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남자 나이 37에 연봉이 4100이면

연봉 조회수 : 6,287
작성일 : 2010-02-19 23:47:27

물론 직종마다 다 틀리겠지만
일반 샐러리맨의 월급으로 치면
저정도면 우리나라에서  대략 평균연봉일까요?
아니면 평균이하 인건가요?
IP : 115.140.xxx.202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2.19 11:48 PM (59.19.xxx.62)

    평균이상입니다,,,

  • 2. 정말?
    '10.2.19 11:59 PM (112.154.xxx.33)

    평균 이상인가요?
    왜 내 주변엔 다 많이 버는 사람만 있는지~

  • 3. ..
    '10.2.20 12:00 AM (124.53.xxx.16)

    제 생각엔 평균 이상은 아닌 거 같은데요.
    남편과 남편 친구들, 제 선배들 보면 30대 초중반인데, 4500~5000 정도 되거든요. 실수령은 월 300~350 정도....37세 정도면 과장급 정도 되지 않나요? 넓은 스펙트럼으로 보면 평균 또는 평균보다 약간 아래 정도일 것 같은데요.

  • 4. .
    '10.2.20 12:02 AM (59.25.xxx.132)

    대기업과장급도 이거저거 다 떼면 300조금 넘어요....

  • 5. 정말?2
    '10.2.20 12:02 AM (116.34.xxx.11)

    대졸 사원이라면 평균이상은 아닐것 같은데요.
    보통 연봉이라고하면 세전일텐데 세금, 의료보험이런거 떼고 나면
    한달에 300정도 겨우될까말까한데, 직장생활 8-9년에 많은건가요?
    평균이상은 아닐것같아요. 평균정도나 약간 평균이하.

  • 6.
    '10.2.20 12:08 AM (221.147.xxx.143)

    평균 이하에 가까울 듯 합니다..

    정부가 보조금 지불할 때의 기준을 참고해 보자면 말이죠;

  • 7. 펜님
    '10.2.20 12:11 AM (59.24.xxx.57)

    정부 유치원비보조금은 월급만 갖고 주는게 아니라 집값하고 각종 소득이 같이 합산되서 나온 소득산정기준이예요.

  • 8.
    '10.2.20 12:19 AM (221.147.xxx.143)

    펜님 ( 59.24.41.xxx >>

    우선적으로 따지는 평균 월 소득을 얘기한 것이에요.
    기본적으로 월 소득(실수령액) 400 좀 못미치는 수준이면 자격은 된다고 기사에서 봤습니다.
    거기에 자산 및 금융소득 등등을 더 따지는 거죠.

  • 9. ..
    '10.2.20 12:26 AM (118.33.xxx.126)

    4100이면 평균이상 절대 아닙니다.

  • 10. .
    '10.2.20 12:26 AM (59.24.xxx.57)

    우리도 연봉 4100인데 보조금 못 받아요. 신문기사를 믿으시면 안 됩니다.
    아직까지 유치원 안 보내보셨으면 말을 마세요.
    그 넘의 지방에 집 값 얼마 하지도 않는 아파트 하나 있다고 ...
    계산해보니 지금 저희 연봉에 전세 8000 내지는 공시지가 8000정도까지만 되니 보조금 지급 되더군요. 유치원비보조금계산기가 있어서 집값 , 월급 넣으면 바로바로 계산 되어서 나오는게 있어요.

  • 11. .
    '10.2.20 12:42 AM (59.24.xxx.57)

    아!제가 잠시 착각한게 있네요. 저희는 세후 4100이네요. 공무원이라 세금 얼마 안 떼니까 세전도 몇 백 차이 안 날꺼예요. 정확하게 세전은 얼마인지 잘 모르겠네요. 그거 신경 안 쓰고 사니까, 통장에 들어온걸 맨날 보다보니..
    아묻튼 4100이나 거기서 몇 백 더 플러스 되나 그게 그거 아닐까요.

  • 12. ,
    '10.2.20 1:34 AM (59.24.xxx.57)

    2010년 아동인지능력향상서비스(바우처)사업에서 대상이 전국평균가구소득기준이 3,913천원이하입니다. 이게 더 정확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전국적으로 보면 그렇지만 학력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달라지니까요.

  • 13.
    '10.2.20 1:41 AM (119.70.xxx.102)

    나이보다 직장생활 몇년차인가가 더 중요하죠.

    대졸 학력 나이 37에 대학이나 취업시 재수 안해서 직장생활 10년차 경력이면 평균입니다.

    대졸 연봉 평균, “입사 5년차 3천, 10년차 4천 넘어”
    http://www.ebn.co.kr/news/n_view.html?id=423158

    그런데 재수나 편입학 뿐만 아니라 취업재수도 많이 하기에 나이 37에 10년차 경력직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을 고려하면 나이 37에 4100 이면 절대 적다고 할 수 없다는 생각은 드네요.
    물론 학력 경력 무시하고 생각하면 많이 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 14.
    '10.2.20 3:05 AM (221.147.xxx.143)

    . ( 59.24.41.xxx >>

    아까부터 말을 잘못 이해하시는 듯 합니다.

