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오피스텔 월세 중개수수료가 얼마인지...

부동산중개수수료 조회수 : 645
작성일 : 2008-11-13 22:37:24
일산 장항동이구요...
보증금 1,000만원, 월세 57만원인데요..
요즘 중개 수수료가 얼마인가요?
수수료율 표대로 계산하는 거 말고 통상적으로 실제 받는 금액이 얼마인지 알고싶습니다.

전에는 전세금으로 계산해서 5천만원 미만이라 최고 상한가액인 20만원을 냈는데,
이 번엔 5천만원이 넘으니 최고 상한가액인 30만원일거라 생각했거든요.

근데 부동산에서는 처음엔 전세금의 0.7을 곱해 467,000원인데 깎아준다면서 0.5를 곱해 335,000원이 나왔고
제가 더 깎아서 30만원으로 했어요.

가장 최근 거래가 3년 전이라 그동안 많이 오르고 규정도 바꼈나 얼떨떨해서 그런가 보다 했는데
인터넷으로 알아 보니 제가 첨에 예상했던 금액이 맞더라구요.

거래 처음부터 수수료를 저렴하게 해준다고 해서 시세보다 싸게 해줄거라 생각했는데
결과적으로 싼 것도 아니지 않나요??

부동산 하시는 분 말고^^ 실제 거래해 보시거나 시세 아시는 분들 답글 좀 해주세요.^^

IP : 222.101.xxx.16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8.11.13 10:48 PM (61.99.xxx.237)

    오피스텔이 원래 골치아파요.
    법적으로 주거용이건 뭐건간에 0.9%이내에서 협의이나 보통 0.5-0.6%선이죠. 동네마다 다르지만 대략적으로요.
    월세를 보통의 전세로 계산하면 전세 6천7백이니까... 중계료가 33-40만원 정도될 것 같은데요?
    30만원이면 많이 준 것같진 않아요. 부동산에서 원래는 0.7인데 깎아준다고 0.5한 건 약간 오바지만 결과적으로 좀 적게내신듯.

  • 2. 긍정의힘
    '08.11.13 10:55 PM (211.49.xxx.104)

    제 생각엔 집주인이냐 세입자냐에 따라 좀 다르게 받을거 같아요. (집주인>세입자)
    세입자보다 집주인이 더 내는 이유는 월세라 매달 월세 안들어올때마다 은근 심부름도 하고 그래서...
    제 경우(집주인)는 강남 테헤란로에 있는건데 부동산이 원하는 0.5% 다 줘요.
    세입자들은 보통 거기서 깍아서 5~10만원정도 들어오는거 같구요.
    근데 상한가액도 있나요? (나만 모르나비... 바보칠푼이...ㅡㅜ)

  • 3.
    '08.11.13 11:04 PM (61.99.xxx.237)

    네 법적으로 0.9% 이내에서 상호 합의로 결정이예요. 보통 세입자건 집주인이건 0.5-0.6%입니다. 물론 그 이하로 깎는 건 각자 능력.

  • 4. 원글이
    '08.11.13 11:06 PM (222.101.xxx.164)

    전 세입자구요... 수수료율 표를 보면 전세가가 5천만이상 1억 미만인경우 전세가액의 0.4%이고 상한가를 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어요. 이 경우 상한가액은 30만원이구요. 그래서 0.4%면 26만 8천원이고, 많아야 30만원일거라 생각했거든요.

  • 5.
    '08.11.13 11:11 PM (61.99.xxx.237)

    0.4%는 주택일때구요. (아파트 다가구 등 건물 목적 자체가 주거용일때)
    비주택은 무조건 0.9% 이내서 사전 합의.
    오피스텔은 주거용이든 뭐든간에 법적으로 업무용, 즉 비주택입니다.
    못믿으시겠으면 중계수수료를 검색해 보세용.

  • 6. 원글이
    '08.11.13 11:23 PM (222.101.xxx.164)

    그래서 제가 수수료율표 계산 말고 통상적으로 받는 금액이 얼마인지를 물어본거예요.
    중개업소끼리 암묵적으로 정해서 받는 금액이 있는걸로 알고 있고 전에도 업무용이든 주거용이든 수수료율이 몇 퍼센트건 무시하고 전세가 5천만이하는 무조건 20만원을 냈었거든요.

  • 7. 그게..
    '08.11.13 11:28 PM (121.165.xxx.105)

    윗분들 말씀처럼.. 오피스텔은 골치아파요... 통상적이라는게 없어요..
    0.9%까지 달라고 하면 줘야 하는.. -_-;;;;;;;
    원글님은 전세6700으로 잡으셔야 하니까.. 거기에 0.9%예요...
    부동산마다 다르니.. 통상적이라는게 없지요.. -_-;;;

  • 8.
    '08.11.13 11:32 PM (61.99.xxx.237)

    애궁....

    통상적으로 0.5-06%!!!!!!!!!!!

    옛날에 어떻게 했건 저쨌건 법적으로는 0.9 이내서 합의. 통상적으로 0.5-0.6!!!!!

    부동산이 자기가 아쉬우면 더 싼 값에도 중계해주겠죠.
    물론 동네마다 다릅니다. 그리고 자기가 협의하기 나름이죠.

