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부동산 기사-- 약간 걱정 되는데요

조회수 : 2,129
작성일 : 2010-10-10 08:34:26
반등기사인거 같은데.. 전세 입장에서 심장 벌렁하네요..
어째야할지.. 내후년 정도 매수 생각했거든요..

-----------------------------------------------

부동산 바닥찍었나…증권사 반등전망 속출
연합뉴스 | 입력 2010.10.10 06:15


본격 회복시기는 내년, 후년 등으로 엇갈려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부동산 시장 침체로 국내 증시에서 건설주들이 맥을 못추는 가운데 최근 국내 증권사들이 잇따라 주택가격 상승을 전망하고 있어 주목된다.

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HMC투자증권는 지난 6일 건설업종 보고서를 통해 신규 입주 물량 감소와 가계소득 증가 등을 근거로 국내 주택시장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파트 연간 입주물량은 지난해 28만2천호에서 올해 29만9천호로 늘었지만 내년과 2012년에는 각각 18만8천호, 10만9천호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다 만약 건축년도가 30년이 초과한 재고주택(2005년 기준 158만호)이 앞으로 10년 내 재건축.재개발되면 15만8천호 규모의 멸실수요가 발생한다고 이 증권사는 분석했다.

내년부터 수요가 공급을 초과, 주택 초과수요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의미다.

증권사 관계자는 "주택가격과 상관성이 높은 가계소득지표가 1분기부터 회복되고 있는 것도 긍정적 전망의 근거"라며 "주택경기가 회복될 경우 건설사의 펀더멘털도 선순환 구조가 본격화돼 주식도 상승세를 탈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투자도 보고서에서 주택시장이 올 4분기부터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규주택 공급이 줄어드는 가운데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다소 살아나면서 올 4분기께는 7월 말 현재 10만6천여호인 미분양 주택이 8만호 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이선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수도권 주택시장을 짓눌렀던 입주물량 부담도 3분기를 정점으로 급감할 것"이라며 "공급부담이 더 이상 누적되지 않는다는 사실만으로도 주택시장이 숨통이 트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외국계 증권사들도 이러한 분위기에 가담했다. 크레디스위스(CS)는 보고서에서 주택가격이 2∼3년 내에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CS는 ▲매매와 전세 비용 간의 차이가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주택가격 하락과 소득 증가로 구입 여력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며 ▲신규 주택 보급도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JP모건은 정부의 부동산 진작 노력 등에 포인트를 맞추고 있다. 이 증권사는 지난 7일 보고서를 통해 최근의 전세가격 강세 추세 등에 맞물려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곧 부동산 시장이 저점을 통과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JP모건은 본격적인 시장회복에는 2년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CS도 낮은 주택 구입여력 등을 들어 주택가격이 단기에 반등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내다봤다.

증권사들은 부동산 시장이 회복될 경우 건설주와 은행주는 물론 내수소비 관련 업종 전반이 수혜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구별 총 재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주택가격 상승은 소비 견인 효과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IBK투자증권의 박승영 연구원은 "주택가격이 안정된다면 수혜주는 건설주와 은행주에 국한되지 않고 서비스와 유통 등 내수소비 관련 업종 전반이 수혜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며 "경기 둔화 우려가 상존하는 상황에서 지수를 끌어올리는 주된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lucid@yna.co.kr

(끝)

IP : 220.86.xxx.73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상태로
    '10.10.10 9:33 AM (125.182.xxx.42)

    십년간다...에 백원 걸어요.
    급반등 없을 거에요. 아마 전세가격 폭등덕에 2년뒤에 전세 끝나는 시점에서 저렴해진 집 찾는 사람들 있겠죠.

