전기세가 엄청 나왔네요.. 다른거 쓴거는 없거든요..

  • 6. ㅇㅇㅇ
    '10.11.2 10:50 AM (118.36.xxx.9)

    한 번 알아보세요.

    아니면 전자제품이 오래된 건가요...?
    그럼 전기잡아 먹는 귀신이라고 들었어요.

  • 7. 4인가족
    '10.11.2 10:51 AM (180.71.xxx.214)

    인데도 300안넘습니다. 좀 많이 이상해요.

  • 8. ...
    '10.11.2 10:52 AM (211.108.xxx.9)

    오븐 돌릴때 계랑기 함 보세요..
    씽씽 돌아가요....;;;
    토스터 오븐 몇시간씩 돌리신건 아니죠?

  • 9. ??
    '10.11.2 10:53 AM (211.116.xxx.231)

    많이 나왔네요.
    고지서에 적혀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해서 상담해 보세요.

  • 10. ~
    '10.11.2 10:59 AM (125.187.xxx.175)

    저희도 ㄱ고구마 좋아하는데 마트에서 5000원에 파는 직화냄비로 해먹으면 금방 되고 맛도 있어요.
    전기료에 비하면 가스비 껌값이구요. 오븐이 범인이라면 직화냄비로 바꿔보세요.

  • 11. ??
    '10.11.2 11:04 AM (59.18.xxx.104)

    저흰 에어콘틀은 8월보다9월분이 2.3만원정도 더 나왔는데
    왜그럴까요?

  • 12. 11
    '10.11.2 11:06 AM (114.207.xxx.153)

    100볼트 200으로 승압 변경해서 사용하면 전기 많이 먹어요.
    그런데 저는 14평 아파트 사는 미혼이고
    밥은 거의 회사에서 해결..
    전기요금 10년동안 5~7천원 나오는데..이상하네요.

  • 13. 1
    '10.11.2 11:12 AM (203.226.xxx.21)

    위에 님들 말씀처럼 꼭 필요한 거만 켜놓고(냉장고 같은거) 계량기 한 번 보시고 원판 돌아가는 속도를 보신 담에
    오븐 돌리면서 계량기 한 번 보세요. 이런 식으로 전기 먹는 주범을 찾는 수밖에 없겠네요.

  • 14. slowly
    '10.11.2 11:29 AM (203.156.xxx.69)

    전기공학전공하는 어느누군가의 남편입니다.
    전기관련 얘기가 나와서 답변 달아봅니다.
    전기사용료는 일단 승압과는 상관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기사용량은 한전에서 사용량에 따라서 전기단가가 달라지게 됩니다. (누진세)
    그러니 전기료가 그만큼 나올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가전제품마다 전기사용량(소비전력)이 적혀있습니다. 50W, 300W, 등등 이런식으로 말입니다. 사용하시는 가전제품을 한번씩 자세히 들여다 보시면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실수 있을 겁니다. 숫자가 높은수록 전기를 많이 먹는게 되겠죠. ^^


    기본요금(호당) 전력량 요금(원/kWh)
    100kWh 이하 사용 370 처음 100kWh 까지 54.60
    101 ~ 200kWh 사용 810 다음 100kWh 까지 112.80
    201 ~ 300kWh 사용 1,390 다음 100kWh 까지 162.90
    301 ~ 400kWh 사용 3,330 다음 100kWh 까지 235.20
    401 ~ 500kWh 사용 6,240 다음 100kWh 까지 345.90
    500kWh 초과 사용 11,440 500kWh 초과 606.80

  • 15. .
    '10.11.2 12:34 PM (110.14.xxx.164)

    혹시 8월분 나온거 아닌지 알아보세요 그렇게 쓰고 8만원 나온게 적게 나온거에요

  • 16. 울집에도
    '10.11.2 1:47 PM (124.49.xxx.81)

    지난달까지도 변경없다가 이번달 많이 냈어요
    걍 여름 에어컨비가 지금 나왔는가베 ....라면서 내버렸어요
    작년에도 그렇던데요...초가을에 한여름 전기세 냈거든요...

