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그림 그릴때요.. 크레용 언제부터 제대로 잡았어요?
작성일 : 2009-11-24 13:43:47
795733
저희 아이 지금 35개월인데..
그림 그려보라고 하면 크레용 잡고 찍찍 선 긋고 동그라미 그리는 수준이예요 ㅎㅎ
잘 그리는 아이들은 벌써 사람 얼굴도 그리고 곧잘 이것 저것 그리기도 하던데..^^;
제가 미술놀이를 별로 같이 안해줘서 그런가 싶기도 하고...
근데 일단 크레용 잡기가 안되더라구요.
힘을 주어 잡는게 아니라 끝에만 손가락으로 (뭐 물건 살짝 집는 것처럼) 잡거나 주먹 쥐는 식으로 잡고 있어요.
제가 제대로 쥐어줘도 도무지 자세가 안 나옴 ㅎㅎ 아직은 제대로 잡기가 힘든가 봐요.
크레용 잡는 것도 많이 연습시켜야 하는건가요? -_- 그냥 놔두면 때되면 알아서 잡는건지
보통 아이들 크레용 언제쯤부터 제대로 잡던가요?
IP : 119.64.xxx.1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23개월
'09.11.24 1:51 PM
(222.101.xxx.243)
제 아기는 23개월인데요, 한7개월전에 스케치북이랑 색연필로 낙서하라고 줬는데 그게 언제부터인지는 몰라도(^^;;) 제대로 잡고 낙서하던데요.
아무래도 많이 잡아봐야 익숙해지고 엄마가 잡는걸 보고 따라하는것 같아요. ^^
2. 세살버릇
'09.11.24 3:10 PM
(124.56.xxx.39)
그게 아이마다 조금씩 다른거 같아요. 처음부터 제대로 잡고 시작하는 아이는 그게 편해서 그런건데.. 그게 나중까지 연결되서 나중에 연필 잡는거를 쉽게 하고요, 처음에 주먹쥐듯 시작하면, 그거 고치려면 아주 힘들어요.
그런데 크레파스보다는 색연필이 좀 더 쉬워요. 크레파스는 굵고 진하게 나와서 그리기 할때 도움이 되지만, 길이가 짧고 잘 부러지기때문에 이쁘게 잡아주기가 힘들거든요. 그래서 그냥 자연스럽게 주먹쥐기가 될수 있어요.
색연필중에 돌리는 타입 말고 까서 쓰는 타입도 색이 여러가지로 나오고 색감이 진하거든요.
저는 그걸 사줬어요. 길이가 길기떄문에 길게도 잡아보고 짧게도 잡아보고 잘못잡으면 이쁘게 제대로 쥐어주기도 하고 그러니까 조금더 도움이 뒬수 있습니다.
그리고요, 세돌 이전에 동그라미 그릴줄 알면 잘 하고 있는 겁니다.
미술 놀이를 많이 시칸다고 잘한다기 볼수는 없고요...그 단계에서는 인지 발달과 그리기 능력이 같이 가고 있는 거니까요,
사물의 형태를 인식하고 그걸 표현하는 능력이 된다는것은 미술 활동과는 별도로 그 아이가 인지발달이 빠른거죠.
그러려면 굳이 미술 말고도 머리를 쓰는 다양한 장르의 경험이 다 모인다고 보면 되요. 책도 많이 보여주고요...
원래 선긋다가, 동그라미 그리고... 한참있다가 선 네개나 세개 모아서 세모, 네모 그리면, 그 이후에 형태를 그리는 능력이 생기는데요.
울 작은아이가 40개월쯤 되니까 이제 세모가 그려지네요.
드디어 물고기도 그리고 자동차도 나오네요.
3. .
