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심성 수련하세요....

고약한 엄마ㅠㅠ 조회수 : 264
작성일 : 2009-10-26 09:22:57
      칭찬은 공개적으로, 비판은 개인적으로 해야 한다. 칭찬은 말로, 비판은 글로 해야 한다. 칭찬은 감성적으로, 비판은 이성적으로 하는 게 좋다. 칭찬은 개론으로, 비판은 각론으로 해야 한다. 칭찬은 어떻게 해도 상관없지만 비판은 자칫 상대의 감정이나 자존심을 다치게 할 수 있다.  

    칭찬 많이 한다고 손해 보지 않는다. 오히려 사람들에게 호감 사서 이익을 볼 기회가 더 많다. 반면 남에게 하는 비판은 잘해야 본전인 경우가 있다. 아무리 좋은 얘기라도 상대가 원치 않으면 비판이 비난으로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들 앞에서 비판당하면 기분 좋을 사람 없다. 아무리 좋은 비판이라도 상대의 기분과 감정, 자존심이 고려되지 않는 비판이라면 결코 좋은 비판이 되지 않는다.
 
    물론 칭찬과 아부를 구분 못해서는 안된다.  '볼 때마다 탄복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역시 사장님의 천재성은 탁월하십니다' 등은 칭찬이라기보다 아부에 가깝다. 아부는 한명의 아군을 만들기 위해서 여러 명의 적군을 만드는 격이 된다. 그리고 아부가 지나치면 한명의 아군에게서도 정당한 평가를 못 받는다.
 
   대기업의 L 과장은 일 잘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정도이다. 하지만 그는 아랫사람에게 혹독할 정도로 비판적이다. 그것도 사람들 모두 있는 사무실에서 직설화법으로 비판하고 지적하는 편이다. 그러다보니 L 과장을 따르는 아랫사람은 별로 없다. 특히 조직생활에서는 상대를 배려하면서 얘기하는 게 매너이자 세련된 언어이다. 이걸 잘 못하는 사람은 자신의 능력보다 가치를 낮게 평가받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결국 L 과장은 번번이 승진에서 누락되다가 후배 기수가 자기 부서의 부장으로 발령 받으면서 사표를 쓰고 나오고 말았다.  

    아랫사람에게 비판할 때는 칭찬과 비판, 격려를 순차적으로 하는 것도 노하우이다. 먼저 칭찬을 해서 상대의 마음을 여유있게 만들어두고, 비판이나 지적할 얘기를 그 다음에 건넨다. 그리고 마무리를 격려의 메시지로 끝내는 거다. 이렇게 하면 비판이 좀 더 진심 어린 메시지로 다가오기 쉽고, 상대의 자존심이나 감정을 상하게 하지도 않는다.

    정말 충고하고 싶다면, 정말 비판하고 싶다면 한번으로 끝내라. 두 번하면 잔소리로 들릴 것이고, 세 번 하면 히스테리로 여겨질 것이다. 충고를 두 세번 계속 하게 되는 것은 말하는 사람의 욕심이자 상대에 대한 장악욕구이다. 상대와 동등하다고 생각하면 같은 충고를 반복하진 않는다. 상대가 나보다 약자이거나 낮아 보일 때 같은 충고를 집요하게 반복하는 실수를 범하기 쉽다.

    칭찬은 감성적이어서 두루뭉술하게 해도 좋지만, 비판은 이성적이어서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업무에 대한 비판이나 지적시에는 전문성을 갖추고 해야 한다. "자기도 제대로 모르면서 어디 감히 비판을 하냐" 라는 반응이어선 곤란하다. 비판은 상대를 이성적으로 설득할 만큼 제대로 준비해서 해야만 한다.  

    세상에서 제일 억울한 것이 기껏 칭찬 하고도 상대에게 감사하단 얘기 못 듣고, 진심으로 비판하고서도 상대에게 욕먹는 상황이 아니겠는가. 시끄럽게 칭찬해서 상대로부터 나의 칭찬에 감사한 마음이 들도록 하고, 조용하게 비판해서 상대가 자존심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사람을 부르는 성공 언어의 기본이다.
IP : 211.114.xxx.113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7482 시댁에서 남편대접 어떻게? 왕처럼or친구처럼? 12 갈등 2009/10/26 928
    497481 소고기(생거)에 쉰냄새 나면 상한건가요? 5 소고기 2009/10/26 3,935
    497480 브랜드매장 겨울옷 나왔나요? 내용무 2 은혜 2009/10/26 289
    497479 아주 특별한 날이면 조희선 2009/10/26 192
    497478 아파트 담보대출금이 있는데 새아파트 중도금 대출이 가능할까요? 1 궁금 2009/10/26 1,092
    497477 된장 골 된장 드셔보신분들~ 3 골된장 2009/10/26 493
    497476 얍력솥에 밤을 삶으려고하는데요..(급) 8 밤삶기 2009/10/26 583
    497475 불린고추가 뭔가요?? 1 무식.. 2009/10/26 338
    497474 오래 된 가습기인데요 1 핫코코아 2009/10/26 257
    497473 고시붙더니 사람이 변한 내동생이 무섭네요.. 64 가을하늘 2009/10/26 12,495
    497472 대형마트에서 계산 후 영수증 꼼꼼히 확인해 보세요 13 꿀짱구 2009/10/26 1,759
    497471 타미플루를 되도록 안 먹는게 좋은가요? 1 고딩맘 2009/10/26 627
    497470 2009년 10월 26일자 <아침신문 솎아보기> 1 세우실 2009/10/26 178
    497469 남편이 짐승만도 못한짓을 39 도움필요 2009/10/26 14,792
    497468 미대 보내려고 초등저학년때부터 마음먹으면 공부 안해도 20 되나요? 2009/10/26 1,266
    497467 전세끼고 집사신적 있으신가요? 2 ^_^ 2009/10/26 696
    497466 디카 사려고 하는데요... 3 질문 2009/10/26 425
    497465 남편의 잔소리에 상처가 쌓이네요. 5 슬퍼요 2009/10/26 1,084
    497464 "선고공판앞두고 황우석 탄원 열풍" 7 화이팅~ 2009/10/26 362
    497463 요실금 수술 너무 이르죠? 5 35세11년.. 2009/10/26 744
    497462 대치동 아이파크나 미도 아파트, 타워팰리스중에서요... 3 이사고민 2009/10/26 1,078
    497461 “박정희 前대통령 말년 개헌 뒤 하야하려 했다” 4 세우실 2009/10/26 440
    497460 여행을 갈까요.. 백을 살까요 19 행복해 2009/10/26 1,613
    497459 심성 수련하세요.... 고약한 엄마.. 2009/10/26 264
    497458 살롱드 뮤사이 목동점 커트 어떤가요? 4 .. 2009/10/26 1,338
    497457 아키히로상이 3년째 같은 연봉을 받는댑니다. ㅋ 4 별게 다 칭.. 2009/10/26 617
    497456 새차구입하고 고사지는 것..... 10 고사??? 2009/10/26 1,041
    497455 쌀쌀한 가을엔 먹어야 하는 입 나의버릇 3 달콤한 추억.. 2009/10/26 517
    497454 학군 좋은 동네에 꼭 가야하나요? 1 이사고민 2009/10/26 798
    497453 벨기에식 홍합요리 어떻게 하는지 아시는 분~ 초보자 2009/10/26 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