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편도적축술은 개인병원 vs 종합병원??

.. 조회수 : 626
작성일 : 2010-09-20 00:23:48
이번에 편도적축술을 하려고 하는데요 개인병원과 종합병원중 어디서 해야하나요?
분당에 있는 병원중 추천해주세요

종합병원에서 하면 레지던트들이 할것 같고 차라리 경험많은 개인병원에서 해야할지
결정을 못하고 있어요.  
지난번에 위내시경을 수면으로 안하고 일반으로 했는데
제가 하기로한 선택진료 담당 의사는 지시만 하고 레지던트가 하더군요
담당지정의가 검사하기로 해서 검사료가  더 추가되서 나왔는데...
그거보니깐 전신마취로 수술하는데 당연히 레지던트가 하는거 아닌가 싶어요
편도수술하면 엄청 아프다던데 하기전부터 겁 나네요
IP : 112.149.xxx.17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쎄요
    '10.9.20 12:32 AM (122.32.xxx.95)

    저희아들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했는데요...수술실에 안들어가봤지만...레지던트가 했을까요? 선생님이 수술상황이랑 진행상황 말씀해주시는거 보면 중요한 시술은은 샘이 하셨을것 같기도하고.. 개인적으로는 전신마취가 필요한 수술이니 종합병원이 낳은것 같아요.
    무슨 수술방식이었는지 모르지만 피도 덜나고, 아이도 덜 고통스러워해서..전 분당서울대병원 추천해요.

  • 2. ..
    '10.9.20 12:35 AM (112.149.xxx.175)

    당연히 수술실엔 환자만 들어가니 보호자는 의사들 설명만 들을 수 밖에없죠
    어느 샘한테 하셨나요?

  • 3. 종합.
    '10.9.20 12:42 AM (219.248.xxx.162)

    크고 유명한 대학병원에서 하세요..입원도 2박3일 하셔야 돼요.
    담당 교수 시간 맞춰 예약했고..당연히 교수가 수술 했어요.
    간단한 수술이라고는 하지만, 전신마취를 하는 수술이라 그런지
    저 하나 하는 수술실에 꽤 여러명이 있던 기억이 나네요...

    수술은 전신 마취니 아플거 없구요..
    회복기간은..좀 많이 아프긴합니다..^^;
    하지만 편도적출수술 결정 할 정도면,
    평소에 편도로 인해 얼마나 고생하면 살았는지 잘 아시잖아요?
    수술하시고 새로 태어난듯 건강한 일상생활이 가능해요..ㅎㅎ
    수술 잘되시길 빌어요.~~

  • 4. 보세요
    '10.9.20 9:11 AM (219.251.xxx.70)

    편도 수술 절대로 하시면 안됩니다
    우리가 몸이 어디가 안좋으면 가장 먼저 증상을 보이는 것이 편도래요
    제 아들도 뻥아니구 양쪽에 방울토마토 보다는 조금 작은 편도를 달고 살았고
    숨쉬기도 힙들고 그거 때문에 성장하면서 얼마나 고생을 했는지 몰라요
    무슨 달표면처럼 구멍이 숭숭있고 그안에 더러운 찌꺼기 같이 박혀서 냄새도 장난이 아니었고
    종합병원에 예약까지 했던 상태였는데
    예약날짜까지 기달릴수가 없어서 다른 이비인후과를 갔는데
    의사가 수술 절대로 하지말래요
    자기들이 전문인데 더 잘안다고 자기 아들이면 수술 안시킨다고 하대요
    크면서 자연히 좋아지기도 하니까 정말 아프고 힘들어도 자기는 권하지 않는대요
    몸에 병이 있으면 가장 먼저 알리는게 편도래요
    그거 잘라내면 냄새도 안나고 고통도 없겠지만 병이 생겨도 편도가 알려주지 못하면
    더욱 큰 병으로 진행이 되기도 한대요
    우리 몸에는 다 필요해서 있는데 수술을 권하지 않는다고...걍 포기를 하고 고생을 좀 더했어요
    이젠 저절로 쪼그라들어서 붙어 있지만 감기도 잘 안하고 잘 지내고 있답니다

  • 5. 종합.
    '10.9.20 10:59 AM (219.248.xxx.162)

    윗분 때문에 글 한번 더남깁니다...
    편도수술.. 물론 몽에 있는 면역 기관 떼어내는 것이니 이상이 없다면 안하는 것이 좋겠죠..

    하지만...
    편도 수술을 결정할 정도의 사람들보면, 그 고생하는 정도가 안겪어 본사람은 절대 모릅니다.
    커서도 좋아진다 지만, 좋아진점이 없어서 수술을 결심하는 사람들입니다.
    저는 학창 시절 한번도 개근상 받아본적이 없어요..
    한달에 감기몸살 한번에서 두번 이상은 기본이었구요..
    겨울에는 가습기, 방안 온도, 실험실에서 쥐 키우듯이 극도로 예민하게 주위 환경관리하면서
    살았어요..
    피곤하거나, 낯선 장소에서 잠자면 바로 편도 붓고 상기도 염으로 진행됐죠.

    제가 제작년 10월에 수술했는데.. 수술이후에 감기 딱 두번했습니다.
    수술직후 한번..그리고 감기라고 하기도 뭐한 얕은 감기 또한번..

    편도는 청소년기 시기가 지나면 기능상 퇴화가 되죠.
    제 주변 사람들을 봤을때도 편도수술만큼은 누구나가 추천하고 만족도가 엄청 높은 수술입니다.

