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지역별로 번지는 ‘작은 촛불’(언제나 사랑스러운 한겨레 기사입니다

훈겨 조회수 : 218
작성일 : 2008-08-15 10:29:33
서울광장의 촛불이 잦아든 뒤, 서울 곳곳에서 ‘작은 촛불’들이 번지고 있다. 매주 한 차례 이상 촛불을 밝히는 곳이 서울에서만 20여 곳에 이른다. 일산·광명·수원 등 경기 지역에서도 소규모 촛불집회는 이어지고 있다.
지난 13일 저녁 7시반, 서울 금천구 홈플러스 앞에 10여명의 사람들이 모였다. 이들은 조용히 촛불을 켜고 진보 성향 일간지 50여부와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과 ‘건국 60돌’ 행사 등을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전단지를 오가는 사람들에게 나눠줬다. 이날 집회는 서울에서 정확히 스무 번째로 점화된 ‘작은 촛불’이다. 이 집회에 참가한 김아무개(43)씨는 “(촛불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 지역에 꽤 많다. 이들에게 촛불의 의미를 알리기 위해 시청 앞 광장이 아닌 지역에서 열게 됐다”고 말했다.

같은 시각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6번 출구 앞에선 열대여섯 남짓한 시민들이 전구로 만든 ‘전자 촛불’을 들었다. 강남역 촛불집회는 지난 7월 초부터 평일 저녁마다 열려 벌써 서른 번 넘게 진행됐다. 양복 차림에 가방을 든 직장인과 반바지를 입은 젊은이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가했다. 밤 9시50분 집회가 끝날 때까지 모두 서른명 가량이 촛불을 들었다. 딸과 함께 쇼핑을 나온 김서영(35)씨는 “복잡한 강남 번화가에서 촛불집회가 열리는 줄은 생각하지도 못했다. (시민들) 각자가 자기 역할을 할 수 있을 때까지 하면 된다는 생각이 든다. 잊혀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하루, 금천뿐 아니라 동작·강동 지역에서도 촛불이 새로 당겨졌다. 대개 매주 한 차례 정도 열리는데, 강남·강서·관악 지역에서는 날마다 저녁 촛불을 켠다. 주로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 모이지만 우연히 지나가다 알게 돼 참가하는 시민들도 많다.

이들은 왜 지금까지 촛불을 들까? 김승태(31) 강남직장모임 카페지기는 “자기가 내켜서, 하고 싶을 때, 할 수 있는 만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참가 인원은 많아야 수십명에 불과하지만, 자발적으로 모였기에 “작지만 강하다”고 참가자들은 말한다. 강남의 경우, ‘비 오니까 하루 쉬자’는 제안이 카페 누리집에 올라온 뒤 ‘그러다 촛불이 꺼질 수도 있다’고 걱정한 사람들이 몰려 평소보다 두 배 넘는 인원이 참가한 적도 있다고 김씨는 전했다.

작은 촛불은 지역 현안을 토론하는 사랑방 같은 구실도 한다. 김종수 주민소환카페 임시대표는 “지역 주민들 중심으로 모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지역 현안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고 말했다. 포털사이트 ‘다음’의 ‘주민소환 추진 국민모임’ 카페에는 지역별 모임이 꾸려졌고, 마포·관악지역에서는 자체적인 온라인 모임이 이뤄지고 있다. 15일 저녁 7시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선 ‘이명박 심판과 민주주의 수호’를 주제로 100번째 촛불집회가 열릴 예정이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04440.html



원문 직접보시고 이쁘게 도표로 정리된 지역집회 보시고

가까우시면 참여하면 좋겠어요

IP : 125.129.xxx.26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4335 순애씨에게 질문하나입니다 1 2008/08/15 263
404334 후식으로 뭐 드세요? 2 탄수화물중독.. 2008/08/15 608
404333 오늘 은행업무 하나여? 2 에리얼 2008/08/15 271
404332 정동영씨 아버지의 희생.. 12 남원댁 2008/08/15 1,397
404331 서울시 교육감 주경복후보 < 이번 선거는 진보진영의 새로운 실험 > 3 2008/08/15 230
404330 방송국마다 다른 광복절 기념식 표기.. 3 aireni.. 2008/08/15 333
404329 개소리나 쥐소리에 답변하는법... 6 cane 2008/08/15 320
404328 6년에 1억 3000만원을 모으다 나인숙 2008/08/15 1,018
404327 고객에게 따지듯 말하는 직원 어떻게 대응할까요? 10 황당 2008/08/15 1,112
404326 진지하게 질문하고 싶습니다! 25 순애 2008/08/15 1,093
404325 식탁유리에서 냄새날 때 어떨하나요? 7 골치 2008/08/15 1,123
404324 변액ci종신보험 2 보험 2008/08/15 321
404323 유럽여행에서 선물 2 줄리 2008/08/15 347
404322 청계광장에 이승만의 얼굴이 휘날리고 있습니다. 16 실천 2008/08/15 636
404321 가정부와 어떤 노래 반찬걱정 2008/08/15 465
404320 사량도 가보신분~~ 2 사량도 2008/08/15 301
404319 wii 잘 아시는 분 답변 좀 부탁 드릴게요. 10 복잡 2008/08/15 529
404318 [8.15 승리의함성] 제 아버님은 개신교 목사십니다.읽어주시길.. ..펌>>.. 12 홍이 2008/08/15 628
404317 MB지지율왜 올랐나? …국민의 신뢰회복 아닌 ---- 9 MB씨 2008/08/15 612
404316 남편을 찾아야 할지.. 9 속터지는 아.. 2008/08/15 1,352
404315 낼 돌잔치가 있어요 요즘 돈한돈 값은 얼마쯤 될까요?? 5 돌반지 2008/08/15 697
404314 경제성장율 3%가 의미하는 것 5 겨울예감 2008/08/15 333
404313 그는 아시아대회에서 금메달을 땄었지요 3 아시아게임 2008/08/15 504
404312 충북도의원간 노상 취중 폭력 추태 3 창피해 2008/08/15 158
404311 몽산포해수욕장숙박추천해주세요 3 몽짜 2008/08/15 161
404310 광복절 조기를 게양하며 6 구름 2008/08/15 301
404309 지역별로 번지는 ‘작은 촛불’(언제나 사랑스러운 한겨레 기사입니다 2 훈겨 2008/08/15 218
404308 결혼후 해외여행 15 여행조아~ 2008/08/15 1,353
404307 동사무소나 시청 토요일에 업무 하나요? 2 학생여권만들.. 2008/08/15 1,058
404306 염증과 환멸을 느낀다는 글을 쓴 아줌마....예요.. ^^ 13 ... 2008/08/15 1,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