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명절에 지내는건 제사가 아니라 차례 아닌가요?

??? 조회수 : 792
작성일 : 2010-09-19 18:30:25
저는 결혼전에는 기독교식으로 예배만 드리다가
결혼 후에 처음으로 제사니 차례니 지내는 사람이 되었는데요.

여기 글에 보면 '추석 제사상'이라고들 하시던데
명절에 지내는건(드리는건) 제사가 아니라 차례 아닌가요?

물론 차례도 제사의 한 종류라고는 하지만...

학교 다닐 때에도
명절엔 차례
돌아가신 날 제사

이렇게 들은 것 같은데요...
IP : 221.138.xxx.14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9.19 6:32 PM (121.129.xxx.79)

    저는 아침에 하는 건(명절) 차례.
    기제사처럼 저녁에 하는 건 제사라고 알고 있었는데^^;;

  • 2. 그러게요
    '10.9.19 6:34 PM (128.205.xxx.84)

    특정인(단수 혹은 복수)을 두고 하는 게 제사고
    명절에 지내는 게 차례인데
    그 말 하나 제대로 못 쓰는 사람들이 많네요.

  • 3. 맞아요
    '10.9.19 6:41 PM (220.79.xxx.203)

    많이들 제대로 모르고 쓰더라구요.

  • 4. 봄비
    '10.9.19 6:54 PM (112.187.xxx.33)

    차례 자체가 '아침이나 낮에 지내는 제사'라는 뜻이지요.
    보통은 음력 초하루나, 보름날에 지내고(옛날 사대부 집안에서는 집안에 사당을 모셔두고 매달 이런 제사를 지냈다 함)
    단오나 청명 같은 절기에 또 따로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를 모두 뭉뚱그려서 차례라 한답니다.

    그러니까 추석 제사상이라는 말은 맞는 말이에요.^^
    추석... 즉 음력으로 팔월 보름날 아침이나 낮에 지내는 제사가 바로 추석 차례니까요.

    명절에 지내는 제사와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를 구분짓기 위해 후자를 기제사라 하지요.

  • 5. 봄비
    '10.9.19 7:00 PM (112.187.xxx.33)

    덧붙이면... 낮에 부모님 산소를 찾아서 산소 앞에 과일이나 떡을 펼쳐놓고 술을 따르고
    절을 하는 등 약식 제사 의식을 치른다면... 그것도 차례가 되는 것입니다.

  • 6. ....
    '10.9.19 7:07 PM (218.209.xxx.252)

    차례가 명절 제사잖아요..돌아가신 날에 지내는게 가제사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8473 저희 부부 가망 없겠죠 34 임산부 2010/09/19 9,257
578472 저도 묻어서 질문.. 예비시댁에 인사 가야 할까요? 12 5시간거리... 2010/09/19 889
578471 남자의 자격 정말 질질 끄네요.. 27 질질질 2010/09/19 4,960
578470 친정아버지 보청기를 구입해드렸으면 좋겠는데... 3 보청기 2010/09/19 388
578469 이번 추석에 가야하는 걸까요? 3 궁금해요. 2010/09/19 449
578468 남자의 자격에 나온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부르신 노래 4 erestu.. 2010/09/19 1,566
578467 홍콩, 마카오 몇 박이면 좋을까요? 5 홍콩, 마카.. 2010/09/19 816
578466 시어머니 자랑... 8 해도 될까요.. 2010/09/19 1,606
578465 대명콘도 회원권은 어디서 사는게 좋나요? .. 2010/09/19 344
578464 홍콩 블로거 다나*이씨.. 개명하셨나요? 4 홍콩블로거 2010/09/19 2,188
578463 괜찮은 수면제 추천해주세요~ 3 모리 2010/09/19 727
578462 애들이 소고기 맛을 안 후 식비가 후덜덜 해졌어요. 7 머리아퍼 2010/09/19 1,415
578461 층간소음 3 쿵쿵쿵 2010/09/19 483
578460 [급질]도와주세요 5개월아기.. 4 BCG 2010/09/19 464
578459 인조가죽 쇼파에 볼펜자국 어떻게 지우나요? 5 내가범인 2010/09/19 960
578458 남편이 시댁에 가지말자네요 6 답답한 아내.. 2010/09/19 2,406
578457 서울대생이 과외를 하면 32 이모 2010/09/19 2,950
578456 왜 제가 끓인 라면은 항상 맛없을까요? 11 초짜 2010/09/19 1,197
578455 볼에 대왕만한 여드름(?) 뾰루지(?)가 났어요. 터뜨려야할까요? 4 아 아퍼 2010/09/19 975
578454 뒤늦게 영화 '하녀' 봤는데.... 6 ㅇㅇ 2010/09/19 2,245
578453 아무것도못하는 울 남편 10 ㅎㅎㅎ 2010/09/19 1,525
578452 떡 찔때 까는 베..집에서 뭘로 대체할수 있을까요? 9 송편 2010/09/19 908
578451 흑임자(깨죽) 환상으로 잘 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알려주세요~.. 2010/09/19 239
578450 결혼15년차, 성격차로 이혼 이야기까지 나왔는데요 50 이혼해야하나.. 2010/09/19 5,951
578449 이마의 다른 말 특히 이마의 가운데로부터??? 아시는 분~~ 3 퀴즈왕^^ 2010/09/19 1,038
578448 남자의 자격보고 울었네요 12 2010/09/19 2,617
578447 집에서 쑨 도토리묵~ 4 ^^* 2010/09/19 464
578446 명절에 지내는건 제사가 아니라 차례 아닌가요? 6 ??? 2010/09/19 792
578445 남자의 자격에서 나온 노래 4 ..... 2010/09/19 1,397
578444 미국산 소갈비일까요? ( 댓글 부탁드립니다 ) 2 에궁~~ 2010/09/19 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