  • 2. 전 정말
    '10.10.10 9:50 AM (125.186.xxx.11)

    모르겠어요.
    윗님은 단정적으로 말씀하시는데, 저는 정말 모르겠네요.
    어찌 생각하면, 이제 아파트에 대한 생각 자체가 바뀐 게 아닌가 싶다가도, 또 내가 막상 집없는 사람 입장이라면, 과연 편안한 마음으로 지낼 수 있을까 싶거든요.
    저는 그냥저냥 살만한 집 한채에 약간의 대출이 있고, 수입대비해서 그 대출이 아무 지장이 없는 수준이라, 이 집을 팔 생각도 없고 이사갈 맘도 없고..그런데요.

    지금 전세를 살고 있었다면, 이게 최선일까 고민 많이 했을 것 같아요.

    집값이라는게 정말 오르려하면 무서운거라서요.
    반등이 좀 보인다 싶으면, 집없는 사람 입장에선 지금이 바닥일지도 모르는데 지금 사야하는거 아닐까 하는 마음에 하나 둘 씩 저렴한 거 잡아 구입하고..그러다 천만원 오르면, 천만원인데 별 차이 없으니 이거라도 사자..그러다 거기서 또 천만원 오르고..그거라도 사자 하는 사람들이 사고..이런 식이면 또 금방 몇천 오르는게 일도 아니잖아요.

    한편으론, 전세로 살면서 오르는대로 전세값 줄 형편만 되면 되는거니까, 집에 굳이 전 재산 쏟아부을 일도 아니다 싶어서, 안 사려는 사람들도 많을테니, 올라도 한정적일 것 같기도 해요.

    증권회사는, 대체적으로 부동산 활황이면 자기네들이 상대적으론 손해다보니, 부동산 전망을 밝게 보려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는데, 증권회사에서 이런 식으로 말하는 걸 보니 정말 좀 오르려나 하는 생각도 들구요.

    정말, 모르겠네요.

  • 3.
    '10.10.10 9:50 AM (58.122.xxx.218)

    좃선과 연합찌라시 기사는 정반대로 해석하면 100%죠.
    ㅎㅎㅎㅎㅎ

  • 4. 원글
    '10.10.10 10:18 AM (220.86.xxx.73)

    도움되는 말이나 위로좀 얻을까했는데요.. ㅠ ㅠ 전혀 위로가 안되네요..ㅠ ㅠ
    2번님 말씀대로 솔직히 막상 집없는 사람 입장에선 너무너무 현실적인
    중압감이네요
    몇 달 동안 집 알아본 결과 하나도 떨어진거 같지도 않았고..
    여기저기 말나오는 지역말고 자기 집 팔고 전세가겠다는 사람도 없었구..
    저흰 좀 싸게 나온 매물 계약하려다가.. 주인이 맘바꾼 케이스도..
    오른다고 해봐야 폭등, 이런거 전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하지만 엄청 떨어졌다고 해서 가봤더니 2,3천 떨어진게 급매물인데
    그나마 전혀 맘에도 안드는 것들만 있었는데
    아주 죄금이라도 오른다는건 곧 5천 이상씩을 의미하더라구요 경험상...
    전세가 2년 기한인데 내 후년에 풀릴 전세가 아니라고 연구원인 친구 말하고..
    기분 되게 찝찝하네요.. 그저께도 보고 온 집 좀 더 생각해보겠다고 했더니
    주인도 그냥 매물 거뒀다고 하는 바람에 정말 찝찝했는데...

  • 5. 저도
    '10.10.10 10:27 AM (58.145.xxx.215)

    집값 폭락한다. 다 팔아치워야한다...이런 확신에찬 얘기는 안믿어요.
    살아보면 딱 알잖아요. 내집있는거랑 없는거랑.
    누가 멀쩡한 내집 급매로 팔고 전세로 전전하겠어요.
    젊은사람들 집안산다? 그들은 결혼안하고 아이 안낳나요?
    결혼하고 애낳고 2년에 한번씩 전세전전.... 한두번만 해보면 돈모아서 집사려고할걸요...
    하우스푸어라고 소득수준에 맞지않게 무리한 대출받은 사람들은 팔수도있겠죠.
    어떻게 갚을지 생각도없이 무리하게 대출받는... 어리석은 사람들이 그렇게 많을까요.;;
    그냥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답 나오는것같아요.

