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유럽에 계신 분 있으세요? 꽃꽂이가 좀 써 먹을 데가 있을까요?

궁리 조회수 : 433
작성일 : 2008-09-20 08:27:59
저희 어머니께서 처녀때부터 꽃꽂이를 가르치셨어요. 전시회도 몇 번 하시고...

저희 형제들 자라서 한참 입시다 뭐다 할 때는 학원은 접으셨지만 계속해서 들어오는 부탁들 위주로 일 하셨구요

옆에서 그런 것 보면서 자랐고, 또 제가 예술계통의 공부를 하는지라 취미삼아 배웠는데요,

제가 일을 거들어 좀 하기도 했구요.

유럽에서 우리나라 꽃꽂이가 써먹을 데가 좀 있을까요...?

유럽 쪽에선 꽃꽂이가 딱히 별로 없고 네덜란드 쪽이 플라워 아트는 되게 유명한 걸로 알고 있는데요

거기서 공부한 한국 분을 어쩌다 건너 건너 알게 되었는데(제가 직접적으로 잘 알지는 못해요)

잠깐 제가 계시는 이 도시에 있으시면서 웨딩이나 이쪽 일들 잡으셔서 하시더라구요...

그런데 이 분은 네덜란드에서 공부하셔서 무슨 자격증? 같은 것도 따셨구요.

아무래도 서양에서 공부하셨으니까 제가하는 거랑은 좀 다르겠죠... 스타일 같은 게.

유럽에서 이 계통 일을 하려면 자격증이라던가... 꼭 필요할까요?

만약 가능하다면 저도 어떻게 길을 뚫어서 해보고 싶은데...

저 같은 경우는 정식으로 학교 졸업하고 유럽 자격증을 딴 것도 아니고,

이 분 같은 경우는 원레 네덜란드에서 하던 연줄이 있으셔서 쉽게 일도 구하시고 그런 것 같던데

이런 틈새에 제가 끼어들 일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한국에선 아는 분들 알음알음으로 일했는데... 유럽에선 어떤 쪽으로 길을 뚫어야 할까요? 이번에 한국 갔다오며 재료를 좀 가져오고 싶은데...
IP : 87.1.xxx.20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08.9.20 11:49 AM (116.127.xxx.232)

    잘은 모르겠구요.
    외국은 플로리스트라고 하지 않나요?
    어차피 플로리스트들도 우리나라 꽃꽂이처럼
    꽃을 어떻게 조화롭고 예쁘게 꾸미냐~라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어서..
    동양적인 꽃꽂이와 비슷하리라 봅니다.
    그리고 유럽쪽은 아마도 플로리스트들이 웨딩이나
    기타 큰 이벤트의 꽃장식들 많이 할거에요.
    제가 아는건 이거밖에 없네요.

  • 2. 글쎄요.
    '08.9.20 6:47 PM (219.241.xxx.237)

    저희 엄마도 꽃꽂이 오래 하셔서 강사 자격증까지 따시고 전시회도 하고 그러셨는데요. 제가 대학생때부터 엄마에게 좀 가르쳐 달라고 했더니, 전문적으로 할 것 아니면 그냥 결혼해서 시간 날 때 서양 꽃꽂이 배우라고 하셨어요. 동양 꽃꽂이랑 서양 꽃꽂이는 문외한인 제가 봐도 많이 다르던데요. 물론 꽃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으니 훨씬 응용이 잘 되긴 하겠지만, 동양 꽃꽂이는 전체적인 선과 구도도 굉장히 중요한 것 같아요. 엄마가 작품 하나 하시면 늘 그림으로 그리고, 선 그어 놓으시고, 사진도 함께 찍으셔서 스크랩해 두시는 것을 늘 봐왔거든요.

