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마지막까지 그는 '꿈많은 청년'이었다 - 유시민

괜히 봤어 조회수 : 1,021
작성일 : 2010-04-30 17:09:46
2009년 5월 23일, 해가 떠오르는 시각. 그는 똑바로 앞을 보면서 뛰어내렸다. 그의 몸은 두 번 바위에 부딪히면서 부엉이바위 아래 솔숲에 떨어졌다. 마지막 길을 동행했던 경호관이 다시 찾아내기까지 30분 동안, 그는 거기 혼자 있었다. 다시는 눈을 뜨지 못했다. 말을 하지 못했다. 숨을 쉬지 못했다.

그가 이승의 마지막 잠을 혼자서 청했던 그 시각, 나는 제주도에서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가 혼자서 마지막 글을 수정해 컴퓨터에 다시 저장하고 봉화산 돌계단을 걸어 올라갔던 그 시각, 나는 편하게 잠을 자고 있었다. 텔레비전 속보를 보고 누군가 전화를 하기 전까지, 나는 그가 떠났다는 사실조차 몰랐다.

김해로 가는 항공편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커다란 선글라스로 눈을 가린 채 제주공항 대합실 구석에 쭈그리고 앉았다. 아무 생각이 나지 않았다. 어떤 말도 할 수 없었다. 그저 눈물이 났을 뿐.

  사람들이 많이 울었다. 봉하마을 분향소에서도 서울역 분향소에서도, 사람들이 많이 울었다. 나도 울었다. 울면서 생각했다. 사람들이 왜 이렇게 많이 올까? 왜 저렇게들 우는 것일까? 국민장을 치른 엿새 동안 봉하마을에만 100만 명 넘는 조문객이 왔다. 전국 분향소에서 500만 명 넘는 국민이 조문했다. 대한문 시민분향소 주변은 현실공간이 아닌 것 같았다. 그렇게 좁은 곳에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표정을 지은 채 하염없이 줄을 서서 기다리고, 구령에 맞춰 똑같이 두 번 절을 올리고, 그리고 저마다 눈물을 훔치며 빠져나가는 광경은 상상조차 해본 적이 없었다. 노제를 치른 서울시청 광장은 탄식과 슬픔이 너울대는 사람의 바다였다.

그의 몸은 물과 흙, 나무와 바람, 태양과 별들에게 돌아갔다. 남은 재 한 줌이 부엉이바위가 비스듬히 내려다보는 곳, 작은 비석 아래 묻혔다. 그의 고통과 번민은 분향소에서 눈물을 쏟았던 사람들의 가슴으로 흩어졌다. 아주 작은 조각 하나가 내 마음에도 들어왔다. 살아있는 그를 다시 만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신호가 움직이는 사이버 공간에 가면, 변함없이 활기찬 그가 우리에게 다가와 말을 건다.

서울역 분향소에 서서 눈을 감고 그를 생각했다. 처음 보았던 때부터 마지막 대화를 나누었던 날까지, 그와 함께 했던 순간들을 하나하나 되짚어 보았다. 그는 어떤 사람이었는가? 그는 나에게 어떤 존재였던가? 그는 세상에 무엇을 남겼는가? 그는 왜 그렇게 떠난 것일까? 나는 무엇 때문에 이리도 아픈 것일까?

그는 자기 자신 말고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사람이었다. 물려받은 재산이 없었다. 화려한 학력도 없었다. 힘있는 친구도 없었다. 고통받는 이웃에 대한 연민, 반칙을 자행하는 자에 대한 분노, 정의가 승리한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려는 열정 말고는 아무것도 없었다. 그는 연민과 분노와 열정의 힘만으로 가장 높은 곳까지 올라갔다. 처음에 혼자였던 그는 마지막에도 혼자였다.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동안에도, 높은 곳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도, 그는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편안하게 놓아두지 않았다. 끝없이 연민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만들었다. 그는 높은 곳에서 희열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았다. 낮은 곳에서 고통받는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에만 기쁨을 느끼는 듯 보였다. 그럴 때조차도, 함께 고통받지 않으면 죄의식을 느끼는 사람이었다.

