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 가서 영어 교재나 한 번 보고 올까 하다가 갑자기 욱. 해서 적어봅니다.
중.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까지 나왔지만 외국 여행가면
길 묻고 물건 가격, 방 값 알아보고 Hi~ 인사하면 꿀 먹은 벙어리가 되고 마네요.
영어 교육 시장은 엄청나게 큰 것 같고 길가에 원어민 강사들도 넘쳐나는 것 같은데
그렇게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하는 요즘 초등학생, 중학생들의 영어 실력은 어느 정도나 되는지 궁금하기도 하구요.
지인에게 듣기로 요즘 아이들 발음은 정말 좋다라고들 하는데...
이 정도로 공부하면 다들 모국어 수준에 버금가는 수준은 되어야 정상일텐데요.
대학, 대학원 때에도 학기 초에 교수님이 원서 한 권 주시고
조원들이랑 그거 번역하고 나면 한 학기 그 과목 수업은 끝났던 기억이 나요.
공부 좀 제대로 해보자고 들어간 대학원에서조차
전자사전 찾아가며 원서 번역하느라 급급했던 생각을 하면 참...
영어권 국가들은 우리처럼 이렇게 원서 번역하느라 시간 버리는 과정이 없으니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들구요.
원서를 번역할 시간에 그 교재의 내용을 보다 심도 있게 공부하고 토론만 할 수 있다면
학습의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모두 만족스러웠을텐데요.
얼마전 서울대 교수가 번역했다고 나 온
전공 분야의 책을 보다가 도저히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아 결국 책을 덮었던 기억도 납니다.
속으로 '학부생들한테 조짜서 번역 시킨거 아냐'라며 흥분하고 말았네요.
그렇다고 영어는 나랑 상관 없는 존재다!라며 관심 끊고 살기에는
똑같은 상황이라도 영어 실력에 따라 조금 더 대우 받는 게 현실이기에 도저히 그럴 수도 없구요.
물론 학교 때 공부를 잘하지는 못했기에 큰 소리는 못치겠지만
그래도 열심히 사전 찾아가며 매일 영어 문제집 풀고 공부는 했던 것 같은데 도대체 뭘 공부했던 걸까요.
듣기, 말하기, 쓰기 모두 다 꽝이고 그나마 읽기만 조금, 아주 조금, 되는 정도이니 말이예요.
에구...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도대체 영어는 왜 늘 숙제인걸까요.
. 조회수 : 463
작성일 : 2009-07-26 15:08:13
IP : 118.176.xxx.20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
'09.7.26 3:11 PM (124.54.xxx.76)영어는 영원한 숙제 같아요^^ 초1 딸 공부 시키면서 같이 공부합니다...ㅎㅎ
근데 많이 들으면 진짜 발음 좋아지는 것 같아요
제가 공부할 때는 샘들도 죄다 조형기식 발음이었으니 애들은 오죽했겠어요??
오리지널 사운드로 공부하는게 왔다인 것 같아요...아주 많이 듣고 책도 많이 읽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