'09.11.24 11:46 PM
(61.85.xxx.176)
35개월에 동그라미만 그리던 아이였는데 36개월 되니까 어느날 갑자기 사람얼굴을 그리더군요. 그때쯤엔 한달차이가 엄청 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502651 |
부석사 가려는데 정보 좀 나눠주세요. 4 |
떠나자 |
2009/11/24 |
568 |
502650 |
로봇청소기 좋은가요.. 7 |
추천 |
2009/11/24 |
1,043 |
502649 |
아래 김장때문에 일어나는 트러블 글 읽었는데, 정말 김장도 셀프... 9 |
-- |
2009/11/24 |
798 |
502648 |
대학측·정부, 세종시 놓고 빅딜 의혹 1 |
세우실 |
2009/11/24 |
227 |
502647 |
아이 그림 그릴때요.. 크레용 언제부터 제대로 잡았어요? 3 |
궁금해요 |
2009/11/24 |
319 |
502646 |
다른 나라는 어떨까요? (반찬, 식기류) 7 |
궁금해요 |
2009/11/24 |
785 |
502645 |
이병헌 70년생 아니지않나요? 10 |
아리송 |
2009/11/24 |
2,145 |
502644 |
서울에 신축 빌라 많은 동네가 어디인가요? 강남/서초/송파 6 |
이사가자 |
2009/11/24 |
1,384 |
502643 |
시누이 결혼에 저고리입고 그위에 두루막까지 입어도 될까요? 11 |
한복위에 두.. |
2009/11/24 |
845 |
502642 |
절임배추로 김장하는데 석박지 무는 소금의 양을 얼마나 넣나요? 4 |
초보 |
2009/11/24 |
591 |
502641 |
짚뒤로 고가도로가 생기는 줄 모르고 입주했어요.한달만에 이사결심...ㅜㅜ 1 |
전세자 |
2009/11/24 |
593 |
502640 |
아이방의 컴퓨터를 거실로 옮기려는데 통신회사에 전화해야하나요? 6 |
컴퓨터 |
2009/11/24 |
617 |
502639 |
아이가 비만으로 향해 가는데.. 방치하는 엄마. 22 |
비만 |
2009/11/24 |
2,285 |
502638 |
토욜 오훙 서울에서 안면도,, 대략 얼마나 걸릴까요?.. 2 |
;; |
2009/11/24 |
747 |
502637 |
바디에멀젼 아이 얼굴에 발라도 되나요~ 5 |
뉴트로지나요.. |
2009/11/24 |
1,333 |
502636 |
마이너스 통장이요 2 |
마이너스 |
2009/11/24 |
670 |
502635 |
스텐드김냉 둘 중에 골라야되는데 못 고르고 있어요.. 4 |
결정못해 |
2009/11/24 |
857 |
502634 |
저희 형편에 아이 영유 사치인가요? 27 |
에궁 |
2009/11/24 |
2,420 |
502633 |
유엔 "한국, 경제와 인권 부조화" 지적 3 |
세우실 |
2009/11/24 |
234 |
502632 |
아파트 관리비도 카드로 낼 수 있나요 13 |
관리 |
2009/11/24 |
1,574 |
502631 |
오늘 저녁 술안주 11 |
초보 |
2009/11/24 |
833 |
502630 |
키가 162,3 되면 몸무게 몇정도가 젤 옷입기 좋고 보기좋은가요? 20 |
목표체중.... |
2009/11/24 |
2,099 |
502629 |
아이가 생기니 크리스마스가 다시 설레지네요 3 |
메리 크리스.. |
2009/11/24 |
349 |
502628 |
닭가슴살이랑 당근, 양파로.. 12,36개월 아이들 뭘해줄까요? 10 |
^^ |
2009/11/24 |
374 |
502627 |
괜찮은 요리학원(강남, 송파, 서초, 분당권) 추천해 주세요... 2 |
잘 먹고 싶.. |
2009/11/24 |
1,482 |
502626 |
단감이 얼었는데 어쩌죠.. 2 |
ㅠ.ㅠ |
2009/11/24 |
305 |
502625 |
두레생협과 생협이 어떻게 다른가요? 3 |
일산 |
2009/11/24 |
579 |
502624 |
24평 아파트 거실창(샷시) 가로 사이즈가 대략 어떻게 되나요? 3 |
이사전에 마.. |
2009/11/24 |
869 |
502623 |
주택부금통장 오래된거 해약하고 지금이라도 청약저축 가입하는게 좋겠죠? |
청약 |
2009/11/24 |
772 |
502622 |
아이가 없으면 이담에 후회할까요? 49 |
.. |
2009/11/24 |
2,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