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의학전문대학원이 무엇인지요? 그럼 이제 의사나 변호사가되려면..
잘 몰라서 여쭤봅니다.
의학전문대학원이라고 들어보긴 했는데 그렇담 의대는 없어진건가요?
그리고 의사나 변호사가 되는 길이 더 어려워진건가요?
무식한 엄마에게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1. **
'09.8.17 1:22 PM (211.198.xxx.78)의학전문대학원이 생겼다고 해서 의예과가 없어진 것은 아니고요.
1. 예전처럼 의예과 들어가서 예과2년하고 본과 4년하는 학교도 있고요.
2. 의학전문학원(이하 의전원)이 있는 학교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 MEET라고 해서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시험으로 다시 학생을 뽑습니다.
의사가 되는 길이 더 어려워졌을 수도 있고 덜 어려워 진 것일 수도 있어요.
예전같은 방법이면 입학시험(수능) 잘 못 쳐서 의예과 못 들어가면
의사가 될 방법이 아예 없는 것이고요.
지금은 일단 다른 학과에 들어가서 4년동안 다니고 졸업한 다음
의전원 입학시험 준비를 해서 들어가는 방법이 또 생겼으니까
수능 못 쳐도 의전원 입학시험 잘 쳐서 들어갈 방법이 생긴 것으로 보면 더 쉬워진 듯 하긴 한데
반면 의예과로 바로 들어가기는 예전보다 훨씬 더 어려워졌고요.
(예전처럼 학생을 뽑는 학교가 대폭 줄었거든요.)
또 말이 의전원시험 준비하는 거지
4년동안 대학등록금에 의전원 시험 준비할때 드는 돈이 더 들어가고
2년의 시간이 더 들어가는 거니
형편이 안되는 아이들에겐 그게 더 어려워진 것일 수도 있어요.2. 그냥
'09.8.17 1:28 PM (125.178.xxx.195)의대 정원이 줄어들어서 신입생수로 년간 900 명 남짓 합니다,
3. 변호사는요?
'09.8.17 1:50 PM (211.207.xxx.49)저도 마구 헷갈리는데
변호사는 법대 나와서 사법고시 합격하면 되는 게 아닌가요?
로스쿨 학비가 그렇게 비싸다면서요.
아이가 변호사 되고 싶다는데... 어쩌면 좋아요?4. .
'09.8.17 2:18 PM (121.136.xxx.184)잘은 모르지만 여지껏 변호사는 과나 학벌에 상관없이 사법고시만 패스하면
가능한 얘기였죠. 그러나 이젠 2012년부터인가?? 정확한 해는 모르겠지만
암튼,,,계속 사법고시 인원을 줄여 나중엔 사법고시 자체를 없애는 거에요.
법대를 꼭 나올 필욘없으나 4년제 대학을 나와야 로스쿨이라는 법학전문대학원?을 들어갈 자격이 주어지겠죠? 로스쿨 졸업하면 변호사 자격시험을 치게되는 거죠. 그러니 그 로스쿨 들어가기가 사법고시 치는 것만큼 어렵고 또 돈도 엄청 든다고 하더라구요. 연 교육료가 이천이라지만 3년제니까 실제로는 억대가 들거란 얘기도 있습니다. 이제 가난한 사람들은 절대로 변호사가 못되니 더 이상 노무현 대통령같은 분이 나오기도 어려운 세상이 된거죠.5. 원글
'09.8.18 2:20 PM (211.63.xxx.13)그렇군요..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