  • 17. --;;
    '10.11.2 1:56 PM (116.43.xxx.100)

    저 오븐에 채소들 건조한다고 몇시간씩 몇날며칠돌렸어도 그만큼 안나왔는데요...9월초까지 제가 에어컨 켠거때문대 좀 더나왔구나 했어요....ㅡ.ㅡ;;

  • 18. ....
    '10.11.2 4:58 PM (121.162.xxx.134)

    3인가족... 200도 안되게 써서 전기로 2만원도 안되는데...

  • 19. 음..
    '10.11.2 5:14 PM (180.70.xxx.59)

    저희 집도 갑자기 많이 나온 달이 있었고 계량기도 그만큼 돌아가 있어 이상하다 했는데, 안쓰는 안방 화장실 백열등이 계속 켜져 있었던 걸 나중에 발견했어요. 새 백열전구가 닳아 안켜질 때까지 계속 켜져 있었던 바람에 전기요금이 많이 나온 거였죠. 혹시 모르는 곳에서 전기가 낭비될 요소가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 20. 원더랜드
    '10.11.2 6:08 PM (119.69.xxx.16)

    저희도 이번달 전기요금 폭탄맞았네요
    평소 6만원대 나왔는데 19만원이나 나와서 물어봤더니 8월에서 9월까지 쓴 요금이라네요
    올여름 살인적인 무더위에도 에어컨 제대로 안틀고 살았는데 아주 가끔씩 돌린 에어컨전기요금이
    나왔나봐요;

  • 21. 이상하네요
    '10.11.2 6:43 PM (221.165.xxx.228)

    우리 집은 여름에 에어컨 종종 틀었음에도 전기세가 생각보다 많이 나오지 않아서,
    많이 더우면 내년엔 더 틀어도 되겠구나 싶었어요.
    에어컨은 25도 정도로 틀었다가 바로 절전으로 바꾸곤 했지만요.
    만약 고구마 땜에 그렇다면 직화냄비로 바꾸서요. 고구마 아주 맛있게 된답니다.
    전 해피콜 양면팬으로 굽는데 파는 고구마 맛 나요.

  • 22. 짐작엔
    '10.11.2 8:08 PM (1.224.xxx.245)

    승압기를 사용한 점, 그리고 그게 오븐이었다는 게 결정타였던 것 같은데요. 제가 외국에서 쓰던 미니오븐을, 승압해서 사용하려고 승압기를 구입하려던 때... 판매하시던 분이 제게 그랬어요. 오븐은 가전 중에서 제일 전기 많이 먹는 제품이고, 게다가 그걸 승압해서 쓰면 장난이 아니라고. 차라리 새로 하나 220으로 장만하는 게 돈 절약하는 거라는 조언을 들었었거든요. ^^

  • 23. 오븐
    '10.11.2 8:32 PM (182.209.xxx.164)

    전기로 된 오븐은 아마 전기 많이 잡아먹을겁니다. 뜨거운 열을 내는 가전 사용할때 계량기 거의 휙휙~ 돌아가더군요. 저도 광파 오븐 있는데, 전기세 무서워 안씁니다. 전자렌지도 짧게, 다리미도 신속하게 쓰고 꺼버려요.

  • 24. 계량기누진
    '10.11.2 9:19 PM (124.53.xxx.178)

    되나 확인해 보세요!^^ 두달전에 저희집이 계량기 가 누진되서
    평소에 두배의 전기료가 나왔어요!
    주택이시면 한전에 문의 하셔서 누진되면 계량기 새로 갈으셔야 해요!
    아파트는 관리사무소에 연락 하시믄 조치 해 줍니당~~

  • 25. 윗님
    '10.11.3 2:23 AM (110.46.xxx.120)

    전기 누전으로 요금이 그리 많이 나올 수도 있나요?
    우리 아파트는 계량기 누전이 아니라도
    계량기를 한전에서 와서 새거로 갈아주고 간 적이 있어요.
    계량기도 수명이 있나 봐요.