그런 그가, 나는 좋았다. 그가 혼자, 너무 외로워 보였기에 그에게 다가섰다. 하지만, 그 외로움을 덜어주지 못했다. 그가 회복할 수 없는 실패로 죽음보다 더한 고통을 받고 있었던 시간, 나는 곁에 없었다. 그가 절대고독 속에서, 돌계단을 하나씩 밟으며 혼자 부엉이바위에 오르게 버려두었다. 그를 외롭게 않게 하려고 내가 했던 모든 일들이, 오히려 그를 더 혹심한 고독에 몰아넣었는지도 모른다. 그가 혼자 떠났다는 것을 안 순간, 나를 사로잡은 감정은 짓누르는 죄책감이었다. 그런 감정 없이는 지금도 그를 떠올릴 수 없다.

내가 아는 그는 연민과 부끄러움이 많은 사람이었다. 30대 중반을 넘긴 평범한 변호사 노무현을 양심수와 노동자를 돕는 인권운동으로 인도한 것은 그 어떤 빛나는 이념도 아니었다. 정의가 생존권을 지키려고 싸우다 박해받는 동시대인에 대한 소박한 연민이었다. 불의가 횡행하는 세상에서 혼자 안온한 삶을 누리는 것에 대한 미안함과 부끄러움이었다. 자신의 안위를 지키려고 시대를 외면하려 했을 때 가슴 밑바닥을 때린 수치심이었다. 그런 것들 때문에 그는 민주화 운동에 뛰어들었고 정치를 시작했다. 나에게 그는, 그가 하는 일에 힘을 보태지 않고는 부끄러움을 면할 수 없게 만드는, 그런 사람이었다.

만인의 인정을 받을 만큼 충분히 유능하고 지혜로운 대통령은 아니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는 인권 변호사로서, 민주화 운동가로서, 정치인으로서, 그리고 대통령으로서 많은 일을 해냈다. 전직 대통령으로서 시민으로서, 정치를 통해 다 하지 못했던 일들을 마저 하려고 했다. 그랬던 그가 왜 그렇게 훌쩍 떠나야 했던 것일까? 이 질문을 떠올릴 때마다 주체하기 어려운 분노에 휩쓸리곤 했다. 절망감에 가슴이 무너지는 것 같았다. 검찰이 그를 정조준한 수사와 비열한 여론 재판을 시작했을 때, 그는 전직 대통령의 명예를 포기했지만, 사실만은 지키려고 애썼다. 그것은 노무현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자기 자신 말고는 아무것도 없이 가장 높은 곳으로 오르는 동안, 그는 너무 많은 사람들의 사랑과 도움을 받았다. 그는 그 사람들을 생각했다. 대통령으로서 알고 범죄를 저지른 것과 주변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사고가 난 것은 큰 차이가 있다. 그는 ‘사실’을 지킴으로서 자신을 사랑했던 사람들의 명예를 반이라도 지키고 싶었다. 그러나 그마저도 헛된 희망이었다. 누구도 ‘사실’과 ‘피의자의 권리’에 관심을 주지 않았다. 이명박 대통령과 정치검사들과 언론은 그를 부패하고 파렴치한 인물로 만들었다. 민주주의, 인권, 정의, 국민 통합을 원해서 그를 사랑했던 모든 사람들에게도 침을 뱉었다. 이것이 죽음보다 고통스러웠기에 그는 외쳤다. “노무현을 버리셔야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그를 버리지 않는 사람들이 있었다. 설령 사람들이 모두 그를 버린다 해도 상황이 달라질 수는 없었다. 자신이 사라지는 것 말고는 모두를 이 수렁에서 건져낼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떠나 버린 것이다. 그가 떠난 현실을 나는 그렇게 받아들였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남아있다.

