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국사 성적

학부모 조회수 : 580
작성일 : 2008-09-18 20:25:02
여기 고등학교 교사도 많은 것 같아 여쭙니다.
고1 아이(문과 예정) 국사 내신성적이  대입 내신성적으로 반영이 되나요?
대학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고1 성적은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성적이 반영되는 것으로 아는데 사회에 국사도 포함되나요?
저는 서울대만 국사가 필수이고 보통 사탐 영역으로 국사 과목은 매우 어려워  선택하는 학생 수가 적다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정보 좀 나눠주세요.
IP : 116.32.xxx.8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독평
    '08.9.18 8:27 PM (122.47.xxx.112)

    자연과학이 좋은데?

  • 2. 독평
    '08.9.18 8:29 PM (122.47.xxx.112)

    문과로 결정 하게될 큰 계기가 있습니까?
    단지 궁금해서 물어 보는겁니다.

  • 3. 독평
    '08.9.18 8:41 PM (122.47.xxx.112)

    앞으로 대학들 부전공이 필수인 시대가 온것 같드라구요.
    서울대, 고려대는 벌써 시행 하고 있습니다.
    알례로 수학과 학생들이 부전공으로 경제학 많이 선택하는 추세 입니다.
    문과생들은 아무래도 자연과학 전공자들에게 밀리지요.
    울나라도 산업구조가 첨단화 가는 추세 입니다.
    깊이 공부한 사람만 살아 남는 추세로 가니까.
    아무래도 자연과학을 전공하는것 좋겠지요.
    그리고 자기가 정말 문과중에 전공하고 싶어면 부전공으로 충분히 전공
    가능하기에 걱정 할 필요 없습니다.

  • 4. 국사
    '08.9.18 9:06 PM (125.31.xxx.3)

    내신과목의 국사는 사회로 포함됩니다
    서울대 국사 필수는 수능에서 사탐선택 과목을 말합니다

  • 5. 국사는..
    '08.9.18 9:10 PM (121.127.xxx.5)

    어렵게 생각하면 어렵지만 맘먹고 1년만 공부하면 계~~속 점수가 잘 나오는 장점이 있어요.
    문제 나올 곳이 빤하거든요.

    게다가 한번 제대로 해 놓으면 의외로 두루두루 써 먹게 되기도 한답니다.
    예를 들어 공무원 시험 같은데~

  • 6. 동방삭
    '08.9.18 9:24 PM (125.182.xxx.16)

    문과 같으면 국사 과목이 내신 산출에는 대개 포함이 되지요.
    수능에서는 사회탐구 영역이라고 해서 대학에 따라 4과목 또는 3과목을 선택하게
    되어 있습니다. 윤리, 사회문화, 정치, 국토지리, 근현대사 같은 것이 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이지요.
    국사는 예전에는 많이 선택하는 과목에 속했는데 서울대가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면서부터 서울대를 가지 않을 학생들은 이 과목을 기피하게 됩니다.
    애들말로 '깔아준다'고 하는데 즉 잘하는 애들 받쳐주는 역할밖에 못하게 된다고 해서
    그렇습니다. 그런데다 국사가 공부할 양도 많고 난이도도 높아 이래저래 학생들이
    기피하게 되었죠.
    설명하자면 복잡한데 사탐의 경우는 사실은 남이 잘 선택 안하는 과목, 어려운 과목을
    선택해서 높은 점수를 받으면 굉장히 유리하게 되어 있습니다. 표준점수가 확 높아지거든요.
    그렇게 할 자신이 없으면 남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에 묻어가는 수밖에 없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3301 돌반지 얘긴데요.. 6 저두금반지 2008/09/18 612
233300 기름값 1 차차차 2008/09/18 211
233299 명문대 이야기를 보다가... 3 ㅎㅎ 2008/09/18 846
233298 아랫글읽다가 저두 아직 용서못할 시어머니 말씀.. 38 이땅 며눌 2008/09/18 4,021
233297 외국 펀드도 다 정리 해야할까요? 9 펀드 2008/09/18 1,543
233296 유기농 채소 과일은 좀 덜 씻어 먹어도 되겠죠? 4 유기농 2008/09/18 615
233295 장안의 화제 ,언제 무슨방송에서 하나요? 3 베토벤 바이.. 2008/09/18 529
233294 웃으시겠지만.. 저 요즘 자게에 올라오는 고부관계 보면서 혼자 연극해요 8 예행연습 2008/09/18 847
233293 밀레 진공청소기 2 궁금해서 2008/09/18 535
233292 4년전 펀드도 손실이네요 ㅠㅠ;;; 6 내 펀드 2008/09/18 1,455
233291 능력없는 아주버니와 걱정되는 시댁... 39 고민 2008/09/18 3,465
233290 요즘 남편친구 아이 돌잔치에 뭘 사가나요 5 2008/09/18 513
233289 남편이 벨기에 출장간다는데... 5 날씨 2008/09/18 684
233288 고추를 바싹 말렷더 너무 말렸다고 투덜, 들말렷더니 기계상한다 투덜.. 2 비위맞추기힘.. 2008/09/18 817
233287 [반론]여자가 읽어야하는 남자의 생각 8 웃기셔..... 2008/09/18 1,266
233286 국사 성적 6 학부모 2008/09/18 580
233285 중고물품 거래 사이트 좀 알려주세요 1 이사가요~ 2008/09/18 307
233284 134회 촛불집회 6 생중계 2008/09/18 231
233283 남자는 왜 긴머리 여자를 좋아하지요?? 20 남자 2008/09/18 9,397
233282 핀란드 사시는 분.. 독일 화장품 로고나 거기서 살 수 있나요? 로고나 2008/09/18 166
233281 50~60세의 일본여성은 어떤 선물이 좋을까요? 6 전40대 2008/09/18 489
233280 그냥 드는 생각인데요. 은행 vs 부동산 2 gma 2008/09/18 726
233279 60대 중반 엄마와 서울에서 살집 추천부탁드려요.. 8 프란 2008/09/18 778
233278 새차에 껌붙인 조카 8 속상해요 2008/09/18 1,402
233277 만화책 제목 좀 알려주세요 4 아시는 분 2008/09/18 430
233276 이런 아이 어찌 키울지.. 3 부숭이 2008/09/18 756
233275 축의금이라는것이?? 2 나참 2008/09/18 415
233274 초등생이상 자녀를 두신맘들님께 여쭤봅니다 13 교육고민 2008/09/18 1,397
233273 고.현.정 26 해변의여인 2008/09/18 10,398
233272 K2(케사모)/수정완료 5 빨간문어 2008/09/18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