    "보세요"님이 아시는 전문의는 수술을 하지 말라고 하셨지만,
    제가 다닌 종합병원, 동네 개인병원 원장님들은 한분도 수술이 해롭다고 말씀하시는 분 없었어요..
    특히나 어린이들 경우에는 성인이 수술할때 보다 회복이 빠르고 고통도 적고,
    편도 장애로 키 성장에 방해된다고 해서 어릴때 해주는 부모들도 요즘에는 많구요..

    편도 수술이 분명 부정적인 영향을 줄수는 있습니만...
    좀 과장되게 말하면
    편도 수술로 거의 새로태어났다 싶을 정도로 만족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무조건 편도 수술을 하지말아야 한다는 잘못된 정보 들을 때마다 답답해서 글씁니다..

    비슷한 이야기로
    라식 수술 전문의 들은 안한다면서 절대 하지마라는 말이 있죠...
    대학병원에 젊은 레지던트들 전공의들보세요..라식한 애들 천지 입니다.

  • 6. 면박씨의 발
    '10.9.20 3:30 PM (222.232.xxx.217)

    저도 고1때 수술했는데요
    같은 병실 30살 초반 여성분도 저랑 같은날 수술했거든요
    저도 굉장히 아팠지만, 옆자리 여자분은 밤새 고통으로 발을 차더라구요. 덕분에 저나 다른 환자, 가족분들도 밤새 잠을 설쳤어요.
    저도 정말 아파서 힘들게 하룻밤 보냈는데요.
    회복도 제가 좀 더 빨랐어요 (저는 링거도 잘 못맞고; 혈관이 자꾸 터지고 붓고 해서 -_-;; 영양제도 1주일간 나눠서 조금씩 맞았어요.. 아프다고 떼쓰면서 잘 먹지도 않았는데도)

    듣기로 편도선은 어릴때 수술하는게 덜 힘들다고 했어요.
    저도 뭐 그땐 어리다고 할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 -_-;; 지금 제 친구 서른 넘어 고생하는거 보면 전 그때라도 수술하길 잘했다는 생각입니다.
    제 친구는 한여름 빼고는 목에 손수건을 달고 살아요. 추운 내내 편도 부어 고생이구요.
    지금 직장땜에 너무 바빠 수술할 틈도 못내는데 시간 날때 꼭 수술하겠다고 벼르고 있어요

    몸에 문제가 생기면 젤 먼저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지만... 1년 내내 편한날 없는 편도가 제기능을 얼마나 할까 싶어요. -_- 이미 고장난 편돈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2661 휴..유산후에 첫생리가 한달이 넘어요.... 3 걱정 2010/01/07 974
512660 엠비씨 드라마 '히어로' 8 히어로 만세.. 2010/01/07 1,036
512659 아이 수학, 엄마표로 몇학년까지 가능할까요? 15 수학싫어하는.. 2010/01/07 1,898
512658 양재코스트밤늦게가면 할인되나요?? 3 궁금 2010/01/07 1,065
512657 ort는 정말 실패하는 애들이 없을 정도로 좋아들하나요? 9 ort 2010/01/07 2,858
512656 김진애 ‘의원님, 나한테 찍혔소’ 8 세우실 2010/01/07 1,031
512655 딸아이 귀걸이 해주려구요 6 귀 뚫으려면.. 2010/01/07 994
512654 인천 송도로 이사가려고하는데요 4 이사가자 2010/01/07 1,302
512653 몰펀 좋은가요? 혹시 공동구매 하는 곳 아시면 추천 바래요. 몰펀 2010/01/07 2,587
512652 부산사시는분 해운대에서 깡통시장까지 먼가여? 6 ........ 2010/01/07 1,095
512651 싱가폴 사시는 분들께 여쭈어요.. 6 막막함 2010/01/07 882
512650 회갑잔치하고 팔순되신 부모님 잔치 또 하나요? 5 잔치 2010/01/07 1,523
512649 아이 낳고 산후 우울증인지 11 ........ 2010/01/07 1,015
512648 지금 MBC미니시리즈 히어로 보시는 분들 있나요? 7 글쎄요. 2010/01/07 784
512647 기간 만료 3달전인데 명도소송 해야할지 말아야 할지 조언주세요. 4 ... 2010/01/07 961
512646 밍크 저렴하게 구입하는 방법 없을까요...;;;? 10 밍크 2010/01/07 2,098
512645 급체후 한의원 가봐야 할까요? 3 난생처음급체.. 2010/01/07 1,036
512644 장에 좋은 음식(함초환?) 알려주세요~ 3 도와주세요ㅠ.. 2010/01/07 593
512643 시아버님 팔순 때 아이가 시험보러 가야하는데 8 며느리 2010/01/07 1,424
512642 공익으로 한달간 훈련소 입소할때 10 공익 2010/01/07 803
512641 로봇청소기 추천해 주세요. 1 걱정걱정.... 2010/01/07 587
512640 의사분 계세요?? 감기증상인지좀 봐주세요.. 3 급질문 2010/01/07 480
512639 보드배우기는는 어렵나요? 9 . 2010/01/07 885
512638 저같은 분 계세요? 11 속좁은 나 2010/01/07 1,598
512637 불은 라면 먹을까봐 숨도 안쉬고..ㅎㅎㅎ 2 살았다.. 2010/01/07 811
512636 인터넷가계부 4 각오 2010/01/07 2,043
512635 방금 읽은 글이 사라져서 그냥 답글 답니다.친구관계. 5 비타민 2010/01/07 4,868
512634 부모한테 받은 상처때문에 자식 안 낳는다는 말 사과해야할까요? 4 엄마 2010/01/07 1,120
512633 코스트코에서 유기농 밀가루 판매하나요? 3 밀가루 2010/01/07 970
512632 은행의 세금우대저축에 대해서요.. 2 조언해주세요.. 2010/01/07 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