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천안함 관련된 이 정권에 관련된 기사인데요

파이낸셜타임즈 조회수 : 758
작성일 : 2010-04-01 13:11:38
지금의 대한민국은 경제적요인이 아닌...정치적 요인들로인해 정부와 국민간의 대립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는 내용인데...

노무현 전 대통령님 서거때를 언급하기도 하며...
지금의 참사를 지켜보며 그 과정으로 보건데
현 정부는 신뢰회복의 의지가 전혀 없다는 논조의 가사입니다.

http://www.ft.com/cms/s/0/3f852630-3d26-11df-b81b-00144feabdc0.html

등록해야 읽을 수 있어서...일부만 퍼왔는데... 누군가 답글에 번역해주시면 조금있다가 지울께요.. 겁나서..

Last week's mysterious sinking of a South Korean warship, in which 46 sailors are feared dead, has left Seoul taken aback by the visceral rage of distraught families. While some parents questioned the seaworthiness of the ship, the touch-paper was lit by the way the families felt they were treated. They have sobbed, screamed and fainted, lamenting a lack of communication from the government and complained that the armed forces treated them like a troublesome enemy.

One can sympathise with the government. In cold, choppy waters with dismal visibility, both rescue work, suspended yesterday because of bad weather, and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sinking are extremely difficult. South Korea is also a world apart from Russia, which stood ready to sedate furious parents with hypodermic syringes after the Kursk submarine sank in 2000. However, the families have identified two areas where Seoul continually shoots itself in the foot: appalling communication and the instincts of military autocracy reappearing at just the wrong moments.

When Roh Moo-hyun , the previous president, committed suicide last year, the government feared a repeat of 2008's massive street protests over the import of US beef and packed Seoul with tens of thousands of riot police. It was an inflammatory message: we do not trust the people. Sadness quickly turned to anger. The reason why South Koreans get so furious and readily suspect cover-ups has much to do with the way information is relayed. At present, the state and its top conglomerates, the chaebol , largely spoon-feed information to uncritical television and newspapers, forcing the discussion of less palatable issues into Korea's cyberspace.

South Korea still blocks access to North Korean websites and even Pyongyang's histrionic state news agency, which makes more of a mockery of the regime than Seoul ever could. Ironically, democratic South Koreans cannot be trusted to make up their own minds about the autocratic North.

It is telling that a current bestselling book was written by a whistle-blowing former chief lawyer from Samsung Electronics, who alleged corruption involving the world's biggest technology company and state officials. South Koreans yearn to read these stories but the papers, whose advertising revenue is controlled by the chaebol , have refused to review or advertise the book.

This tarnishes the government's credibility. Lee Myung-bak, the conservative president and a former boss of chaebol Hyundai's construction unit, last year pardoned Samsung's chairman after he was convicted of serious financial crimes. Lesser mortals grumble that they would go to jail for less.

This scepticism about the government and mainstream media has made the web the main forum for dissent and co-ordinating protests. The whistle-blower's book on Samsung got most of its publicity through Twitter.

Feeling vulnerable about this public anger growing on the web, the government's reflex is to take the battle to the cybernauts, even arresting the country's most celebrated financial blogger last year. The supreme challenge for Korean democracy is to steer the cathartic debate on corruption and corporate governance away from angry tweeters and into the mainstream.

Until that happens, South Korea will remain an explosively polarised democracy. And the authorities will continue to be blindsided by tortuous conspiracy theories and spectacular outbursts of rage from the masses it refuses to trust.
IP : 203.237.xxx.22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궁금하네요
    '10.4.1 1:23 PM (116.39.xxx.74)

    번역가능 하신분.... 요점정리라도 해서 올려주셨으면 좋겠어요

  • 2. ...
    '10.4.1 2:58 PM (155.230.xxx.35)

