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교통신호 체계 직진후좌회전 어떠세요??

초보운전 조회수 : 968
작성일 : 2010-03-04 22:00:35
지금 제가 살고 있는 도시에서 교통신호 체계가 직진후좌회전으로 모두 바뀌고 있어요..
아무생각 없이 4거리에서 파란불이 왔길래 좌회전 했더니 아무도 아무도 움직이지 않고 나한테 크락션을
울리기에 왜 그러나 싶었거든요...
지나고 나서 생각해 보니 좌회전 신호가 안 떨어졌는데 당연히 동시 신호 인줄 알고 좌회전을 한거죠..
근데 이게 은근히 불편하네요...
2차선인 도로에서는 1차선에는 좌회전 밖에 못하니..
전에 곧장 직진으로 달리던 차선을 몇번이나 변경해야 되는지...
직진하는 차들도 신호 때문에 차선 변경 했다가, 2차선에 주차 되어 있는 차들 때문에 다시 차선 변경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아무런 대책없이 직진후좌회전 교통체계만 변경하면 그만인지...
정말 운전한지 얼마 되지않은 초보운전에는 집에서 역까지 차선변경 없이 쭉 가던 길을 여러번 변경을 해야되
너무나 힘듭니다..
혹시 다른 도시들도 그런가요?
교통체계를 직진후좌회전으로 하면 더 좋은가요..
베테랑인 운전사들도 다들 시간이 더 늦어진다고 하던데...
이건 누구머리에서 나온 발상인지...
IP : 112.147.xxx.13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네마다
    '10.3.4 10:15 PM (118.176.xxx.13)

    틀리나요? 울동네는 한번에 쭈욱 가게 되던데요 그래서 전 더 좋다 그랬는데요

  • 2. 그런가요?
    '10.3.4 10:15 PM (180.70.xxx.83)

    저 태워주신 택시기사아저씨는 신호체계바뀌고 교통소통이 조금 나아졌다고 하던데..
    예전에는 좌회전할때, 우회전하면 신호등에 걸려 우회전 차선이 더러 막혔는데,
    지금은 비율적으로 그런 상황이 줄어들었다고 하시네요.
    뭐.. 꼬리무는 상황일때도 직진이 먼저면 상황파악이 되기때문에 좌회전 꼬리물기가 덜하다고도 하고.. 괜찮다고 하시던데요..

  • 3. ....
    '10.3.4 10:55 PM (220.119.xxx.170)

    차선을 지키는 입장에서는 더 좋던데요.
    좌회전 전용 차선에서 직진차들이 떡하니 버티고 서서 제자리에서 자회전 하려는 차들 다 막을 때마다 열마나 열이 받던지. 직전이 먼저 떨어지면 좌회전 차선에 들어서 있던 직진 차들이 빠져나갈 수밖에 없으니 좌회전하는 차들이 보호 받고 효율도 높아지지 않나요?

  • 4. 저도
    '10.3.4 11:17 PM (122.32.xxx.154)

    원글님 저랑 같은 도시 사시나봐요...
    아침마다 출근하는 길에 신호체계가 갑자기 변경되서 얼마나 황당하던지...
    현수막을 보니 교통신호는 경찰서에서 관리하는것 같던데 홍보가 미리 미리 안되어서
    오늘 아침에도 사고 난거 목격한 직원이 목격담을 이야기 하더라구요..

    저로서는 직진과 좌회전 신호를 동시에 주는것보다
    직진후에 좌회전 신호를 주는 게 왜 더 효율적인지 도저히 이해가 안되던데요.
    제 출근길은 워낙 한가한 도로라 큰 정체는 없었는데,
    맞은편은 차량들이 평소보다 길게 늘어서 있더라구요.

    왜!왜!왜!!
    좌회전 신호와 직진신호를 동시에 주면서 교통량이 더 많은 신호를 더 오래 주는 것 보다
    직진후 좌회전 신호가 교통 흐름에 도움이 된다는 건가요?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어요.

