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정수기가 전기료 많이 나오는건가요...

전기요금 조회수 : 1,430
작성일 : 2009-07-30 16:30:02
항상 38000원 가량 나오던 전기료가 이달에 63630원이
나왔네요.

이번달도 전과다름없이 사용하였는데
왜 갑자기 많이 나왔는지 알수가 없네요

혹시? 정수기가 가장 범인같은데..
정수기는 3월 달쯤 부터 사용한거라
확실하지가 않아서 여쭤봅니다

정수기가 전기를 많이 먹는건지 좀 알려주세요
IP : 118.216.xxx.4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음...
    '09.7.30 4:33 PM (218.37.xxx.105)

    3월부터 사용하셨다는데... 이달에 갑자기 많아진거면 정수기랑 별 상관없는거네요..뭐^^

  • 2. 정수기
    '09.7.30 4:40 PM (218.153.xxx.186)

    전기 많이 묵는다고 하데여... 사용안 하더라도 계속 물 따숩게 뎁혀놓구, 차갑게 해놓구 기다려야되니까요.. 그리고 누진세땜에 쫌만 많이 나와도 팍팍 올라가자나여...정수기 함 빼놓구 한달 살아보시면 아시겠네여..^^;

  • 3. .
    '09.7.30 4:45 PM (121.148.xxx.90)

    전기세가..두달이나 석달쯤 다음달에 나오게 되던데요.
    저희 아파트는 두달.
    저희 이사오고..한두달 요금 적게 나오더라구요
    수도까지.
    그러면..정수기 영향 아닌가요?

  • 4. ..
    '09.7.30 4:45 PM (219.255.xxx.107)

    사용 중지 했더니 2만원 정도 차이 나던데요

  • 5. 뜨거운 물
    '09.7.30 4:46 PM (119.197.xxx.41)

    ㅈ제가 실험해봤는데온수를 틀어 놓으면 한달에 2만원 정도 더 나옵니다.
    냉수만 켜 놓으니 원상 복귀가 되었답니다.
    열을 내는 전기 도구 ..(전기 밥솥. 온수.전기담요.등등 )들이 전기를 많이 잡아 먹는다고 하네요^^^^

  • 6. 냉온수기
    '09.7.30 5:29 PM (211.225.xxx.152)

    전력사용량이 많다던데요.
    저도 작년 12월에 김치냉장고 들여놨는데..올봄부터 전기요금이 많이 부과됐어요..
    거의 만원정도...
    그래서 원래 사용하던 전기밥솥을 사용금지했더니
    5천원정도가 내려갔네요.
    매달 200킬로와트 안 넘기려고 전쟁중이여요..^^

  • 7. 종이꽃
    '09.7.30 5:49 PM (121.177.xxx.50)

    정수기 맞아요..
    냉수나 정수만 사용하셨다면 모를까 온수 사용하셨으면 맞아요

    정수기 사용전력량 보시면 다리미 저리 가라 입니다.

    온수는 전기포트나 가스로 해결하시고

    냉수만 사용하세요~

  • 8.
    '09.7.30 6:06 PM (121.151.xxx.149)

    정수기 반납하고 나니까 5만원대에서 3만원대로 낮쳐지더군요 키로수는 100와트정도절약되는것 같구요 저는 온수꺼놓았는데도 그랬습니다

  • 9. ...
    '09.7.30 7:06 PM (78.48.xxx.245)

    정수기가 에어콘보다 전기 많이 먹고, 가정에서 젤 전기 많이 먹는 제품이라고
    예전에 불만제로인지 어딘지에서 나왔어요.
    윗분들 말씀하신 것처럼 그냥 냉수만 쓰시면 그 정돈느 아니고,
    냉온정수기가 전기를 많이 먹는다네요.

  • 10. ..
    '09.7.30 7:49 PM (218.157.xxx.106)

    전 냉수도 안써요.
    그냥 전기뽑아놔도 정수는 되거든요.
    물통에 받아서 냉장고에 넣어두고 마셔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7051 애기책장 살려고하는데요... 2 아기엄마 2009/07/30 397
477050 착한 여행사 (일본여행) 추천해주세요(조중동아웃). 13 부모님여행 2009/07/30 1,301
477049 정수기가 전기료 많이 나오는건가요... 10 전기요금 2009/07/30 1,430
477048 가족끼리 돌잔치 1 돌잔치 2009/07/30 1,077
477047 요즘 작은 금액이라도 적금만 하세요? 아니면.. 3 궁금해요 2009/07/30 818
477046 ( 긁어서 고름생겼다던 개)새끼오늘내일 하는데,, 6 산후조리? 2009/07/30 512
477045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면 되는데... 1 ... 2009/07/30 413
477044 인간은 변해야 산다! 2 이혼한다던 2009/07/30 607
477043 오래된 핸펀 사용 못하게 된다는 문자.. 1 skt 2009/07/30 454
477042 진주 한정식집과 놀만한 곳 추천해 주세요(제목 바꿨어요) 진주 소식 2009/07/30 1,120
477041 시댁에 휴가 갈까요 말까요? 13 임산부 2009/07/30 1,039
477040 방통위, 배우 김명민 초상권 침해 사과 5 세우실 2009/07/30 747
477039 아까 에어컨관련글보고 5 궁금 2009/07/30 398
477038 머리 깎는 가위 추천해주세요. 이발 2009/07/30 208
477037 저도 개인적인 요즘 세대네요. 7 간섭 2009/07/30 1,001
477036 3년된 감자가루에 벌레가 안생기면 이상한거죠? 3 감자가루 2009/07/30 499
477035 혹시 이사할때 페인트 직접 칠해보신분 계세요? 4 . 2009/07/30 418
477034 휴대폰 하나에 번호 두개 사용 3 요금?? 2009/07/30 2,009
477033 초3, 초5 적정한 용돈 금액은 얼마일까요?? 5 고민중.. 2009/07/30 800
477032 10년된 대학 졸업증명서 기관에 제출해도 될까요.. 4 졸업증명서 2009/07/30 757
477031 자주만나는 동네언니들 남편을 뭐라고 부르나요? 31 호칭문제 2009/07/30 3,365
477030 뭐가 문제일까요? (19금) 41 죄송해요 2009/07/30 6,742
477029 어린이 영화 추천부탁합니다 6 여름방학 2009/07/30 755
477028 상조회사 이용해보신분 알려주세요..이지스상조, 보람상조.. 2 하늘 2009/07/30 860
477027 유모차 안전바(?) 아시는분요~ 2 불량엄마 2009/07/30 400
477026 이혼 후 아이 데리고 독립하기 4 집... 2009/07/30 1,005
477025 북, 남한 방송 이례적 방영 3 세우실 2009/07/30 328
477024 부천의 온천, 대*사우나, 무슨 문제는 없나요? 5 온천 2009/07/30 888
477023 태랑초 태능초? 1 화랑대역 근.. 2009/07/30 446
477022 방학이 무서버라~! 3 담비부인 2009/07/30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