  • 3. 서양
    '08.9.21 5:25 AM (89.224.xxx.17)

    이라하더라도 독일과 프랑스는 많이 다르다 하더군요.
    독일은 모던, 프랑스는 클래식.
    자격증이라기 보다는 수료증 같은 것이 있어요.
    그래서 한국에서 오신 분들이 잠깐 수업 듣고 수료증 들고 사진 찍고 간다더군요.
    그런데 수강료가 비싸더라구요. 수업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하루 약 3-4시간 수업에
    100-200???유로인가 했어요. 혹은 그것보다 더 비쌀수도...기억이 잘 안나네요.
    우선은 그나라 언어를 열심히 배우셔서 취업을 알아보세요.
    외국에서 잘 적응하는 길은 얼마나 그나라 언어를 잘 하느냐에 달려있다해도 과언이 아니예요.
    네덜란드가 유명하다는 얘기는 못들었어요.
    워낙 원예가 발달한 나라라서 그런가?
    별 도움이 안되는 답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3755 여자 혼자 여행하기 좋은 곳.. 3 생각 2008/09/20 1,524
233754 아침6시에 들어왔어요 8 열난다 2008/09/20 711
233753 10살 남자 애 옷 브랜드 좀 추천해주세요 8 2008/09/20 596
233752 신의저울 범인이 주인공 친구인가요? 7 드라마 2008/09/20 1,376
233751 에어컨 보관 어떻게 하세요..?? 6 에어컨 2008/09/20 637
233750 구리코스모스축제~ 1 구리 2008/09/20 263
233749 머리 좋은 사람 부러워요. 10 바람결에 2008/09/20 1,920
233748 인터넷에서 판매1위인 중국산김치 사먹도 될까요? 20 베스트 2008/09/20 1,230
233747 20년만의 총동창회란...남자들에겐 무슨 의미일까 12 동창회비30.. 2008/09/20 1,058
233746 5세아이 똥고가 헐기도하구요,빨개요. 2 여기도 아토.. 2008/09/20 459
233745 외국교환학생 프로그램에대해 아시는분 조언좀 주시겠어요? 2 혹시 2008/09/20 341
233744 유럽에 계신 분 있으세요? 꽃꽂이가 좀 써 먹을 데가 있을까요? 3 궁리 2008/09/20 433
233743 재개발,재건축 3 후후 2008/09/20 755
233742 분노 분노 분노.... 10 사랑이여 2008/09/20 1,743
233741 어디로 갈까나. 아파트 2008/09/20 232
233740 [뉴시스]법원, 촛불집회 관련 첫 무죄 판결 1 간만에 희소.. 2008/09/20 310
233739 외국생활 11 rachel.. 2008/09/20 1,349
233738 2008년에 이런 노래가. 3 제시켜 알바.. 2008/09/20 460
233737 '유모차부대' 주부탄압도 마다않는 미친 경찰. 3 배달의 혼 2008/09/20 293
233736 방금 나갔다왔지요..그리고 당나귀귀 2 니앙 2008/09/20 525
233735 월세 계약기간이 지났는데...답변부탁드려요 2 고민 2008/09/20 353
233734 외국에서 예방접종...(수두) 1 예방접종 2008/09/20 194
233733 어떤 계기로 시댁에 대드셨나요? 23 두서없는 이.. 2008/09/20 3,844
233732 보통 어린이집 몇개월부터 다니나요?? 4 엄마 2008/09/20 601
233731 전세 확정인 1 좋은 하루 2008/09/20 256
233730 고속터미널에서 질 좋고 심플한 정장바지 살 수 있는 곳 있을까용?? 2 고속터미널 .. 2008/09/20 724
233729 미꾸라지 집안의 용 , 용 집안의 미꾸라지 32 달빛 2008/09/20 4,774
233728 멍들고 치인 토마토 도려내야 하나요? 2 토마토 좋아.. 2008/09/20 475
233727 워터픽 선물하려는데, 쓰시는분 도움말좀 주세요~ 10 조중동끝 2008/09/20 962
233726 리더십 배울 수 있는 좋은 곳 추천 해주세요~ 2 리더십필요해.. 2008/09/20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