이명박 대통령과 익명으로 언론에 등장했던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 대검 중수부 검사들에게서 나는 ‘사악한 의도’를 보았다. 적개심과 분노가 일었다. 도저히 용서할 수 없을 것 같았다. 보수와 진보를 가릴 것 없이, 언론에 대해서는 어찌해 볼 수 없는 절망감을 느꼈다. 그는 언론의 부당한 특권, 언론의 ‘조폭적’ 권력 행사, 언론인들의 오만에 공개적으로 항의하고 도전했던, 단 하나뿐인 정치인이었다. 그가 비참하게 눌려 죽어 버린 이 나라에서, 앞으로 또 그런 도전을 감행하는 정치인이 나올 수 있을까?

어느 언론사가 편을 들어주기를 바란 것은 아니었다. ‘사실’에 대해 최소한의 관심이라도 보여주기를 원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소박한 희망조차 눈길을 주는 언론이 없었다. ‘사실’에 대해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지 않는 언론은 사람을 해치는 흉기가 된다. 그가 부엉이바위에 오르기까지 모든 일들을 직접 간접 함께 체험한 끝에 내 마음에 남은 감정은 분노와 절망감이었다. 세상이 무서웠다. 사람이 싫어졌다. 민주주의 자유 정의 진보 조국, 이런 말을 들어도 더는 가슴이 설레지 않았다.

  곳곳에서 너그럽고 후한 추도사가 나왔다. 하이에나가 우글대는 황량한 들판에서 그가 홀로 쫓기고 있을 때 동정의 눈길 한번 주지 않았던, 모든 것이 그가 자초한 일이라며 돌을 던졌던 사람들도 슬픈 표정을 지으며 그를 추도했다. 사랑할 만한 사람을 사랑했음을 인정받았지만 조금도 기쁘지 않았다. 그를 부엉이바위로 오르게 한 주역들은 한 오라기의 후회도 내비치지 않았다. 그의 죽음 앞에 최소한의 예의도 지키지 않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 그들은 그가 살아있을 때 그랬던 것처럼 떠난 후에도 여전히 그를 향해 침을 뱉고 돌을 던진다.

서울역 분향소에서 내 귀에 대고 낮고 강한 목소리로 속삭인 시민들이 있었다. “복수합시다!” “복수해 주세요!” “꼭, 복수할 겁니다!” 그들에게 정말 복수해야 하는 것일까? 마음을 먹는다면 복수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는 것이 진짜 복수가 될까? 그가 떠난 자리에 남겨진 이 질문에 나는 아직 대답하지 못하고 있다.

복수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 또는 하고 싶어도 복수할 수 없다면, 그렇다면 그들과 화해해야 하는가? 그가 정치생명을 걸고 추구했던 ‘국민 통합’이 그런 사람들까지도 껴안는 것일까? 화해하기로 마음먹으면 화해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해야 화해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서도 아직 대답할 수 없다. 얼마나 더 시간이 흘러야 대답을 찾을 수 있을지도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다.

그가 남긴 말과 글을 정리하면서 끊임없이 자문해 보았다. 그는 세상에 무엇을 남겼는가? 나는 그와 어떻게 작별해야 하는가? 그는 ‘사람사는 세상’을 꿈꾸었다. 그 꿈이 그를 대통령으로 만들었고, 그 꿈이 결국 그를 부엉이바위에 오르게 했다. 5년 동안 나라의 대통령을 지낸 사람이지만, 마지막 순간까지 그는 ‘꿈 많은 청년’이었다.

2009년 5월 23일 아침 우리가 본 것은 ‘전직 대통령의 서거’가 아니라 ‘꿈많았던 청년의 죽음’이었는지도 모른다. 1987년 6월항쟁은 우리 민주주의의 청춘이었다. 양김 분열과 3당합당, 정치인들의 기회주의와 시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을 거치며 모두가 중년으로 노년으로 늙어가는 동안, 그는 홀로 그 뜨거웠던 6월의 기억과 사람사는 세상의 꿈을 가슴에 품고 씩씩하게 살았다. 잃어버린 청춘의 꿈과 기억을 시민들의 마음속에 되살려 냈기에 그는 대통령이 되었다. 대통령이던 시절에도 대통령을 마친 후에도 그는, 꿈을 안고 사는 청년이었다.