    Last week's mysterious sinking of a South Korean warship, in which 46 sailors are feared dead, has left Seoul taken aback by the visceral rage of distraught families. While some parents questioned the seaworthiness of the ship, the touch-paper was lit by the way the families felt they were treated. They have sobbed, screamed and fainted, lamenting a lack of communication from the government and complained that the armed forces treated them like a troublesome enemy.
    지난 주 남한 군함 한척이 미스테리하게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46명의 해군이 목숨을 잃었다. 사고 이후 서울(= 대한민국 정부)은 유가족들의 분노로 인해 역풍을 맞고 있다(당황해하고 있다). 일부 유가족들은 침몰된 군함이 과연 항해 능력이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는데, 그 와중에 유가족들에 대한 취급 방식이 문제가 되었고 이로 인해 가족들의 분노는 더욱 커졌다. 유가족들은 울부짖었고 정신을 잃었으며 정부의 대화 부재를 개탄하면서 군당국이 유가족들을 마치 골치 덩어리 적군인양 취급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터뜨렸다.

    One can sympathise with the government. In cold, choppy waters with dismal visibility, both rescue work, suspended yesterday because of bad weather, and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sinking are extremely difficult. South Korea is also a world apart from Russia, which stood ready to sedate furious parents with hypodermic syringes after the Kursk submarine sank in 2000. However, the families have identified two areas where Seoul continually shoots itself in the foot: appalling communication and the instincts of military autocracy reappearing at just the wrong moments.

    정부에 대한 동정 여론이 있을 수도 있다. 바닷물은 차갑고 가시성도 떨어져서 구조작업은 극도로 어려우며 침몰 원인을 알아내는 일 또한 그러하다. 남한은 러시아와도 다르다. 러시아는 2000년 Kursk 군함 침몰 사건 이후 분노하는 부모들을 피하 주사를 놓아 진정시켰다(주; 사건의 맥락을 잘 모르겠음). 그러나 가족들은 현 정부가 제 발등을 찧는 두 가지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첫 번째는 치졸한 커뮤니케이션이고, 다른 하나는 정말 잘못된 시점에 다시 등장하고 있는 군사독재에로의 충동이다.

    When Roh Moo-hyun , the previous president, committed suicide last year, the government feared a repeat of 2008's massive street protests over the import of US beef and packed Seoul with tens of thousands of riot police. It was an inflammatory message: we do not trust the people. Sadness quickly turned to anger. The reason why South Koreans get so furious and readily suspect cover-ups has much to do with the way information is relayed. At present, the state and its top conglomerates, the chaebol , largely spoon-feed information to uncritical television and newspapers, forcing the discussion of less palatable issues into Korea's cyberspace.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자살을 했던 작년에 현 정부는 2008년 미 소고기 수입과 관련한 집회가 다시 열리지 않을까 두려운 나머지 수만 명의 진압 경찰들로 서울 거리를 꽉 채웠다. 그 일은 선동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즉 우리(=정부)는 국민을 믿지 않는다. 국민들의 슬픔은 분노로 변했다. 왜 남한 사람들이 이토록 분노하고 있고 당국의 발표를 의심하는지는 정보가 중계되는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현 정부와 재벌들은 무비판적인 텔레비전 방송국들과 신문들에게 마치 젖먹이에게 이유식을 먹이듯이 그렇게 숟가락으로 정보를 떠 먹여주고 있는 형국이며, 자기네들의 입맛에 맞지 않는 주제에 관한 토론은 인터넷의 사이버 스페이스에서만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South Korea still blocks access to North Korean websites and even Pyongyang's histrionic state news agency, which makes more of a mockery of the regime than Seoul ever could. Ironically, democratic South Koreans cannot be trusted to make up their own minds about the autocratic North.

    남한은 여전히 북한의 웹 사이트에의 접근을 통제하고 있는데, 과장 되게 연기하듯이 뉴스를 읽어서 듣는 이들로 하여금 실소를 금치 못하게 함으로서 오히려 북한 정부를 우스개 거리로 만드는 역할을 하는 평양방송 조차도 마음대로 들을 수 없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남한 국민들 각자에게는 북한의 독재 정권에 대해 각자 스스로의 마음을 결정하는 자율적인 권리가 주어져 있지 않다.