  • 6. 금리가
    '10.10.10 10:59 AM (119.71.xxx.143)

    문제 아닌가요?
    가장 낮은 금리상태인 지금이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니
    금리가 높아지면 집값이 많이 달라지리라 생각해요
    언제까지 낮은 금리를 유지할 수 있을지...

  • 7. .....
    '10.10.10 11:00 AM (112.148.xxx.242)

    반등인지 하락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부동산사장님의 말로는 팔려고 나오는 물건도 사라지고 살려는 사람들도 사라졌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너무 급하게 팔려는 한두개의 매물이 가격이 되어버린 것처럼되었다고...
    하지만 급매물도 야금야금 소진되고 매매가 아예 없다는군요. 전세값이 오르니 집주인들이 전세금을 올려 대출금을 값거나 또는 전셋값오른만큼 부분월세로 받아서 대출금이자를 메꾸고 있다구요... 어쨌든간에 폭등도 없겠지만 일부 언론의 폭락은 없을것같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 8. 부동산
    '10.10.10 12:26 PM (112.149.xxx.60)

    부동산 매물 올려놓은 카페를 주기적으로 살펴보는데요
    작년과 다른 점이라면
    전세대출자금 되는지 물어보는 댓글과 전세매물에 대출이 많다는 글이 많고
    월세매물은 보증금이 낮고 월세가 높게 책정된 글이 많더군요.
    그런 글들 보면 부동산이 바닥을 찍었다기보다 버티기 상황에 들어간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금리 때문이라도 몇년정도는 버티기를 하거나 야금야금 내리는 추세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전세는 계속 오르게 될 거 같구요.

  • 9. 이머꼬
    '10.10.10 12:44 PM (110.12.xxx.201)

    부동산 통계 전문가인 친구가 준 자료에 따르면, 1인 내지 2인 가구의 증가폭이 상당히 큽니다. 이들이 분양을 받거나 기존 아파트를 매수할 능력은 없어 결국 초소형 또는 소형 아파트 전세 수요자들 된다고 봅니다. 이 친구에 따르면, 참여정부 부동산정책의 가장 큰 패착은 이러한 추세를 못 읽어서 오피스텔이나 소형 아파트 신축을 장려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여기다 매매가 대세 하락을 예상하는 잠재적 매매 수요자들이 전세로 방향을 틀면서 전세금 폭등이 일어 나고 있고, 다가구 주택을 깨부수고 달랑 아파트 한 채 주는 식의 재개발이 기름을 들이 부은 꼴이고... 아무튼, 전세가는 당분간 오를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내려 갈 것이 뻔히 보이는 아파트를 매수하는 건 쉽지 않은 결정일 것이고...

  • 10.
    '10.10.10 1:23 PM (124.51.xxx.132)

    경기도 1억3천하던 전세가 1억7천이라네요...쫓겨나게 생겼습니다..ㅠㅠ
    이래서 사람들이 집을 사나 싶어요..흑

  • 11. 본인선택
    '10.10.10 4:25 PM (119.67.xxx.202)

    주위에 신경쓰지 말고
    본인의 선택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IMF 때 제가 집산다고 할때 울 오빠 미쳤냐고..다들 떨어진다고 난리인데
    전 집이 없어서 실거주 목적으로 삿어요
    오빠한테 조금 빌리고 ..은행에 넣어 놓았던 이자 15% 이상일때..
    미련없이 은행에서 빼서
    얼마후 오르기 시작하더니 무섭더이다
    오르던 내리던 이자값을 능력만 있으면 집사세요
    전세계적으로 금리 높지 않은데 우리나라만 금리 올리지는 못합니다
    올려도 조금씩 올린다던다 하겠지요
    변동금지 무서우면 확정금리를 받으면 됩니다

  • 12. 그나마
    '10.10.11 7:57 PM (125.132.xxx.216)

    지금은 전세제도가 남아있지만 이렇게 가다가는 전세자체가 씨가 마를껄요.
    편하게 생각하자면 여유돈 있으신 분들이야 별거 아니다 생각하시겠지만 전 단순히 안오른다고 할수도 없다고 봐요.

