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카이스트

고민엄마 조회수 : 1,122
작성일 : 2010-02-01 11:32:54
이번에 큰 아이가 연대 수학과와 카이스트 1학년 학부과정에 합격했는데 어디가 아이한테 더 좋을까요?
IP : 125.250.xxx.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0.2.1 11:50 AM (211.199.xxx.96)

    배부른??? 고민이시네요..저라면 카이스트로..^^

  • 2. 이건
    '10.2.1 11:52 AM (58.149.xxx.222)

    하등의 고민의 여지가 없는데요.
    집이 신촌근처가 아닌담에야... 카이스트가 지방에 있고 그간 공대가 하락 추세이긴 하지만,
    최소한 대학원은 아직도 서울대 보다 괜찮고 학부는 엇비슷한 상태일걸요.

    집이 서울이시고 여자 아이라면 타지에서 기숙사 생활하는게 좀 그렇겠지만
    학비 지원이나 여러 제도로 봤을 때 고민의 여지가 없습니다.
    서울대 수학과라고 해도 저라면 2학년때 학과를 정할수 있는 카이스트를 보내겠습니다.

  • 3. 고민엄마
    '10.2.1 12:01 PM (125.250.xxx.2)


    고맙습니다.
    배부른 고민으로 보였다면 넘 죄송하구요, 아이가 서울에서 대학생활 하길 간절히 원해서리.
    카이스트에서 열심히 할 수있도록 이야기 하겠습니다.

  • 4. 저도
    '10.2.1 12:08 PM (115.41.xxx.161)

    아이가 카이스트를 간절히 원했는데 카이스트는 떨어지고 연대공대 됐네요.

  • 5. 이건
    '10.2.1 12:17 PM (58.149.xxx.222)

    아이디를 맞추느라...
    아이가 서울 생활을 원한다면 약간은 고민할 여지가 있겠네요.
    제가 아는 사람이... 아니 솔직히 제가 서울-KAIST-유학의 말하자면 아무 생각 없는 모범 코스로 공부를 했는데요, 대전이 제일 공부하기 편하기는 했지만 인생의 암흑기였습니다.
    박사까지 대전에서 했다면 확실히 결혼 못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여자인지 남자인지, 성향에 따라 기숙사 생활의 편차가 꽤 큽니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수학과는... 요즘 퀀트나 금융쪽으로 빠지지 않는 담에야 한국에서 기초과학 하는게 너무 어려워서요.

  • 6. *&*
    '10.2.1 12:38 PM (110.9.xxx.125)

    여햑생이라면 정말 고민하겠어요.
    생활의 질이 너무 차이나는 것 아닌가요? 학문만 파대는 아이가 아니고 서울생활을 간절히 바란다면.....그리고 수학과는 다른 기초과학이랑 차이가 많이 나서 정말 많은 곳에 쓸모 있는 것 아닌가 싶은데요.
    요즘 미래의 직업으로 금융이 뜨기도 하구요.

  • 7. 흠..
    '10.2.1 12:45 PM (202.20.xxx.254)

    기업에서 보는 이공계 순위.

    설.카.포 (혹은 포.카라고도 하는데 뭐 큰 의미는 없습니다) 그 다음이 연.고 입니다. (여기도 누구는 고.연이라고 하고.. ^^)

    어차피 집이 서울이면 방학때 서울에 있을 수 있고 여러 가지 다 경험가능합니다. 카이스트 학부가 조금 약한 편이긴 합니다만 (대학원의 명성에 비해서요), 그래도 연보다야 카 아닐까요? 그리고 카이스트 가면 아무래도 대학원 진학 할 가능성이 클 테고 (대부분 대학원 가니까요), 그리고 못해도 석사 정도는 해야 하니까.. 저는 카에 한표 겁니다.

    아..저는 설.카.포 의 대학원까지 졸업했습니다.

  • 8. 당연
    '10.2.1 1:39 PM (124.49.xxx.89)

    카이스트죠~
    여학생두 잘다니던데요.

  • 9. .
    '10.2.1 3:08 PM (59.10.xxx.139)

    카이스트 좋아요.

    월-금까지는 열심히 공부하고, 금요일 저녁에 유성에서 고속버스 타고 집에 와서 토-일은 서울에서 실컷 놀다가 학교 내려가면 되요. 서울이 집인 학생들은 대부분 그러고 지내요.

    서울대에서의 4년과 카이스트에서의 4년은 공부 환경이 차이가 많이 나게 되는데, 독립적인 성격의 아이라면 카이스트에서의 4년이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

    정 결정하기 힘드시면, 두 학교를 방문해 보세요. 대충 분위기가 다른 걸 금방 알게 될 거고, 어떤 게 더 아이가 선호하는지 판단해보라고 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수학 학부 전공은 좋은 선택입니다. 그냥 일반적인 기초과학으로서의 수학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학부때 수학 전공 후에 대학원 때 다양한 전공이 가능하답니다.

  • 10. 카이스트맘
    '10.2.1 3:55 PM (58.235.xxx.204)

    저는 연대를 가라고 권합니다.
    요즘 카이스트 옛날 카이스트와 다릅니다.
    절반 정도의 아이들이 등록금 내고 다니고 있습니다.
    과학고 출신이 태반인 학교에서 상대평가 하고 있고요. 영어 안되는 아이는 정말 힘들껍
    니다.
    학점이 2.0이면 한학기 등록금이 750만원입니다.
    이렇게 내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서남표 총장이후 언론에 보여지는 카이스트와 실제 카이스트는 많이 다릅니다.
    학생들의 건설적인 건의는 들어주지 않습니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 한다고 합니다. 학교에 대해 이야기 한 학생을 명예훼손으로
    학교가 고발했구요.

