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10억 주택 종부세 260만원→20만원

그들만을 위한 조회수 : 727
작성일 : 2008-09-22 21:09:05
<종부세개편>           10억 주택 260만원→20만원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8.09.22 19:41


15억원주택은 735만원→120만원 83% 경감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정부와 여당이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을 현행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조정하고 세율을 현행 최고 3%에서 1%로 낮추는 방향으로 개편안을 마련함에 따라 9억원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사람들의 세부담이 얼마나 줄어들지가 관심이다.

우선 종부세 납부 기준이 9억원 초과로 상향조정되면 개인 주택분 종부세 납부 대상자는 총 37만9천세대(2007년 기준)에서 15만6천세대로 60% 가까이 감소한다.

9억원 초과 주택을 보유하더라도 세율이 인하되고 과표적용률이 공정시장가액(공시가격의 80% 수준)으로 변경됨에 따라 종부세 부담은 대폭 완화된다.

현재 종부세는 6억원을 부과기준으로 할 때 과세표준 3억원 이하(주택 공시가격 6억∼9억원)는 1%, 3억∼14억원은 1.5%, 14억∼94억원은 2%, 94억원 초과는 3%의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

정부는 개편안을 통해 내년부터 부과기준을 9억원으로 상향조정하는 동시에 과세표준 6억원 이하(주택 공시가격 9억∼15억원)는 0.5%, 6억∼12억원 0.75%, 12억원 초과는 1%의 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정부 개편안에 따른 세부담 변화를 살펴보면 주택 공시가격이 9억원인 경우 지난해에는 165만원의 종부세를 납부했지만 내년부터는 전액 면제받게되고, 10억원인 경우 종부세 부담액은 같은 기간 260만원에서 20만원으로 92.3% 줄어든다.

15억원짜리 주택에 대한 종부세는 지난해 735만원에서 내년 120만원으로 83.7%, 20억원짜리 주택은 1천210만원에서 290만원으로 76% 가량 각각 감소한다.

공시가격인 25억원과 30억원인 경우 납부해야할 종부세액은 지난해 각각 1천885만원과 2천560만원에서 내년 510만원과 810만원으로 72.9%와 68.4%가 줄어든다.

여기에다 고령자에 대한 세액공제 제도가 마련돼 60세 이상에서 65세 미만은 10%, 65세 이상에서 70세 미만은 20%, 70세 이상은 납부세액의 30%를 깎아주기로 세부담은 더욱 감소하게 된다.

예를 들어 15억원짜리 주택을 갖고 있을 경우 개편안에 따라 내년부터 120만원의 종부세를 납부해야 하는데 만약 납세자가 60∼65세의 고령자일 경우에는 10%의 세액공제를 적용받아 108만원만 내면 되고, 65∼70세와 70세 이상일 경우에는 각각 20%와 30%를 세액공제받아 96만원과 84만원의 종부세만 납부하면 된다.
IP : 221.150.xxx.2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_-;;;
    '08.9.22 9:23 PM (116.41.xxx.19)

    1억 3천 하는 우리 집 아파트 재산세보다 조금 많네요

  • 2. 노을빵
    '08.9.22 9:30 PM (211.173.xxx.198)

    오늘 6억에서 9억으로 조정이 확정시될듯하다더니..
    결국 니 하고싶은대로 다하는구나.

  • 3. 그러다
    '08.9.22 9:59 PM (121.191.xxx.62)

    미국처럼 부동산 버불 부추기다 그 버블로 망하리.......

  • 4. 그러니까..
    '08.9.22 10:13 PM (58.122.xxx.19)

    내가 욕이안늘고 배기냐고..-_-

  • 5. 글게
    '08.9.23 1:23 AM (121.169.xxx.104)

    그들만의 세상이 오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4381 지식채널e - 잃어버린 33년...(인혁당 사건)...펌>> 2 홍이 2008/09/22 158
234380 방귀냄새가 지독하면요 11 궁금 2008/09/22 1,626
234379 떡볶이 먹고 후회..괜찮겠죠? 9 왠지~ 2008/09/22 1,264
234378 2MB, 인터넷에 명박산성 쌓는다!!...펌>> 2 홍이 2008/09/22 176
234377 중독이네요. 7 장터 2008/09/22 669
234376 금융감독원이라는 직장 20 궁금녀 2008/09/22 7,547
234375 [양심승리][감옥에서온편지] - 이길준 080915 ..펌>>> 3 홍이 2008/09/22 173
234374 상해 미술관 가 본 적 있는 분 계신가요? 혹시.. 2008/09/22 254
234373 10억 주택 종부세 260만원→20만원 5 그들만을 위.. 2008/09/22 727
234372 제주도 유치원 애들이랑 갈 곳들 좀 알려주세요. 1 여행가서조이.. 2008/09/22 176
234371 선물 받은 와인 판매하려고 하는데요 3 궁금이 2008/09/22 568
234370 [집회알림] 9/23 청계광장 16,19시 비정규직 철폐를위한 1만인 행동 3 김민수 2008/09/22 158
234369 집에 혹시 비누 많이 있지 않으세요???? 10 많은 비누 2008/09/22 2,142
234368 김일성 독립운동설, 그게 왜 좌편향이지? 리치코바 2008/09/22 219
234367 [명박퇴진] 유모차 기자회견 후기 느즈막히 올립니다,.,,,펌>>> 2 홍이 2008/09/22 237
234366 갑자기휴대폰에 야한스팸이 많이 오는 건 왜그렇죠? 3 괜히창피 2008/09/22 473
234365 한국이 그리워요. 옹기를 어디서 구입해야할지 도와주세요 8 외국사는 아.. 2008/09/22 629
234364 지나치게 말이 많은 사람은 어떻게 대해야 하나요.. 13 압력솥 2008/09/22 5,004
234363 미림의 정체 3 / 2008/09/22 1,511
234362 이태원에서 옷사려면 어디로 가봐야 할까요 2 초행길 2008/09/22 668
234361 주택구입시 채권문의드려요 1 채권 2008/09/22 205
234360 은평뉴타운도 이런판에 또 다시 주택 500만호라 14 리치코바 2008/09/22 796
234359 초등1 튼튼영어를 어떻게... 4 영어고민 2008/09/22 454
234358 -급-조롱박 속은 먹는건가요 2 조롱박 2008/09/22 169
234357 [가르치는자의 향연] 치열한 토론만이 난국을 치유할 수 있다! 리치코바 2008/09/22 153
234356 놀이터에서 싸웟다고 집에 찾아오나요? 4 황당무 2008/09/22 779
234355 여자가 술을 넘 잘마시는거요 25 부산총각 2008/09/22 3,839
234354 제주 사시는 분들 조언 좀.. 13 제주가고파 2008/09/22 873
234353 산후조리원과, 산모두우미중 추천좀 부탁드려요 3 . 2008/09/22 287
234352 시누-새언니 간 존대 말인데요. 8 2008/09/22 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