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지방상수도 광역화·전문관리로 연간 2,000억원 원가절감 기대

보도자료 조회수 : 482
작성일 : 2008-05-29 11:25:53
http://www.mopas.go.kr/gpms/index.jsp
행정안전부에 보도자료 올라와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표가 붙여넣기가 안되는군요.

정부·지자체
깨끗하고 저렴한 수돗물 공급에 적극 나선다
- 지방상수도 광역화·전문관리로 연간 2,000억원 원가절감 기대 -


□ 행정안전부(장관 원세훈)는 지방상수도의 원가절감과 비효율을 개선하여 깨끗하고 값싼 수돗물을 국민들에게 공급하기 위해, 시도 기획관리실장 회의(5.29)를 개최하여 “지방상수도를 권역별로 광역화하여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 이번에 마련한「지방상수도 전문기관 통합 관리계획」은 그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지방상수도의 누적적자와 수질에 대한 국민불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서,

  ○ 그간 전문기관을 통한 기초조사, 수차례의 관계부처 협의, 자치단체·전문가 의견수렴, 비용·효과성 검증 등을 거쳐 안을 마련하였다.



□ 금번 계획은 소유권을 민간에 이전하는 민영화방식이 아니라, 수도서비스의 공공성을 유지하면서 광역적 관리와 전문경영을 통한 원가절감으로 중장기적인 수도요금 안정화와 수질개선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먼저, 시군지역은 수계, 상수도망 등을 고려하여, 3~15개 자치단체간 권역별로 광역화하여 전문기관이 관리하도록 하고,
  ○ 7개 특별시·광역시는 구조조정 등 경영혁신 후, 자율적 판단에 따라 단계적으로 공사화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 155개 시군이 20년간 광역화하여 전문기관에 관리를 맡길 경우, 연 2,000억원 이상의 원가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상수도의 광역관리를 추진하게 된 배경에는, 현재 각 지자체별로 운영하고 있는 상수도사업이 계속된 적자와 전문인력 부족으로 관리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 매년 1천억원 이상의 지자체(7개 특·광역시 제외) 예산이 상수도 운영에 지원되고 있어 지방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 상수도 운영을 위해 지원하는 금액>      (단위 : 억원)




    - 만성적인 적자로 인해 노후관 교체 등 시설투자가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는 생산원가를 상승시켜 요금인상 요인이 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 최근 4년간(‘03~’06) 생산원가 18.1%, 요금 8.4% 상승
  ○ 또한, 지역간 재정능력․지리적 특성에 따른 도시지역과 산간오지지역간의 요금 및 물서비스의 불균형도 심화되고 있다.

       <상수도 요금 부과 사례>                                     ( ‘06년도 )


  ○ 상수도 관리 전문인력과 투자 부족으로 상수도망에 대한 기초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간 누수로 인한 손실이 5천~8천억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이번에 마련한 지방상수도의 전문기관 통합관리계획은, 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추진협의회를 구성하여 도입여부와 운영방식을 결정하며, 정부는 추진방향과 다양한 대안들을 제시하고 행·재정적 지원을 하는 한편, 요금안정화․수질개선 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 그 구체적 내용을 설명드리면, 우선, 시군지역은 3~15개씩 권역별로 광역화하여 전문기관을 통한 관리를 유도할 예정이다.
    - 이번에 제시된 통합권역(안)은 기존 수계와 행정구역, 상수도망 등을 고려하여 마련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해당 시군들은 「추진협의회」를 구성하여 권역설정, 관리방안 등을 자율결정․추진토록 하였다.

  ○ 일정규모의 인구․설비․전문인력을 갖추고 있는 7개 특·광역시는, 자체계획에 따라 조직 슬림화 등 경영합리화를 먼저 추진한 후, 실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공사화 등을 추진토록 할 계획이다.
    - 정부는 공사화를 추진하더라도 수도서비스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자치단체의 지분을 51% 이상 유지토록 할 계획이다.


□ 광역화·전문관리에 따른 효과를 추계한 결과, 155개 시군이 20년간 관리를 맡길 경우, 종사인력이 2,084명(7,283명→5,199명) 감축되고, 유수율(정수장에서 보낸 물의 양과 요금으로 거둘 수 있는 물의 양의 비율)이 75%에서 83% 정도로 제고됨으로써, 20년간 연평균 2,000억원 이상의 원가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 원가절감 된 부분을 다시 노후관 교체 등에 재투자함으로써 수질 개선은 물론, 생산원가가 절감된 부분만큼, 자치단체 부담 감소로 요금현실화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전문관리가 되더라도 원가절감으로 인해 해마다 확정되는 수도요금의 상승폭도 현행 체제보다는 오히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아울러, 정부는 물은 모든 국민이 보편적으로 제공받아야 하는 기본적 서비스라는 인식에서, 물 서비스의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마련하였다.