  • 26. 그요금이
    '10.11.3 3:24 AM (24.10.xxx.55)

    언제 사용요금이지부터 확인해보세요
    이번달쓴걸 이번달에 청구하지는 않거든요
    10월달 고지서면 9월사용분이거나 8월중순부터 9월중순까지일수도 있고 ..
    기간부터 확인해보세요

  • 27. ..
    '10.11.3 7:35 AM (121.181.xxx.124)

    알아보셔야겠어요..
    저희는 33평이고 세척기, 양문형 냉장고, 40인치 lcd tv, 작은전기오븐, 전자렌지, 전기압력밥솥, 드럼세탁기, 컴퓨터(모니터2대), 공기청정기, 드라이기, 에어콘 있는데요..
    여름에 에어콘 별로 아끼지 않았는데 420kw 사용했고, 평소엔 380kw 씁니다..
    뭔가 이상하네요.. 물론 에어콘이나 다른것들이 절전형이긴 하지만...
    저희도 전기컨벡스오븐 일주일에 두번이상 돌려요..
    그리고 10월말에 내는 고지서는 윗님 말씀처럼 8월중순부터 9월 중순이기도 해요 저희집이 그래요..

  • 28. ..
    '10.11.3 8:36 AM (116.126.xxx.165)

    그런데요,
    전기요금 8월 9월에 쓴게 지금 나오나요??
    에어컨 쓰고도 많이 안나왔다고 좋아라 했었는데.. 살짝 불안해지네요... 8월 9월 사용분이 지금 나오는 거면..

  • 29. 흑..
    '10.11.3 10:06 AM (203.244.xxx.254)

    에어컨 쓰고도 많이 안나왔다고 좋아라 했었는데.. 살짝 불안해지네요... 222222222222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2975 리큅 와플기 구입했는데요. 3 와플홀릭 2010/04/07 950
532974 떡케익이요.. 6 ... 2010/04/07 595
532973 주택담보대출 어디은행이 싼가요?? 1 .. 2010/04/07 430
532972 병원에서 만난 귀여운 초등학생들... 2 .. 2010/04/07 652
532971 저도 한때 집안의 양말 한쪽만 먹는 구신^^;; 키운 적 있어요 12 양말도 패션.. 2010/04/07 978
532970 어머니가 파킨슨 씨 병 진단을 받으셨어요 7 노래하는곰 2010/04/07 1,112
532969 웅진 구름버스 그림책 있으신분 계세요? 3 엄마 2010/04/07 737
532968 해사고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시나요? 3 해사고 2010/04/07 588
532967 방통대 과제물 1 어려워 2010/04/07 491
532966 초등학교3학년 남자아이 안경 아님 드림렌즈? 5 속상하네요... 2010/04/07 602
532965 조심스럽게.. 제 입장 한번 써봐요 (전에 섹스리스부부 관련) 15 조심 2010/04/07 6,121
532964 먹는 방법 좀 알려 주세요. 11 2010/04/07 786
532963 운동화를 삶아봤습니다 1 내이름은김삶.. 2010/04/07 885
532962 이거 신장 이상증상인가요?? 2 걱정 2010/04/07 1,836
532961 초5 아들 자는 시간 밤9시30분 11 SDA 2010/04/07 1,292
532960 미국사람들 사무처리를 너무 못해요 17 ...미쿡 2010/04/07 2,098
532959 동경 날씨 어떤가요? 5 .... 2010/04/07 527
532958 아이 책(판도라지식통*) 살려고 하는데요.. 4 부탁드립니다.. 2010/04/07 352
532957 동이 보세요? 나만? 2010/04/07 367
532956 새차냄새 빨리 빼는 방법 없나요??? 9 .... 2010/04/07 958
532955 어린이집들 행태때문에 정말 화나요.. 6 어린이집 2010/04/07 1,033
532954 울 아기 귀여워 죽겠어요 26 ^^ 2010/04/07 2,043
532953 오늘 보셨어요? 5 당돌한여자 2010/04/07 709
532952 대한전선 종목 상담하는 화면인것 같은데 웃겨서요 10 웃겨요 2010/04/07 1,166
532951 갑상선암 중에서 무섭다는 미분화암에 대해 아시는분 계시면... 4 스마일 2010/04/07 1,256
532950 네이버냐? tstory냐 고민중입니다. 4 블러그 시작.. 2010/04/07 520
532949 로얄코펜하겐 백화점에서 덴마크랑 가격차이 없다는데... 3 가격이? 2010/04/07 1,121
532948 (사진 펌) 교육중에서 치료중으로.....이 인터뷰는 NG다 2 2010/04/07 447
532947 사르코지부인 부루니의 과거가 놀랍군요. 6 성해방? 2010/04/07 5,106
532946 중1 남자아이 영캐주얼브랜드 사이즈 문의요.. .. 2010/04/07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