    It is telling that a current bestselling book was written by a whistle-blowing former chief lawyer from Samsung Electronics, who alleged corruption involving the world's biggest technology company and state officials. South Koreans yearn to read these stories but the papers, whose advertising revenue is controlled by the chaebol , have refused to review or advertise the book.
    현재 남한의 베스트셀러는 삼성전자의 전직 수석 변호사이자 삼성의 비리를 폭로한 사람이 쓴 책이다. 그 책의 저자는 삼성전자라고 하는 세계 최대의 테크놀로지 회사와 공무원들이 부패에 연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남한 국민들은 이 책에 나와 있는 이야기들을 알기를 바라지만 재벌에 의해 광고수입이 통제되는 신문사들은 그 책에 대한 리뷰를 싣거나 광고를 싣는 것을 거부했다.

    This tarnishes the government's credibility. Lee Myung-bak, the conservative president and a former boss of chaebol Hyundai's construction unit, last year pardoned Samsung's chairman after he was convicted of serious financial crimes. Lesser mortals grumble that they would go to jail for less.

    이런 일은 현 정부의 신뢰성에 먹칠을 가하는 일이다. 보수당 출신이자 현대건설이라는 재벌 회사의 전직 사장이었던 이명박 대통령은 작년에 일련의 기업 범죄 혐의로 피소된 삼성 회장에 대한 사면을 단행했다. 덜 가진 국민들은 자신들은 더 적은 죄를 짓고도 감옥에 간다고 비판했다.

    This scepticism about the government and mainstream media has made the web the main forum for dissent and co-ordinating protests. The whistle-blower's book on Samsung got most of its publicity through Twitter.

    현 정부와 주류 미디어에 대한 이러한 불신으로 인해 현 정부에 대해 반대 의견을 제기하고 상호 연대하는 사람들이 찾게 된 곳이 바로 인터넷상의 공간이다. 삼성의 비리를 고발한 저 책이 유명해진 것도 바로 트위터 덕택이었다.

    -------------------------------------------
    우선은 여기까지......

    Feeling vulnerable about this public anger growing on the web, the government's reflex is to take the battle to the cybernauts, even arresting the country's most celebrated financial blogger last year. The supreme challenge for Korean democracy is to steer the cathartic debate on corruption and corporate governance away from angry tweeters and into the mainstream.

    Until that happens, South Korea will remain an explosively polarised democracy. And the authorities will continue to be blindsided by tortuous conspiracy theories and spectacular outbursts of rage from the masses it refuses to trust.

  • 3. 이어서
    '10.4.1 3:20 PM (155.230.xxx.35)

    Feeling vulnerable about this public anger growing on the web, the government's reflex is to take the battle to the cybernauts, even arresting the country's most celebrated financial blogger last year. The supreme challenge for Korean democracy is to steer the cathartic debate on corruption and corporate governance away from angry tweeters and into the mainstream.
    인터넷 웹 공간에서 커져가는 대중들의 분노가 걱정이 된 정부 당국이 취한 반응은 네티즌들에 대한 전쟁을 개시하는 일이었고, 작년에는 최고로 유명한 경제 관련 사이버 논객을 체포했다. 한국 민주주의의 성공 여부는 지금은 분노에 가득한 네티즌들의 전유물이 되고만, 부정부패 및 기업에 의한 국가 지배에 관한 논쟁들을 어떻게 주류 공론의 장으로 이끌어낼 것인가에 달려 있다.

    Until that happens, South Korea will remain an explosively polarised democracy. And the authorities will continue to be blindsided by tortuous conspiracy theories and spectacular outbursts of rage from the masses it refuses to trust.
    그런 일(논쟁을 주류적인 공론의 장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실현되지 않는 한 남한은 양극화된 민주주의 정치체제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그런 일이 실현되지 않는 한 남한 정부는 각종 음모론의 의혹을 받을 것이고, 정부 자신이 믿기를 거부한 국민 대중의 분노로 인해 고초를 겪을 것이다.