  ○ 첫째, 현재와 같이, 상수도 시설에 대한 소유와 수도요금의 결정과 징수는 해당 지자체(지방의회 심의)에서 담당하고, 전문기관은 수도시설의 관리·운영만을 담당하게 된다.

  ○ 둘째, 전문기관 관리에 따른 대가는 매년 자치단체(의회)에서 타당성을 검토하여 결정함으로써, 상수도요금을 통제할 수 있다.

  ○ 셋째, 전문관리 기관은 수질개선 향상도를 사전에 지자체에 제시토록 하고, 자치단체는 이를 주기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수질개선 향상을 점검할 수 있다.

  ○ 넷째, 전문관리 기관의 불법파업에 대비하기 위해 “필수 공익사업장”으로 업무협정을 체결토록 할 계획이다.

□ 정부는 금번 계획들이 자치단체에서 실효성 있게 이행될 수 있도록, 광역화 관리 등에 참여하는 자치단체에 대해 지역특성과 재정력 등을 고려하여 특별교부세, 국고보조금, 각종 세제혜택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 우선, 금년에 전문기관 관리를 실시하는 시군에 대해서는 10억원 정도의 특별교부세를 지원하며,

    - 특·광역시의 경우, 공사화 추진 정도와 재정력 등을 감안하여 별도 지원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물은 전기, 가스 등과 함께 보편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임을 감안, 지리적 특성 등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타 지역보다 전문기관 관리 대가를 많이 부담하는 벽지나 오지지역에 대해서는 보통교부세 수요에 반영하여 부담을 완화해 줄 예정이다.

  ○ 또한, 매년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상수도사업의 경영효과성을 평가하여 별도 인센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다.

□ 향후, 정부는 지방상수도의 광역화 및 전문기관 관리 등 경영개선이 실효성 있게 이행될 수 있도록,

  ○ 관할 시도가 중심이 되어 전달회의 등을 통해 각 지자체의 자율적 협의회 구성․추진을 지원하도록 독려 할 계획이며,

  ○ 6월 중으로 「표준통합관리계약서」(안)도 마련하여 시달할 계획이다.

  ○ 아울러, 지자체의 자율적 판단과 선택에 의해 금번 계획이 조속히 확산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원과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수도시설의 소유권과 관리책임을 민간으로 넘기는 ‘민영화’와는 달리,
   ○ 전문기관이 관리하더라도 자치단체는 수도시설의 주인으로서 전문기관을 통제하게 되고, 전문기관은 시설의 관리만을 담당

□ 물 서비스는 국가가 보편적으로 제공하는 공공재로서 유지되어야 한다는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으며,
   ○ 수도요금의 결정과 부과는 자치단체가 담당하고, 주기적 수질개선 향상도에 대한 평가와 ‘필수유지업무협정’을 조건으로 관리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물 서비스의 공공성을 유지할 계획임


□ 전문기관에 관리를 맡기더라도 수도요금은 현재와 같이 지방의회 의결을 거쳐 시장․군수가 결정하고, 전문기관은 대가만 받기 때문에 급격한 요금상승은 없음
   * 현재 전문관리를 맡기고 있는 대부분의 자치단체의 경우, 수도요금에 변화가 없음

            <전문기관 관리 후 평균 수도요금 비교>          (단위 : 원/톤)

□ 오히려, 누수를 막고 시설을 현대화 하는 등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조건도 관리계약에 포함할 수 있어, 요금인상 요인을 줄일 수 있음

□ 정부가 제시한 통합권역(안)은 권장(안)으로 지자체에서는 지역의 실정과 상수도사업의 특성에 따라 자율적 권역설정이 가능
   * 예) 김포시가 통합권역(안)에서 제시된 ‘경기서부권’에 참여하지 않고, 서울특별시 공사설립 시 지분참여 가능
   ○ 또한, 권역설정과 세부관리방안 등 주요사안은 자치단체간 ‘통합관리 추진협의회’의 합의를 거쳐, 해당 지방의회 승인을 통해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안임

□ 정부는 통합관리의 다양한 대안들을 제시하고, 통합관리가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법·제도의 개선과 행·재정적 지원을 할 계획임


□ 현재, 논산 등 13개 지자체(‘08년 현재)가 지방상수도를 수자원공사에 전문관리 중
   ○ 수도사업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주요지표인 유수율이 평균 9.6% 증가
      * 최근 10년간 전국 평균 유수율 증가율은 0.83%
〈수자원공사 운영 후 상수도 유수율 제고 실적 : 8개 지역〉

    * 운영 기간이 1년 미만인 4개지역(거제, 양주, 나주, 단양)과 천안(공업)은 제외
   ○ 그 외, 노후정수장 교체 등으로 수돗물 서비스가 나아지고 있음에도, 대부분 지역에서 요금인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 수도사업을 전문기관이 관리할 경우, 고용승계를 조건으로 할 수 있고, 공무원들도 고용전환 여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음