  • 5. 저희 동네는요
    '10.3.4 11:40 PM (211.203.xxx.186)

    항상 동시신호 주던 곳이거든요. 근데!!! 아예 좌회전 자체를 비보호 좌회전으로 바꿔버렸어요.
    신호받고 좌회전 하다가 눈치껏 좌회전을 해야하니 어찌나 신경이 쓰이는지...
    도대체 왜 갑자기 신호체계들을 바꾸는 겁니까!!

  • 6.
    '10.3.5 8:13 AM (59.11.xxx.134)

    분당은 그렇게된거 오래된것 같은데요.
    적응되다보니 별로 불편한거 모르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6231 올림픽 관람석에서 찍은 연아 프리~ 23 프리 2010/03/04 2,750
526230 교통신호 체계 직진후좌회전 어떠세요?? 6 초보운전 2010/03/04 968
526229 여자아이는 성장기때 살이 많이 찌나요 5 살빠질까요 2010/03/04 1,191
526228 젖말리는중인데요 알려주세요. 4 허전섭섭 2010/03/04 778
526227 눈 질환 4 익상편 2010/03/04 493
526226 건강검진 어떻게 받는게 합리적일까요? 1 건강 2010/03/04 387
526225 맛있는 초콜렛 추천해주세요 4 부탁 2010/03/04 881
526224 순한 알로에 젤, 많은 추천 부탁드립니다. (제가 써본 제품들 후기도 있어요...) 12 화장품 잘 .. 2010/03/04 1,461
526223 소파 커버 만들려는데 천좀 알려주세요 2 . 2010/03/04 679
526222 청소년 섭식장애 기사-촬영한 고등학교가? 뉴스에서~ 2010/03/04 523
526221 부산 또는 경남쪽에 사시는 분 중 보리차 끓여드시는 분 혹시 계신가요?? 5 냄새가 나요.. 2010/03/04 694
526220 첫아이 첨보내는 학교라 궁금한점이 많습니다 ... 5 질문 2010/03/04 641
526219 우리나라 사람은 인사에 인색할까요? 6 우리나라 2010/03/04 759
526218 훌라 가방은 어떤가요? 2 furla 2010/03/04 3,733
526217 반장선거 나갈때..미리 준비해갈 '멘트'가 있나요? 2 초2 2010/03/04 1,675
526216 삶은 시금치요~ 4 에구구 2010/03/04 716
526215 아파트 경비 아저씨가 너무 자주 바뀌는 이유?? 7 아기엄마 2010/03/04 1,113
526214 '표현력 부족' 느낀 아사다, "리듬체조에 관심이 간다" 2 듣보잡 2010/03/04 1,455
526213 아토피연고 "엘리델"이라고 아시나요? 7 .. 2010/03/04 1,137
526212 아이라인 6 화장 2010/03/04 935
526211 코치가방이요..직구도 가능할까요? 코치 2010/03/04 2,288
526210 비올라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알려주세요-아이 레슨 3 코알라 2010/03/04 901
526209 마루바닥 볼펜낙서, 뭘로 지우죠?? 8 둘째저지레 2010/03/04 843
526208 혹시 강원도 영월에 대학교가 있나요 ? 혹시 아시는분 있으시면 2 ,, 2010/03/04 682
526207 우리 아들 넘 잘 생긴것 같아요! 43 사랑해 2010/03/04 5,258
526206 자꾸 영어 시험에서 실수를 해서 틀려와요ㅠㅠ 1 영어 2010/03/04 490
526205 급) 스파게티 면이 남았어요.. 6 투움바파스타.. 2010/03/04 1,247
526204 명품값, 中·日선 내려도 한국은 '高高' 3 명품녀? .. 2010/03/04 766
526203 만 4세 정도 되는 아이의 발달사항을 공유해보고 싶습니다 10 궁금. 2010/03/04 1,028
526202 서판교 이사 문의요. 2 서판교 2010/03/04 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