    금리 오르면 집값 떨어진다고 편히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전세를 일정부분 월세로 돌리겠지요.
    금리만큼의 손실을 보존할려다보면 아마도 급격히 전세자체가 씨가 마를것 같아요.
    그러다보면 월세가 대세가 되어갈텐데 그렇게되도 집값이 안오르니 걱정말라고 하실수 있으신지 모르겠어요.

    열심히 공부해서 내가 생각하는 쪽으로 행동하시되 여력이 되면 작아도 내집은 마련하고 보는게 제일이라고 생각해요.
    집값에 우르르 몰려서 오른다안오른다 하는건 다주택자들얘기지요.

    어차피 여기에 물어봤자 상황이란건 여건에 따라서 달라지니 자기소신대로 가야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1875 전기레인지 "헤티스" 1 전기레인지 2010/02/20 638
521874 방금 어문회 한자시험 치고 왔어요, 그런데?? 3 ........ 2010/02/20 761
521873 나의 가치 2 전업10년 2010/02/20 454
521872 튀김 안전하게? 잘하는 비법 좀 알려주세요.. 2 칠리새우 2010/02/20 530
521871 청와대 '세종시 설득작업' 나선다 2 세우실 2010/02/20 224
521870 자매들끼리도 서로 질투를 하나요? 정말? 18 그런가요? 2010/02/20 3,528
521869 이제야 비로소 82 덫에서 벗어났어요. 7 새로운 한 .. 2010/02/20 1,182
521868 요즘 왜 안나오나요? 7 조영남씨 2010/02/20 838
521867 마포쪽에 맛난 떡집~ 9 2010/02/20 1,072
521866 애들 책상이요. 중등도 흰색쓰나요 7 . 2010/02/20 623
521865 ktf 친구찾기 요금에 대해서..ㅠㅠ 3 ㅠㅠ 2010/02/20 983
521864 예비중인데 pc방을 친구랑 같이 가고 싶어해요. 5 .. 2010/02/20 600
521863 혈뇨 있으면 정기적으로 검진해야 하나요? 9 초등아이 2010/02/20 815
521862 장터에서 물건 사고 파는 내모습.. 16 장터 2010/02/20 2,291
521861 지금은 네스프레소바우처 쿠폰 3 쿠폰 2010/02/20 669
521860 의료사고로 다리수술 잘못한 병원은 어디일까요? 1 경남 마산이.. 2010/02/20 957
521859 대전에서 가장 큰 백화점은 어딘가요? 7 이쁜이맘 2010/02/20 1,190
521858 쌍꺼풀수술비용이 비싼곳이 더 잘하는곳인가요? 6 미인만들기 2010/02/20 941
521857 수학선생님 계시면 봐주세요 ^^ 3 연산 2010/02/20 583
521856 지난 번 살림돋보기(살돋)에 올라 왔던 명품 식기 건조대요~ 4 명품 식기 .. 2010/02/20 1,145
521855 연아선수 밴쿠버에 도착했네요...^^ 10 연아짱 2010/02/20 1,010
521854 7억대 30평대 아파트 추천해주세요~ 9 이사. 2010/02/20 2,092
521853 세제와 수세미 어떤게 좋나요? 5 2010/02/20 731
521852 금방 많이먹는편이냐고 글올리신분.. .. 2010/02/20 434
521851 친정엄마가 넘어지셨어요.. 3 걱정 2010/02/20 523
521850 천정 낮은집 살기어떤가요? 이사해야하는데 ㅠ.ㅠ 4 우울 2010/02/20 709
521849 어떤 10억? 26 40세 2010/02/20 4,610
521848 마를 선물받았어요 5 마천국 2010/02/20 512
521847 전주 맛집 9 초롱맘 2010/02/20 883
521846 2010년 빕스 어떤가요? 5 . 2010/02/20 1,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