  ○ 고용전환 인력에 대해서는 호봉산정에 기존 공무원경력 인정, 희망근무지역 선택, 전문기관 직원과 동등한 정년․신분을 보장하도록 계약에 명시함으로써 신분상 불이익이 없도록 할 계획임

   * 양주시의 경우, 희망 공무원 32명이 수자원공사 직원으로 고용전환됨

□ 또한, 공무원 경력 20년 미만 종사자들에 대한 20년 연금 한정가입방안 등 특례부여 방안을 검토 예정



□ 선진 외국의 경우에도, 대부분 우리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방식인 작은 시설간의 통합, 전문기관 관리 방식을 추진

<외국의 수도사업 경영합리화 >

□ 또한, 수도시설의 완전한 민영화에는 한계가 있어, 전문기관의 경영기법을 도입하되, 요금결정을 지방정부가 하는 등 수돗물의 공공서비스 기능을 보완하는 추세
IP : 59.16.xxx.28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5.29 11:32 AM (211.47.xxx.19)

    http://www.mopas.go.kr/gpms/index.jsp

  • 2. 이게
    '08.5.29 12:06 PM (125.181.xxx.9)

    민영화 시킬때 따로 떼어 팔기 좋게 광역화하고, 나누어 두는거 아니겠습니까?
    (같은 맥락으로 한전도 동부발전이니 서부발전이니... 이런 식으로 떼어둔겁니다)
    정말 속 보이는 짓 그만하고 국민들이 원하는 것이나 제대로 읽어줬음 좋겠습니다.
    조만간 대운하도 이런 식으로 발표할텐데...
    국민들은 안중에도 없는 귀하신 대통령님 덕분에 어찌할 방법도 없이...
    너무 답답하고 속상합니다...ㅜ.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8345 어제밤 자삭하고 다시 등장했던 글에 대한.. 4 궁금 2008/05/29 900
388344 오마이뉴스랑 한겨레 들어가지시나요? 4 신문 2008/05/29 641
388343 독재시대가 다시 돌아온거 같아요. 1 서민 2008/05/29 380
388342 [긴급!!!!!!!] 12시...광화문 입니다...퍼트려 주세요.. 쥐약장사 2008/05/29 452
388341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부동산 관련) 2 ??? 2008/05/29 425
388340 중앙일보 보라고 사람이 자꾸 오네요... 4 ㅡㅡ 2008/05/29 415
388339 이나라가 미쳐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 광우병소고기.. 2008/05/29 264
388338 지역의원사무실에 전화해서 뭐라해야할지.. 1 . 2008/05/29 184
388337 (마클 펌) 27일 저녁 석방된 남자의 이야기 2 마이클럽 펌.. 2008/05/29 675
388336 또 나쁜넘들은 민주당의원입니다. 9 정말 2008/05/29 1,043
388335 수도모니터 했었는데... 1 한때 2008/05/29 394
388334 대구 분들 보세요 9 택시기사 2008/05/29 890
388333 글들이 계속 삭제되고 있어요 1 다음 아고라.. 2008/05/29 562
388332 강기갑 “고시 강행하면 특단의 결심할 것” 1 광우병소고기.. 2008/05/29 882
388331 다함께 확성녀 문제 아고라 대책회의 결과 ..펌>> 2 .. 2008/05/29 1,057
388330 고시는 2시라네요..4시는 물타기인가봅니다. 6 하늘이 원망.. 2008/05/29 691
388329 지방상수도 광역화·전문관리로 연간 2,000억원 원가절감 기대 2 보도자료 2008/05/29 482
388328 김영덕 의원 사무실에 전화했습니다. 두려움을 분.. 2008/05/29 314
388327 농림부 정수경 사무관 "우리는 과연 누구를 위해 일하고 있는지.." 4 aireni.. 2008/05/29 886
388326 수도 통합 관리 방안이랍니다. 7 ... 2008/05/29 542
388325 아고라 펌] 수도민영화 공문 4 촛불 2008/05/29 489
388324 [펌]한겨레 팔지 말라고 했다는데요.. 9 내눈이 의심.. 2008/05/29 1,036
388323 앉았다 일어설때 무릎이 멀로 찌르는거 같아요. 5 무릎이 2008/05/29 481
388322 강동구 국회의원에게 전화하려고 합니다. 요령 좀 알려주세요. 5 소심 2008/05/29 206
388321 민영화되면 어케요 못돌리는데 ㅠㅠ 2008/05/29 394
388320 성경말씀에 이런 글이 있습니다. 5 d 2008/05/29 697
388319 지정환임실피자에서 답변이 ㅋ 2 . 2008/05/29 968
388318 글 지웁니다. 8 ... 2008/05/29 825
388317 치아미백해보신분 효과있던가요? 8 오후4시에고.. 2008/05/29 933
388316 노무현 대통령의 혜안..시민들의 참여에 의한 시민민주주의 1 .. 2008/05/29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