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심성 수련하세요....

고약한 엄마ㅠㅠ 조회수 : 264
작성일 : 2009-10-26 09:22:57
      칭찬은 공개적으로, 비판은 개인적으로 해야 한다. 칭찬은 말로, 비판은 글로 해야 한다. 칭찬은 감성적으로, 비판은 이성적으로 하는 게 좋다. 칭찬은 개론으로, 비판은 각론으로 해야 한다. 칭찬은 어떻게 해도 상관없지만 비판은 자칫 상대의 감정이나 자존심을 다치게 할 수 있다.  

    칭찬 많이 한다고 손해 보지 않는다. 오히려 사람들에게 호감 사서 이익을 볼 기회가 더 많다. 반면 남에게 하는 비판은 잘해야 본전인 경우가 있다. 아무리 좋은 얘기라도 상대가 원치 않으면 비판이 비난으로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들 앞에서 비판당하면 기분 좋을 사람 없다. 아무리 좋은 비판이라도 상대의 기분과 감정, 자존심이 고려되지 않는 비판이라면 결코 좋은 비판이 되지 않는다.
 
    물론 칭찬과 아부를 구분 못해서는 안된다.  '볼 때마다 탄복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역시 사장님의 천재성은 탁월하십니다' 등은 칭찬이라기보다 아부에 가깝다. 아부는 한명의 아군을 만들기 위해서 여러 명의 적군을 만드는 격이 된다. 그리고 아부가 지나치면 한명의 아군에게서도 정당한 평가를 못 받는다.
 
   대기업의 L 과장은 일 잘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정도이다. 하지만 그는 아랫사람에게 혹독할 정도로 비판적이다. 그것도 사람들 모두 있는 사무실에서 직설화법으로 비판하고 지적하는 편이다. 그러다보니 L 과장을 따르는 아랫사람은 별로 없다. 특히 조직생활에서는 상대를 배려하면서 얘기하는 게 매너이자 세련된 언어이다. 이걸 잘 못하는 사람은 자신의 능력보다 가치를 낮게 평가받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결국 L 과장은 번번이 승진에서 누락되다가 후배 기수가 자기 부서의 부장으로 발령 받으면서 사표를 쓰고 나오고 말았다.  

    아랫사람에게 비판할 때는 칭찬과 비판, 격려를 순차적으로 하는 것도 노하우이다. 먼저 칭찬을 해서 상대의 마음을 여유있게 만들어두고, 비판이나 지적할 얘기를 그 다음에 건넨다. 그리고 마무리를 격려의 메시지로 끝내는 거다. 이렇게 하면 비판이 좀 더 진심 어린 메시지로 다가오기 쉽고, 상대의 자존심이나 감정을 상하게 하지도 않는다.

    정말 충고하고 싶다면, 정말 비판하고 싶다면 한번으로 끝내라. 두 번하면 잔소리로 들릴 것이고, 세 번 하면 히스테리로 여겨질 것이다. 충고를 두 세번 계속 하게 되는 것은 말하는 사람의 욕심이자 상대에 대한 장악욕구이다. 상대와 동등하다고 생각하면 같은 충고를 반복하진 않는다. 상대가 나보다 약자이거나 낮아 보일 때 같은 충고를 집요하게 반복하는 실수를 범하기 쉽다.

    칭찬은 감성적이어서 두루뭉술하게 해도 좋지만, 비판은 이성적이어서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업무에 대한 비판이나 지적시에는 전문성을 갖추고 해야 한다. "자기도 제대로 모르면서 어디 감히 비판을 하냐" 라는 반응이어선 곤란하다. 비판은 상대를 이성적으로 설득할 만큼 제대로 준비해서 해야만 한다.  

    세상에서 제일 억울한 것이 기껏 칭찬 하고도 상대에게 감사하단 얘기 못 듣고, 진심으로 비판하고서도 상대에게 욕먹는 상황이 아니겠는가. 시끄럽게 칭찬해서 상대로부터 나의 칭찬에 감사한 마음이 들도록 하고, 조용하게 비판해서 상대가 자존심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사람을 부르는 성공 언어의 기본이다.
IP : 211.114.xxx.113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7498 '사이렌24' 라는 사이트 아세요? 2 혹시~ 2010/08/17 578
    497497 음 ... 분명히 해결해 주실 것 같아요! 82사랑해요.. 2010/08/17 260
    497496 베이비 물티슈에서 이물질이 나왔는데요 1 물티슈 2010/08/17 256
    497495 아이스커피 어떤거 드세요~ 5 믹스요 2010/08/17 750
    497494 아기가 숨을 깊게 들이마시면서 소리를 내요 1 엄마 2010/08/17 581
    497493 에버랜드 첨 가는데요~ 3 궁금이 2010/08/17 257
    497492 요즘은 남자들도 화장진하게 하나요? 9 dd 2010/08/17 885
    497491 30대 분들 20대들 입는 옷매장에서 옷 사입으세요?? 1 퍼넬옴므 2010/08/17 491
    497490 이사하셔서는 다들 집들이 하셨나요? 2 집들이 고민.. 2010/08/17 375
    497489 신재민, 위장전입에 부동산 투기, 탈루 의혹까지 3 세우실 2010/08/17 185
    497488 sk대리점에서 주민등록증을 연락도없이 5일간 갖고있었어요(황당) 1 갤럭시폰 2010/08/17 240
    497487 있으신가요?.. 억세게 운 .. 2010/08/17 151
    497486 꽃게가 kg에 오천원이라는데 냉동고에 자리가 없어 못사니 안타까워요^^;; 9 옴마야~ 2010/08/17 1,266
    497485 엄마표 영어학습 온라인사이트 알려주세요~~ 3 영어사이트 2010/08/17 611
    497484 냉동실에 밥 얼리시는 분들~ 용기 뭐 쓰세요? 7 얼밥 2010/08/17 1,698
    497483 가족끼리 돌잔치 하신 분 비용 문의 드려요. 5 돌잔치 2010/08/17 626
    497482 책추천좀해주세요.. 10 휴가중할일없.. 2010/08/17 996
    497481 故 박용하 씨가 제 꿈에 나왔어요 3 .. 2010/08/17 776
    497480 대방역점과 봉천역점중 어디가 나을까요. 빕스 2010/08/17 162
    497479 대사 전달력. 2 영어질문 2010/08/17 2,894
    497478 늬 언니가 잘해서..ㅠ.ㅠ 6 인정 2010/08/17 1,196
    497477 010 번호 통합 사기 3 전화사기 2010/08/17 838
    497476 지방에서 암사동 가는데요..차편이?? 5 촌사람 2010/08/17 262
    497475 안암역(고대역)으로 출퇴근을 해야 할 경우 주거지는 어디가 좋을까요? 대중교통이용 9 6호선 2010/08/17 523
    497474 서울에 조개구이집 소개~~ 4 에미노릇힘들.. 2010/08/17 689
    497473 원두커피 좋아하시는 분만.. 8 커피사랑 2010/08/17 1,510
    497472 커피, 술 이런게 땅겨요 1 단거 2010/08/17 235
    497471 유머감각..이란 정말 중요한거 아닌가요.. 9 제니 2010/08/17 1,394
    497470 임신중에 마실수 있는 차종류 추천요 4 커피대신 2010/08/17 542
    497469 여자 아기 이름 좀 봐주세요~~~(제발 플리즈 ㅠㅠ) 30 오옹 2010/08/17 2,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