연민의 실타래와 분노의 불덩이를 지니고 살았던 그는, 반칙하지 않고도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어했다. 대한민국을 그런 믿음 위에 올려놓으려고 했다. 그 믿음이 국민의 마음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한, 노무현이 대통령일지라도 그 시대는 ‘노무현 시대’일 수 없었다. 그는 대통령으로서 다 이루지 못했던 꿈을 마저 이루기 위해 전직 대통령으로서 시민으로서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다. 그런데 자신의 존재가 그 꿈을 모욕하고 짓밟는 수단이 되고 말았다. 그것을 용납할 수 없었기에 그는 생명을 버렸다. 그가 생명을 던진 그 자리에, 이제 ‘사람사는 세상’의 꿈만 혼자 남았다.

‘사람사는 세상’의 꿈이 그렇게 살아 있는 한, 그를 영영 떠나보내지는 못할 것 같다.



유시민 / 노무현재단 출판위원장



IP : 210.106.xxx.6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괜히 봤어
    '10.4.30 5:10 PM (210.106.xxx.66)

    http://www.knowhow.or.kr/foundation_story/story_view.php?start=0&pri_no=99961...

  • 2. .
    '10.4.30 5:12 PM (203.229.xxx.234)

    ㅠㅠ

  • 3. 이어서
    '10.4.30 5:16 PM (180.67.xxx.152)

    딴지에 인용된 글이요... 이 분께 빚이 너무 많아요.....ㅠ

    http://www.ddanzi.com/news/16177.html

    “고향에 돌아와 살면서 해 보고 싶었던 꿈을 모두 다 접었다. 죽을 때까지 고개 숙이고 사는 것을 내 운명으로 받아들일 준비를 했다. 재판 결과가 어떠하든 이 운명을 거역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20년 정치인생을 돌아보았다. 마치 물을 가르고 달려온 것 같았다. 세상을 조금이라도 바꾸었다고 믿었는데, 돌아보니 원래 있던 그대로 돌아가 있었다. 정말로 세상을 바꾸는,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드는 길이 다른 데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대통령은 진보를 이루는 데 적절한 자리가 아니었던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도대체 누가, 무엇으로,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 것일까?”

    ―본문 332쪽

  • 4. 슬픔
    '10.4.30 7:43 PM (59.14.xxx.245)

    어제도 오늘도 지금도 늘 가슴이 아픕니다
    어젯밤 유시민 님의 이 에필로그를 읽다
    시작된 울음이 통곡이 되어 책장은 온통
    눈물로 젖고 아침에 밥하려 일어나니 눈이
    퉁퉁 부었더라는, 이 슬픔의 무게는 언제쯤 가벼워질까요..

  • 5. 정직
    '10.4.30 7:53 PM (211.107.xxx.203)

    너무나도 정직하고 순순한 분.......

    그냥 배포있게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 버티시지......

    사랑합니다....잊지 않겠습니다.

  • 6. 운명이다
    '10.4.30 9:08 PM (125.128.xxx.171)

    책 펼치자 마자 엉엉 울었어요. 문재인님이 쓰신 '고맙습니다' 읽다가요 .
    노무현 대통령님이 회고전을 쓰려고 준비했는데, 그것조차 쓸 시간이 없었고
    그래서 결국 그는 열네줄 짧은 글 하나만 남기고 떠나 버렸습니다. ..