  • 9. 원글이
    '08.11.13 11:55 PM (222.101.xxx.164)

    제가 통상적이라고 하는 의미는 주변 부동산이 이런 경우 0.5%를 보통 적용하는 데 어느 한 곳만 0.9%를 적용하진 않는다는거죠. 그랬다간 손님 다놓치니까...
    3년 전 이 동네 대부분 부동산이 상한가 20만원 일괄 적용하던 동네인데... 0.5%를 적용 20만원이 넘게 나오면 깍아준다며 20만원을 받고 20만원보다 적게 나오면 암말도 안하고 그냥 20만원 내라고 하던 곳이었거든요.(전세가 5천미만은 0.5%, 상한가 20만원이거든요)
    아무리 물가가 오르고 부르는 게 값이라곤 하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갑자기 전체적으로 0.9%씩이나 적용할 것 같진 않고 그렇다고 부동산마다 크게 차이나게 부르진 않을거란 생각인거죠.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그랬다간 손님 다 놓칠 수 있으니...

  • 10. 긍정의힘
    '08.11.14 12:11 AM (211.49.xxx.104)

    원글님이 상세히 잘 알고 계시니 제 생각엔 주변 부동산에 알아보는 척하면서 물어보시는게 정확하지 않을까요? ^^;;;

  • 11. 흠..
    '08.11.14 12:19 AM (61.99.xxx.237)

    원글님... 법규가 바뀐게 맞아요.
    2005-6년 경 중계수수료 법규인지 시도조례가 바뀌어서 애매하던 오피스텔이 확실히 비주거용으로 0.9%로 되었어요. 그 전에는 0.4% 정도였구요. 3년 전 얘기하시는 거 보니까 모르셨나봐요. 검색해 보면 금방 나오는뎅...

  • 12. ...
    '08.11.14 10:25 AM (121.152.xxx.163)

    거래전에 합의가 안된경우 통상적인건 의미가 없죠.
    거래는 일단 그 부동산에서 이루어졌고. 법적으로 유동적인 요율을 적용하는 것이니 그 안에서 합의하시는게 맞습니다. 그정도면 싸게 하신거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9399 이런저런으로 달리세요. 5 일상에 지친.. 2008/11/14 648
249398 k2여행사를 많이 이용해주세요~ 7 케사모 2008/11/13 626
249397 키티용품 파는곳 5 ? 2008/11/13 609
249396 일본 저렴하게 여행하려면 경비 얼마 정도? 7 ... 2008/11/13 1,030
249395 물민영화기사입니다. 2 물민영화반대.. 2008/11/13 332
249394 엄마가 되기 이전에 준비된 부모가 되고 싶어요. 8 준비된 맘 2008/11/13 582
249393 바개미 왜 생기나요?? ㅠ.ㅠ 10 바개미출현 2008/11/13 1,048
249392 서울국제유아교육전에 가봤더니 3 코엑스에서... 2008/11/13 782
249391 '헌재접촉' 강만수, "너무 솔직하게 답하다가 그만…" 11 이런 2008/11/13 664
249390 종부세 폐지 반대 서명 참여해주세요. 8 가영맘 2008/11/13 228
249389 <베바>는 스페셜 방송도 역시 스페셜하네요! 2 완소명민 2008/11/13 1,029
249388 미네르바님 글 모아놓은 곳 좀 알려주세요~ 3 다잡아가시지.. 2008/11/13 848
249387 우째야 좋을지... 아파트 4 열통터져 2008/11/13 1,616
249386 여권사진찍는데 얼마나 하나요? 4 사진 2008/11/13 310
249385 카바이트 불만제로 보신분? 2 . 2008/11/13 673
249384 37살에 새로운일을찾아 5 취업인 2008/11/13 1,078
249383 화장품 뭐가 좋을까요? 7 엄마에게 선.. 2008/11/13 579
249382 스페인과 그리스 다녀오신분 몇가지 질문요~ 13 8박9일정도.. 2008/11/13 642
249381 광파,스팀.. 5 오븐좀.. 2008/11/13 481
249380 듀오커플 3 궁금 2008/11/13 671
249379 혹시 홈쇼핑 먹거리중 성공하신거 있으세요? 3 홈쇼핑 2008/11/13 881
249378 오피스텔 월세 중개수수료가 얼마인지... 12 부동산중개수.. 2008/11/13 645
249377 여행출발 취소됐다더니 다시 보내준다네요. 참참 2008/11/13 306
249376 4살아이에게 파마해줘도 괜챦나요? 12 고민 2008/11/13 1,075
249375 혼자 있으니 밥 먹기가 더 힘들어 1 하늘이 2008/11/13 303
249374 "여윳돈 있으면 부동산에 투자하세요" 황당한 공무원 교육 1 이런 2008/11/13 352
249373 곰국 거리...어디가 좋을까요? 4 한우곰국 2008/11/13 509
249372 김장할 때 넣는 작은새우... 이거 통째로 갈아요? 1 임신부 2008/11/13 617
249371 원목 가구에 폭 파인 상처가 생겼는데 어떻게 메워야 하나요? 2 어익후 2008/11/13 363
249370 절임배추 20kg 4 김장걱정 2008/11/13 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