    그러나 학생들이 다니고 싶은 학교와는 점점 멀어지고 있네요.
    혜택은 점점 없어지고
    아이들을 숨막히게 하는 규율만 늘어나고 있습니다.

    카이스트 이런줄 알았다면
    연대를 보냈을 것입니다.

  • 11. ..
    '10.2.1 5:46 PM (203.215.xxx.254)

    상대평가는 예전부터 했던거고.
    영어 안되는 아이는 어디나 힘든거 마찬가지입니다.
    학점 2.0이며 정말 배째고 놀아야 되는거구요.

    혜택을 보고 다닌다면 돈을 내니 줄어든다고 보겠지만.
    학업의 질면에선 추천입니다.

  • 12. 흠..
    '10.2.2 8:43 AM (202.20.xxx.254)

    카이스트 영어 안 되고 학점 2.0이요? 아..놔..

    영어 안 되고 학점 2.0 받아서 뭘 하겠어요? 그 학점으로는 대학원 갈 때 무쟈게 힘들 겁니다. 4년 내내 그 학점이면 대학원은 절대로 못 갈 거고, 1학년 정도에 그리 받았다면 나중에 대학원 갈 때 전체 평점 맞추기 위해서 무쟈게 고생했을 거구요. 그리고 영어 안 되는 아이야 어디서나 힘듭니다. 어차피 이런 학교들 교재 국어 빼고 전부 두꺼운 영어 원서이고 영어로 진행되는 수업도 있지요. 대학교의 공부량이 고등학교의 공부량에 비해 많은 것이 당연한 거고, 공부 열심히 해야 하는 구조지요. 그럼 그 정도 학교 가는 아이가 대학교 가서 놀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겠어요? 학점 2.0은 자유롭다고 생각하는 대학교 1학년에 어쩌다 몇 명정도가 받는 학점이지 전체가 저렇게 받는 거 아닙니다. 그리고 대학 몇 년 동안 저 학점 받는다면 사실 졸업이 의심되는 학점인데요. 지금도 있는 지 모르겠지만 예전같으면 학사 경고에 몇 번 누적되면 제적에.. 아..놔.. 차라리 다른 학교 가고 싶으면 그냥 다른 학교 가지, 어찌 저런 학점을 몇 년 씩이나 받을 생각을 했을 까요..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3271 3세,5세 아이 데리고 삼성동과대치동 어디가 살기 좋을까요? 8 궁금이 2008/10/10 840
413270 아이통크 꼬미아 발맛사지기좀 봐주세요! 1 2008/10/10 294
413269 예금자 보호 vs. 비보호(펌) 1 문의가 많아.. 2008/10/10 735
413268 무배당 교보변액연금보험2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ㅠ 4 골치 2008/10/10 494
413267 김치찜 4 ... 2008/10/10 600
413266 과외비를 4 안주려고 하.. 2008/10/10 980
413265 이외수님의 알바 대처법 5 ㅎㅎ 2008/10/10 955
413264 직화구이냄비 중국산 안되겠죠? 먹고파 2008/10/10 220
413263 기업들도 환시장 개입 매도 하네요 이른아침 2008/10/10 375
413262 이상한 전화 6 걱정 2008/10/10 1,357
413261 실비보험 너무해 4 머리아퍼 2008/10/10 1,022
413260 전세 살고 있는 주소지에...... 7 주소지 2008/10/10 855
413259 오늘 환매하신 분들~ 6 여명의 광장.. 2008/10/10 1,746
413258 김봉*작명소에서 지은 이름이, 인명한자에 없는거네요 10 아기엄마 2008/10/10 1,064
413257 아래 진짜 심리테스트 결과예요 ^^ 46 흥! 2008/10/10 2,049
413256 진짜 심리테스트 가지고 왔어요... 아래 심리테스트 보고 화가나서! 2 흥! 2008/10/10 1,806
413255 대통령과장관들위하여기도하자는교회에환멸을느껴요 9 오마이갓! 2008/10/10 658
413254 금 지금 팔아도 되나요? 6 빈곤한이 2008/10/10 1,512
413253 남편의 말 하나,행동 하나때문에 너무 힘들어요...... 20 속상속상 2008/10/10 2,407
413252 세계경제 전문가들 "30년간 가장 길고 추운 겨울 될 듯" .. 2008/10/10 774
413251 조계사 강제철거 중이라네요. 4 아프리카 중.. 2008/10/10 771
413250 시누이 결혼식에 신생아 모유수유하는 저는 뭘 입을까요? 9 모유수유 2008/10/10 921
413249 조개찜 조개 2008/10/10 220
413248 넘 몰라서 여쭤봅니다.. 1 질문 2008/10/10 325
413247 대바늘뜨개질, 주머니 잇는 것 동영상 볼 수 있는 곳 없을까요? 2 뜨개질 2008/10/10 347
413246 정말 민망한데요. 11 부끄. 2008/10/10 3,061
413245 내년 2월 만기 상호저축예금 5 상호저축 2008/10/10 801
413244 요즘 일박이일로 가볍게 다녀올수있는데 어디있을까요?강원도?? 3 일박이일 2008/10/10 507
413243 초등 중간고사 성적에 포함되나요? 5 초등 2008/10/10 582
413242 9 아고라 2008/10/10 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