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자살1위국가의 자살마케팅. 하루 32.8명.

자살 조회수 : 248
작성일 : 2009-06-03 07:32:07
"전직 대통령이 목숨을 끊은 것은 세계적으로 드문 일
그 선택을 비판 없이 극화시키고 떠받들면 혹독한 대가 치를 것"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대하는 미국 워싱턴의 분위기는 복잡하다. 미국 정부는 이 문제를 "깨지기 쉬운 어항 다루듯" 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 전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과 제임스 존스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워싱턴 시내 한국대사관에 마련된 분향소를 차례로 찾았다.

이들은 평소 한국 외교관이 얼굴을 보기도 쉽지 않은 인물들이다. 워싱턴에서 만난 미국 정부 관계자는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표현하는 단어 하나에도 신경을 썼다. 미국 언론은 대부분 '자살(自殺·suicide)'이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정부 관계자는 우리말로 옮기면 사거(死去)와 비슷한 뜻의 '패스 어웨이(pass away)' 같은 말을 골라 썼다.

미국 정부가 이처럼 조심하는 까닭은, '촛불 울렁증' 때문이다. 2002년부터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반대 집회까지 반미(反美)는 촛불의 단골 소재였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반미로 이어갈 어떤 논리적 연결고리도 없지만, 그래도 미국은 잔뜩 긴장할 수밖에 없다는 눈치였다.

그러나 워싱턴에 이런 조심스러운 분위기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노 전 대통령 사후(死後)에 일고 있는 한국 사회의 각종 현상에 대한 궁금증과 의문이 더 많아 보였다. 한 한국 인사는 "북한 문제를 이야기하자고 했다가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질문만 잔뜩 받았다"고 했다.

바깥 세계의 기준으로 볼 때 노 전 대통령은 '성공한 대통령'의 범주에 속하긴 어렵다. 임기 말 지지도가 역대 최저 수준인 10%대까지 추락했고, 이에 따른 반노(反盧) 정서에 힘입어 야당 후보로 나선 이명박 대통령이 한국 대선 사상 최다(最多) 표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노 전 대통령은 재임 중 발생한 본인과 가족·측근들의 불법 자금 문제로 검찰 조사를 받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런 행동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한국 밖의 세상에서 통용되는 해석이다. 그런데 노 전 대통령의 장례 기간을 거치면서 추모 열기가 폭발했고, 세상을 떠난 전직 대통령이 산 사람들의 세상을 호령하는 듯한 상황이 벌어졌다.

전직 대통령의 자살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다. 제대로 된 나라에선 전직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는 상황에 내몰리는 경우가 드물 뿐만 아니라 경호 체제 등을 감안하면 그 결심을 실행하는 것은 더더욱 어렵다. 그런데 세계 13위 경제대국이라는 대한민국에서 그런 일이 벌어졌다. 이것만으로도 바깥 세계에서 한국을 어떻게 볼지를 생각하면 아찔하고 난감하다. 한국 정치의 후진성과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건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죽음 앞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든 경건해질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전직 대통령의 죽음을 안타까워하고 애도하는 국민들의 추모(追慕) 열기는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이 스스로 죽음을 택한 것을 떠받들거나 여기에 정치적 의미를 덧칠하는 것은 한국 사회를 지탱해주는 규범의 틀을 뒤흔드는 위험천만한 행위다.

한국은 선진국들의 모임인 OECD 회원국 중 자살률에서 10년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연간 1만2000여명, 하루 평균 32.8명이 자살을 택하고 있다. 정부가 '자살예방 5개년 종합대책'이란 거창한 계획까지 세웠던 게 바로 노무현 정부 때인 2004년의 일이다. 그런 노 전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

정상적인 사회라면 정치와 종교 분야의 지도자가 자살을 선택했다면 그들에겐 애초부터 그런 자유가 없다는 원칙이 강조됐을 것이다. 사회가 그들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자살 같은 일을 막기 위해서인데, 거꾸로 그런 일에 앞장선 모양이 된 것을 그냥 덮어두고 지나가면 훗날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지불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감히 이런 이야기를 꺼내기 힘든 분위기다. 대신, 노 전 대통령의 선택을 '마지막 승부수' '죽음으로 모든 걸 지고 가려는 희생' 등의 표현을 동원해 가며 극화(劇化)시키려는 일부의 주장들만 부각되고 있다.