    제 말은, 월급을 최우선적으로 따지는데, 이때 실수령액 400 정도 이상일 경우,
    아예 다른 자산이 있건 없건 고려조차 하지 않고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는 뜻이었습니다.

    즉, 400 에 육박하는 실수령액일지라도, 다른 자산 등을 따져 봐서 보조금 지급해야겠다 싶으면
    준다 이겁니다.

    저는 기본적인 실수령액을 말한 것이지, 다른 자산을 안따진다는 뜻이 아닙니다.

    실수령액이 설령 300 정도 뿐이라 할지라도, 다른 자산이 많을 경우 당연히 지급 못받는 거죠.

  • 15.
    '10.2.20 3:07 AM (221.147.xxx.143)

    다시 말하자면, 월 실수령액 400 전후 액수는, (다른 자산 가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그다지 높은 금액은 아니라는 뜻이었습니다.

    30대 후반이 되어가는 나이에 4천 정도의 연봉은 평균 이하라 볼 수도 있다는 뜻이지요.
    이걸 월 실수령액으로 따지면 400에 훨씬 못미칠테니 말입니다.

  • 16.
    '10.2.20 3:30 AM (114.204.xxx.189)

    연봉이 세금떼기전이면 평균이상으로 생각되어지구요
    세액전이면...
    수도권 경기도를 제외한
    지방에선 괜찮은 연봉이네요..<아무래도 지방에서 살면..시세가 윗지방보다 저렴해서 좀 낫습니다..>

  • 17.
    '10.2.20 3:34 AM (24.111.xxx.147)

    일반 샐러리맨도 종류가 여럿이지요.
    여기에 답글 다시는 분들이나 물어보시는 분은 대기업을 기준으로 보시는 듯 합니다.
    서울에 있는 대학나오고, 성실해도 저 나이에 저 정도 못 받는 사람 정말 많아요.

  • 18.
    '10.2.20 10:29 AM (222.109.xxx.65)

    세금떼기전이면 평균이상. 세금뗀 이후면 확실히 평균이하...37에...곧 40

  • 19.
    '10.2.20 10:36 AM (119.70.xxx.102)

    그런데

    월평균 소득 203만원, 주당 49.3시간 일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4&aid=000...

    이 기사를 보면 우리나라 취업자 2300만명의 월 평균 소득이 203만원 정도네요.
    그러면 연봉이 2400정도에 불과하니 4100이 작다고는 할수 없겠군요.
    여기 게시판에 오시는 분들은 좀 사는 분들이 많은 편이고 보통 이정도 수입이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 20. .
    '10.2.20 10:36 AM (61.38.xxx.69)

    불편하고 이상하지만
    82평균은 대한민국 평균보다 상회합니다.
    통계수치는 아무 상관없지요.
    백억버는 한명이 평균수치를 상승시킨다고해서
    가구 평균소득이 실제 상승하지는 않으니까요.

    평균이상 맞습니다.
    대한민국 37세 남성 50퍼센트 이상이 결코 그만큼 수입 올리지 못합니다.
    택도 없습니다.

  • 21. 내 생각에도
    '10.2.20 12:23 PM (125.131.xxx.199)

    제 생각에도 82평균이 높아요.
    정말 하루벌어 하루 먹고 사시는분들은 인터넷 접속할 여유도 없고, 노인층 극빈층이 82에는 없잖아요??
    82년 평균 연령도 낮은편이고 대한민국 평균보다 높아요.
    제 생각엔 그 정도 연봉이면 중간은 되는듯 싶네요.

  • 22. .
    '10.2.20 12:34 PM (59.24.xxx.57)

    위에 쓴 걸 토대로 보면 대한민국의 평균월급은 넘습니다. 나이에 비해서 말이죠.
    불행하게도 저희집은 그 대한민국 평균에 많이 못 미치지만 말이죠.
    37에 그 정도와 40대 중반에 그 정도는 엄청난 차이니까요. 고로 대한민국 공무원들의 월급은 평균보다 한참 이하라 생각하면 됩니다.

  • 23. ??
    '10.2.20 10:24 PM (218.209.xxx.7)

    보통인거 같아요.

  • 24. ..
    '10.2.20 10:53 PM (58.233.xxx.86)

    전체 회사원과 비교하면 당연히 평균 이상입니다.
    우리나라 회사가 대기업과 알짜배기 중소기업만 있는 것도 아닌데..
    주변에 그 이상이 많다고 하더라도 평균 이상이 될 순 없지요.

