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공대 가는 아이는 갑니다.
저 역시 공대 출신이고 공대에 우수한 인재가 많이 가야한다는데는 공감합니다.
허나 현실이 그렇치 못한데 유감이 아닐수 없습니다.
제작년에 제아들과 같이 학교 다니던 아이가 있었습니다.
아들과 성적이 비슷비슷 같이 경쟁하였었지요.
제 아이는 공부만 했지 어떤 뚜렸한 목표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 학교 어때 하면 응~ 좋아..
저 학교는 어때 하면 그 학교도 좋겠다 그랬었지요.
자기 주관이 없었던 게지요.
그런데 그 아이는 처음부터 공대 갈 생각을 했었던거 같았습니다.
수시로 지방 국립의대와 포공을 넣었는데 합격을 했었지요.
아이 집안에서는 의대로 가라고 했었어요.
허나 애가 자기는 포공 가겠다고 했나봅니다.
하여 그 집안에서 난리가 났어요.
엄마가 애원도 해보고 빌고 또 빌고 했지만 결국 포공으로 가더군요.
그 엄마가 후에 보니 눈이 퉁퉁 불어 있더군요.
그렇치만 전 그 아이의 소신이 참 부러웠습니다.
제 아이는 그 애가 포기한 의대로 갔지만 그애의 뚜렸한 소신에 마음속으로 격려를 보냈었지요.
그래 너 같은 학생들이 있으니 그래도 우리나라가 이만큼이나 하는가보다...
지금 그 애는 학교생활에 만족한듯 잘 다니고 있답니다.
1. .
'10.9.7 5:16 PM (119.203.xxx.28)원글님 아들이었다면 그소신이 원망스러웠을 수도...
포공 가도 뾰족한 수 있는게 아니니
포공 가서 맘이 변해
학업을 포기하고 다른길로 전환하는 수도 꽤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포공 총장이 학업을 못따라 가는
중도 탈락자가 30%라는게
탈락자가 다 탈락자가
아니라는 거죠.
아는 사람은 다 알죠.^^;;
제 지인의 아들도 포공 2학년인데
아들 뭐 먹고 사나 걱정해요.^^2. 쩝...
'10.9.7 5:33 PM (221.158.xxx.8)아래 공대에 관련된 글을 읽었는데 우리나라 공학계열에 있는 분들 대우가 정말 엉망인가 봐요.
암울한 현실이네요...
4대강에 돈 쏟아 붓는 돈으로 공학부분에 지원을 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저 아는 아이도 몇 년전에 원글님이 아시는 아이처럼 의대 하고 공대 붙었는데
공대 갔어요. 그 집 엄마도 아이가 의대 가길 원했는데 아이 고집을 못 꺽었어요.
제 아인 진짜 교수밖에 할 것 없는 순수과학를 한다고 해서
열심히 공대 쪽으로 말해보고 있는데 어떻게 될지 모르겠어요.
친한 친구(미국인)는 미국 유명연구소에서 근무하는데 대우가 좋아요.
이 친구는 순수물리학을 하고 싶어하지만 돈 때문에 공학계열 연구소에 있거든요.
공대에 뜻이 있는 자녀를 두신 분들 미국쪽으로 진로를 생각하시고 열공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미국은 공대 쪽은 장학금도 많고 조건 좋은 일자리도 많습니다.3. 공대...
'10.9.7 5:47 PM (125.177.xxx.10)울 신랑 공대나왔어요. 대학원까지 하고 지금은 뭐 연구원으로 있죠. 대기업들은 어떨지 모르겠으나 중소기업 연구원...에효...한숨나와요. 본인도 왜 자기가 공대를 갔는지 모르겠다고 애들이 공대 간다 그럼 뜯어 말린다고 그러네요. 공대 전공분야 나름이겠지만 울 신랑 하는 일은 어째 일이 끝도 없는지...맨날 12시네요. 정말 주변에 누가 공대간다 그럼 뜯어 말리고 싶어요.
4. 네...
'10.9.7 5:58 PM (211.51.xxx.2)그러다 나중에 관리직에게 이용당하다 억울해서 사시 보고 합격하더군요..쩝.
이게 우리나라 공대의 현실. 저도 그런 소신을 갖고 공대나왔습니다만 후회해요.5. .
'10.9.7 6:00 PM (203.142.xxx.241)포공나와 기껏해야 연구원인데 우리나라 연구원이 정년 보장되는 것도 아니고
수입이 입 떡벌어지게 많은것도 아니고 그냥 빚 좋고 허울좋은 개살구라서 문제죠6. 원글~
'10.9.7 6:07 PM (220.71.xxx.144)쩝....
어째 써 주신 글들이 영 그렇습니다.
전 그래도 자기 소신것 공대 가는것이 좋아 보여서 썼는데....
모든분들이 다 공대 간걸 안 좋게 보시니 글 쓴 취지가 무색하군요.
제 아이는 그저 무색무취해서 의대로 갔습니다만,
그래도 공대가서 잘된 사람도 있답니다.
제 친척중 한 동생이 S대 건축과 나왔습니다.
그런데 엄청 잘 되더군요.
돈도 돈이지만 사업 넓히는게 장난이 아니고 또 하는일이 엄청 재미있나 봐요.
보면 항상 젊게 살더군요.7. 미국
'10.9.7 6:13 PM (163.152.xxx.239)미국 가는 게 해결책 아닙니다
미국 회사 간 선배들.. 경제 위기 때 제일 먼저들 짤렸어요8. 네...
'10.9.7 7:59 PM (112.148.xxx.28)의대랑 공대 합격했는데 우리 아들 공대갔어요. 절대 의사같은 일은 못 할것같다며요....
지금 똑같은 일이 생긴다해도 역시 공대 갈거라네요..
의사는 투철한 인간에 대한 사명감을 지닌 사람 아니면 덤비지 말아야할 학문이라고 생각한다나요?
우리 가족 아무도 아쉽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공대 처우...어쩌고 논란이 일 때 마다 걱정이 안 되는건 아니지만 아이가 후회하지않으니 잘한 선택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9. 문제는..
'10.9.7 8:44 PM (118.91.xxx.88)졸업후에 얼마나 만족하고 사느냐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