전직 대통령의 죽음이 준 충격이 큰 만큼, 이를 정치적으로 다시 해석하거나 그 과정에서 공방이 벌어질 수는 있다. 그러나 죽음을 선택한 것 자체를 두둔하거나 미화(美化)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정치 마케팅에도 지켜야 할 도리(道理)가 있는 법이다. 다른 나라에선 상상하기도 힘든 전직 대통령의 자살을, 다른 나라에선 생각할 수 없는 방식으로 정치에 끌어들이는 것은 노 전 대통령을 또 한번 욕보이는 일이기도 하다.

------------

매일 33명씩 다 이유가 있고, 까닭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막아야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막을 수 있을 까요 ?  이제 누구나 더 쉽게 자신의 자살을 합리화할 수 있게 된 것은 아닐까요 ?
IP : 116.2.xxx.3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방법이 있지요.
    '09.6.3 8:50 AM (125.137.xxx.182)

    국민 90%가 살고싶은 나라를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노대통령의 자살이 부끄러운 나라가 아니라 대통령이 자살하게끔 만든 우리나라의 정치현실이 부끄러운게지요..
    미사여구로 궤변을 늘어놓지마십시오.

  • 2. 아꼬
    '09.6.3 9:00 AM (125.177.xxx.131)

    그러게요. 생존환경을 바꾸자는 것도 아니고 최소한의 안전망만큼은 지켜내야 자살율도 낮출 수 있기에 참 많은 이들이 촛불도 켜고 피켓도 드는데 귀가 먹었는지 심장을 엿하고 바꿔먹었는지 아니면신인류라도 되는지 도무지 먹통이예요.
    사회가 벼랑을 만들고 승자독식주의에 빠져서 서로를 밀치는 양상을 마치 인간의 생존방식처럼 떠벌리는 이 사회가 자살을 미화시키게 합니다.
    오죽하면 다른 세상에서는 행복하라고 평안하라고 하겠습니까.
    개똥으로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거 누가 모르겠습니까.
    아는데도 불구하고 그 무섭고 막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는 여리고 아픈이들을 향해 산자들은 패배자인 듯 말합니다.
    추호의 연민도 없는 시선으로 노무현대통령의 서거를 바라보는 이들은 역사의식도 없을뿐만 아니라 사람이라는 말로 부르기도 아까운 한낱 생물의 종족으로 불리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전 단호하고 분명한 어조로 정치적인 해석을 반드시 하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
    그분은 참 따뜻한 마음으로 긍적적인 시각을 가지신 분이라고 봅니다.
    굶는 한사람을 위해서 아홈사람이 조금씩 나누어서 먹자. 얼마나 선량한 생각입니까.
    그런 분이 스스로 생을 접었다면 이시대 무심히 살아온 우리가 비로소 문제의식을 갖고 꼼꼼하게성찰해야 합니다. 자살합리화 하는 것부터 막자는 말 이건 해답을 얻기에는 접근하는 방식이 틀렸다고 봅니다.

  • 3. 쌈지돈
    '09.6.3 9:02 AM (59.4.xxx.202)

    미국대통령도 후원금 이란걸 받는다고 하는데..
    노대통령은 그야말로 쌈지돈.
    사실 받았는지도 확실치 않고. 그야말로 이십년지기 친구가 임기말에 후원금 명목으로 준거 아닌가 말입니다.
    대통령교부금, 일년에 일조씩 준다는데.. 그거 안받은 사람이 설마 돈 십억에 눈이 훼까닥 뒤집어지진 않았을거고..
    그깟 쌈지돈 몇푼 받고 자살하는 우리나라 대통령,
    딴나라서 보면 북유럽 수준으로 정치가 깨끗한줄 착각할겁니다.
    다만 상황설명을 자세히 해주다보면, 일제식민지 로부터 비롯되는 굴곡의 한국역사,
    더러운 정치판 등등 줄줄이 다 나오겠지만....