  • 4. 찾아보니
    '10.4.1 3:49 PM (155.230.xxx.35)

    우리의 위키피디어를 찾아보니,
    Kursk 잠수함의 침몰로 항의하는 유가족들에게
    러시아 군 당국이 동의도 받지 않고 진정제 주사를 놨군요.
    세상에나.....

  • 5. ...
    '10.4.1 5:18 PM (124.56.xxx.155)

    추천 버튼 있으면 누르고 싶네요.
    밖에서 더 잘 보이겠죠. 조중동에 빠진 우물안 개구리들보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0743 장터에 자몽맛 나는 팔삭귤...? 3 과일좋아 2010/04/01 835
530742 치과치료..테세라로 해보신분? 3 어금니 2010/04/01 627
530741 장덕-진주 조개잡이, 예정된 시간을 위해 1 피구왕통키 2010/04/01 398
530740 열어본 페이지요,,, 2 ,,, 2010/04/01 488
530739 [급질]문명의 이기를 멀리하고 자연속에 동화되어 아날로그적인 생활을 하는 그런 라이프 스타.. 2 [급질] 2010/04/01 288
530738 쉬즈미스라는 브랜드는 어느정도의 급인가요? 6 쉬즈미스테리.. 2010/04/01 1,862
530737 [아고라] 전형적인 피로크랙으로 인한 침몰임 8 세우실 2010/04/01 737
530736 [전문]명진스님에 대한 비난 광고! 9 천인공노 2010/04/01 1,117
530735 모자이크-자유시대 왕자와 병사들 1 피구왕통키 2010/04/01 518
530734 코스트코 르쿠르제와 백화점의 르쿠르제 사이에서 갈등중... 7 르쿠르제 2010/04/01 3,345
530733 무료 통화 요금제 이월되는거 아닌가 보네요 ㅡ.ㅡ 5 sk 2010/04/01 1,038
530732 르쿠르제 어떤 색이 제일 이쁠까요? 8 ... 2010/04/01 1,079
530731 인터넷예금과 지점방문 예탁 차이가? 2 제비꽃 2010/04/01 666
530730 오피스텔 주거용 구분 아시는분 2 궁금이 2010/04/01 447
530729 준희" 라는 이름은 어떤가요? 13 이 이름은요.. 2010/04/01 1,676
530728 태아보험 관련 혹시 아시는 분요 2 태아보험 2010/04/01 376
530727 하나요~ㅠㅠ(조언꼭 부탁해요) 2 닌텐도 꼭 .. 2010/04/01 291
530726 매실에곰팡이? 1 우야꼬 2010/04/01 686
530725 백령주민 "사고해역은 '어장'..초계함 안다녀" 2 verite.. 2010/04/01 602
530724 남은 빵 보관 어떻게 하시나요? 7 쿵쿵농장아줌.. 2010/04/01 1,392
530723 김포사시는분께 질문입니다 5 이사 2010/04/01 645
530722 화숙리패션이라고 아시나요? 1 롯데홈쇼핑에.. 2010/04/01 1,353
530721 부침개..종류 좀 알려주세요~~ 7 기름진 2010/04/01 2,056
530720 해외쇼핑 많이 하시는 분 들 저좀 알려주세요/ 3 전문가도움 2010/04/01 759
530719 제삿날을 잊고 지나쳤어요 11 정신차리자 2010/04/01 2,174
530718 임창정-결혼해줘 .Love Affair.날닮은너 3 피구왕통키 2010/04/01 424
530717 이번주코스트코세일품목 3 알려주세요 2010/04/01 1,273
530716 파우더 차이 좀 알려주세요. 4 겔랑 2010/04/01 613
530715 천안함 관련된 이 정권에 관련된 기사인데요 5 파이낸셜타임.. 2010/04/01 758
530714 대통령 서적 세트 77% 할인 판매... 8 풋~ 2010/04/01 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