    보고 싶네요 ..많이

  • 7. ,,
    '10.4.30 10:47 PM (115.140.xxx.18)

    그가 모든 일을 다 잘한건 아니지만..
    옳은 쪽으로 정의롭게 정직하게 최선을 다한것만은 틀림없습니다
    그것만으로도 존경받고 우리가 슬퍼할이유가 되겠지요
    살아만 계셔도 좋을것을..
    너무 가슴 아픕니다

  • 8. ..
    '10.4.30 11:43 PM (121.165.xxx.167)

    너무 아픈 이름 노무현...오랫동안 잊지 못할 것 같습니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 9. ...
    '10.5.1 11:08 AM (121.146.xxx.157)

    세상은....조금씩 변화하고 있어요..
    그걸 제눈으로 확인도 하고 싶네요..
    그져
    가슴아프고
    답답하지만..희망을 꿈꿉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6353 샴푸 뭐 쓰세요? 11 머리칼 2009/03/15 1,479
446352 초3학년 가슴몽우리 2 조언해주세요.. 2009/03/15 804
446351 올리고당 넣은 커피 , 믹스보다 살 안찔까요? 1 밀크커피 2009/03/15 702
446350 어지럽고 속이 미식거려요... 4 우욱 2009/03/15 738
446349 미국 갭싸이트에서 옷구매 1 2009/03/15 483
446348 풀바른 벽지로 도배해보신분.. 5 혼자도배 2009/03/15 809
446347 사람손에서 광채가 뿅~뿅 나오게 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파워포인트요.. 2009/03/15 432
446346 순두부찌개.. 실패의 원인 뭘까요? ㅠ 23 먹고살고파 2009/03/15 3,552
446345 조개젓 무칠때 물로 헹구나요? 8 조개젓 무칠.. 2009/03/15 1,682
446344 양쪽 옆구리가 아프데요... 3 상담 2009/03/15 486
446343 음식을 만들면서 좀 더 잘하려다가~ 3 더~잘하려고.. 2009/03/15 584
446342 은행영업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했으면 합니다. 5 고객서비스 2009/03/15 624
446341 된장풀때 속에거 푸고 위에다시검은된장덮나오 아니면 밑에거랑 섞어주나요 1 궁금해 2009/03/15 455
446340 인터넷쇼핑으로 입금할때요..가격이 요렇게 끝나면 1 1004원 2009/03/15 408
446339 급질> 찹쌀풀 없이 김치담가도 되나요? 8 살림초보 2009/03/15 837
446338 방금전에 신세계백화점장바구니 타러 갔다가 카드센싱을 했는데 당첨됐어요. 39 신세계 2009/03/15 9,348
446337 세탁비누 많이 만들어볼까 하는데 팔릴까요? 6 팔릴까요. 2009/03/15 705
446336 봄이 돌아왔어요 살 빼야 합니다 6 봄처녀 2009/03/15 1,417
446335 헐~ 이젠 미국산소고기 이벤트하네요~ 6 미국산 2009/03/15 590
446334 지금 EBS에 나오는 여자아이가 순덕이인가요? 6 아이 2009/03/15 2,153
446333 기탄 어느 단계를 사야 할까요 5 아이수준 2009/03/15 634
446332 백화점에서 와이셔츠를 살려 하는데요.. 어디로 갈까요? 7 셔츠 2009/03/15 946
446331 살다보니 이런 날도 오는 군요. 4 살다보니 2009/03/15 1,739
446330 중국산 잡곡 사지 말까요? 7 알뜨란이 2009/03/15 961
446329 살 빠지면 좋은 점 알려주세요..바보같은 질문이죠? 12 날씬하신 분.. 2009/03/15 2,750
446328 금지옥엽보시나요? 12 커플 2009/03/15 1,442
446327 <무한도전>의 촌철살인, 역시 국민 예능답다! 8 세우실 2009/03/15 1,522
446326 이거 혹 비염인가요?? 6 궁금... 2009/03/15 667
446325 ipl로 될까요? 10 문의 2009/03/15 1,450
446324 아기분유 3 쭈엄니 2009/03/15 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