  • 4.
    '09.6.3 10:23 AM (203.229.xxx.234)

    매일 33명씩 다 이유가 있고, 까닭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막아야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막을 수 있을 까요 ?
    이제 누구나 더 쉽게 자신의 자살을 합리화할 수 있게 된 것은 아닐까요 ?

    -> 부당한 압박이 없었다면 죽음까지 선택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사람이 살만한 세상을 만들면 됩니다.
    자살을 합리화 하는 정서보다 잘못된 권력의 극치를 절실히 깨닫게 된 사람이 더 많습니다.

  • 5. 하다가
    '09.6.4 11:25 AM (122.46.xxx.37)

    안돼면 뛰어내려!!!!!!!
    노무현 빼고 30명이 다 압박 땜에 죽는거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4175 완전 심각 대략 난감 부부... 4 남편 미워~.. 2006/11/15 1,830
324174 근저당설정 해지요 2 근저당 2006/11/15 372
324173 이쁜 손거울 파는곳 알려주세요 1 2006/11/15 576
324172 미국에 계신분게 묻습니다.(급해요!!!) 3 미국 2006/11/15 646
324171 유아브랜드인데요.밍크뮤 로고는 곰 두마리인데. 한마리 인건 무슨브랜드? 11 브랜드 2006/11/15 1,170
324170 체험학습.. 이런경우도 될까요? 5 초1맘 2006/11/15 491
324169 속옷 가게를 하려는데 걱정이네요. 3 글쓴이 2006/11/15 565
324168 초등학교 실내화로 겨울용 신어도 괜찮을까요? 3 ^^ 2006/11/15 380
324167 40대 진입예정입니다. 책 추천 부탁~ 6 40대 2006/11/15 834
324166 배추가격은 폭락했다는데도 16 올해 2006/11/15 1,455
324165 추천해 주세요 3 침대 2006/11/15 362
324164 거룩한 계보..기대 이상의 영화....(스포없음) 1 영화 2006/11/15 481
324163 믿을만한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절임배추 2006/11/15 174
324162 그래도 성유리는 낫다. 13 연기 2006/11/15 2,755
324161 디카를..... 산골에서 2006/11/15 149
324160 근데 아스파라거스는 무슨맛일까요?? 9 2006/11/15 882
324159 프로막실 사용해보신분요.. 1 보톡스크림 2006/11/15 222
324158 친구 따돌리기라는것이.......... 2 2006/11/15 1,040
324157 급합니다 도와주세요 !! 2 .. 2006/11/15 544
324156 대학생때 꼭 해봐야 할 것들 11 ... 2006/11/15 2,839
324155 비데 청소는 어떻게 하시나요? 4 아울러 2006/11/15 848
324154 변기 청소 어떻게 하시나요? 3 궁금이 2006/11/15 785
324153 옥수동 살기 어떤가요~ 4 죠슈아 2006/11/15 1,164
324152 졸업증명서 떼야되는데요 학교가넘 머네요 8 현정 2006/11/15 773
324151 성북구나 동대문구에 괜챦은 유치원없을까요? 2 걱정맘 2006/11/15 219
324150 매번 들어도 정확히 잘 모르는 말 ... 낚시글?이란게 뭔가요? 7 궁금녀 2006/11/15 640
324149 조끼 뜨는 거 쉽나요? 6 뜨개질 2006/11/15 462
324148 퀼트... 3 고민중 2006/11/15 555
324147 살 안찌는 남편 13 식욕 2006/11/15 1,012
324146 1회 유치원 어떤가요 1 유치원 2006/11/15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