  • 25. 평균이상이죠
    '10.2.20 11:04 PM (118.220.xxx.200)

    저는 서울 변두리에서 나고 자랐어요.
    고등학교는 평범한 인문계였는데 제 입시때 서울대 5명 보냈으니 그리 공부잘하는
    학교는 아니었죠. 하지만 외고나 특목고 아닌 다음엔 다들 고만고만 하지 않나요?
    8학군 아닌 일반 고만고만한 인문고에서 서울대에 50명, 100명씩 보내는 곳 못 봤어요.
    제가 30대 초반인데 인서울 출신 동기들 봤을 때 세후 4100이면 절대 평균이하는 아닌 듯
    싶은데요. 친척이나 사회 나와서 친한 사람들 중엔 재벌집 사람들도 있고,
    전문직인 사람들도 있고, 사업해서 부자된 사람도 있죠.
    하지만 그냥 제 동기들은 다 대학졸업하고 취업하고 그랬는데 고만고만 살아요.
    대기업 취업도 사실 적구요... 82평균은 대한민국 평균을 웃돈다는 말 정말 공감해요.

  • 26. 대기업
    '10.2.20 11:13 PM (58.234.xxx.84)

    10년차두 실 수령액 저만큼 안되던데요,,
    대한민국에 대기업기준으로 쳐두 저 정돈데,,
    일반인 기준으로,,
    제 주위에 저 정돈 없어요,,
    사람은 역시 학벌이 중요한듯,,,
    많이 배워 전문직이나 대기업,능력급등이라면 당근 평균이하겠지만요,,,ㅜㅡ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1803 급해요!! 내일 어문회 시험 보는데 볼펜으로 써도 될까요? 3 바보 2010/02/20 409
521802 여기 장터에 삽니다랑 선영아 사랑해랑 거의 비슷한 내용이네요? 1 햇살주인 2010/02/20 884
521801 매직세팅파마 가격이 보통 얼마나 하나요? 3 매직세팅 2010/02/20 2,335
521800 미스테리쇼퍼 혹시아세요? 7 00 2010/02/20 1,604
521799 서울역에서 기차타기전 머리랑 메이컵하기 좋은곳?? 5 강쥐맘 2010/02/20 883
521798 도서 50% 쿠폰으로 뭘 사야 할지??? 리브로 2010/02/20 349
521797 USB에 음악파일을 저장했는데요 5 당진 2010/02/20 973
521796 너무 조용합니다 4 우울하네요 2010/02/20 985
521795 건설회사는 어떤가요? 4 브로커리 2010/02/20 1,300
521794 돈까스 도전하지 마세요. 5 돼지돈 2010/02/20 3,476
521793 구명조끼 파는곳 있을까요? 2 지금 2010/02/20 505
521792 아이폰 비밀번호 1 잊었어요~~.. 2010/02/20 929
521791 사랑니 발치전 여러가지 질문 좀할께요^^ 8 누은사랑니 2010/02/20 1,284
521790 신용불량자를 취업시켜주는 회사도 있을까요? 4 아시는분 2010/02/20 798
521789 남동생에게 어울리는 차 추천부탁드려요. 4 ........ 2010/02/20 545
521788 돈가스 먹기에 자신있으신 분들, 도전해 보세요..ㅎ 21 돈가스의 달.. 2010/02/20 4,423
521787 보온병 조지루시와 우리나라 꺼랑 차이 나나요?? 9 ,,, 2010/02/20 1,918
521786 남편옷 어디서 사세요?? 2 구봉사랑 2010/02/20 682
521785 61세 엄마 옷 어떤 브랜드가 무난할까요? 4 서투르네요... 2010/02/20 727
521784 머리 크기와 지능과의 관계! 24 머리크기 2010/02/20 3,008
521783 일 가진지 얼마 안된 직장에서...2주전 돌아가신 아버지 부조금... 2 어쩔까요? 2010/02/20 869
521782 남동생 결혼에 절값 어떻게 하나요? 8 ... 2010/02/20 1,265
521781 독일 숲속유치원과 비교하던 우리나라 유치원 아시는분 계신가요? 4 숲속유치원 2010/02/20 1,257
521780 설악워터피아 콘도말고 묵을 곳?? 있을까요? 1 하나 2010/02/20 928
521779 삼성을 생각한다... 읽고싶어 죽겠는데 ㅜ 8 dma 2010/02/20 960
521778 아기낳고 부부관계 뜸하신분? 15 ㅡㅡ 2010/02/20 3,005
521777 새집 증후군 제거 할수 있는 방법 4 새집 2010/02/19 367
521776 대전MBC, 삼성 고발 프로그램 취재 중단 지시 3 세우실 2010/02/19 354
521775 남자 나이 37에 연봉이 4100이면 26 연봉 2010/02/19 6,287
521774 초보엄마, <삐뽀삐뽀 119 소아과> 개정판을 사야할까요?? 8 삐뽀삐뽀 2010/02/19 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