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부동산 버블 붕괴 남의 일 아니다

. 조회수 : 722
작성일 : 2007-12-18 20:30:04
기고/김광수]부동산 버블 붕괴 남의 일 아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9월에 서브프라임론 부실 사태로 인한 손실 규모가 최대 1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았다. 그 후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는 손실 규모를 최대 2000억 달러로 추정했으며, 벤 버냉키 FRB 의장도 1500억 달러 이상일 것으로 전망을 수정했다. 외국계 금융기관들은 손실 규모가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7∼9월 미국과 유럽의 대형 은행그룹과 주요 금융기관의 서브프라임론 관련 손실이 발표되면서 주가가 절반 이하로 급락하는 종목이 속출했다. 10∼12월 손실 규모는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태가 악화되자 조지 W 부시 미 행정부는 서브프라임론 사태에 대한 종합구제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08년부터 금리가 7∼8%에서 9∼11%로 상승하는 변동금리부 서브프라임론(ARM) 대출자만 대략 180만 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국내 부동산시장의 경우, 일반은행은 무리한 부동산 관련 대출과 예금의 증시 이탈로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 일반은행이 자금 확보를 위해 양도성예금증서(CD)와 단기외화차입, 은행채 등을 남발해 금리가 상승하더니 11월부터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은행의 과다대출은 2005년부터 확대돼 올해 들어 사태가 매우 심각해졌다. 은행이 증권시장과 단기외화차입을 통해 자금을 대규모로 조달하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다. 1980년대 말 일본의 버블 상황과 똑같은 상황이 한국에서 재현되고 있는 것이어서 우려스럽다.

최근 한국은행도 서브프라임론 사태 이후 국내에서 신용도가 낮은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34조 원에 이른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12∼13% 규모로 미국의 서브프라임론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했다. 금융기관별로는 은행권이 19조 원으로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9%인 반면 보험,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은 15조 원으로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25.1%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투기적 가수요를 포함한 국내 아파트시장의 수급을 우리 연구소에서 분석해 본 결과 지방은 66만 채 이상의 잠재적 공급 과잉 상태에 있고, 수도권 역시 공급 부족이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2001년 이후 온갖 투기적 가수요를 제외한다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역시 사실상 상당한 수준의 공급 과잉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은행의 자금 부족으로 인한 금리상승 압력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다. 그래서 1억∼2억 원 또는 그 이상의 은행 및 금융기관 대출을 끼고 아파트 등을 산 사람은 늘어나는 이자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차기 정권을 누가 잡더라도 부동산 투기로 인한 아파트 가격 급등을 방치할 수 없다. 참여정부가 무너진 결정적 요인은 부동산 투기 대책 실패이기 때문이다.

이미 한국 경제는 부동산 투기 대책 실패로 인해 총체적 위험수위에 이르렀다. 미국과 일본 등 외국에서는 한국 부동산시장의 버블이 터지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본다. 지금이라도 무리한 대출로 부동산을 산 사람은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낮은 가격에라도 손절매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 늘어나는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파산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기 때문이다.

김광수경제연구소 소장





IP : 222.106.xxx.66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1841 임신 8개월, 정맥류때문에 우울하네요...... 5 임부 2007/12/18 395
    161840 책상과 책장을 팔고 싶은데요...어떻게 하면 될까요? 3 책상,책장 2007/12/18 478
    161839 언제쯤 여자는... 6 제 나이 마.. 2007/12/18 1,393
    161838 부모님들 누구 찍으실지 정말 궁금하네요. 6 느무 궁금 2007/12/18 421
    161837 요즘 강화도에 놀러가면 어떨까요? 2 가고파 2007/12/18 469
    161836 요즘은 귀를 어디 가서 뚫나요? 6 소박한질문 2007/12/18 698
    161835 왜 초저녁부터 지금까지 MB이만 나와서 연설하나요?(동영,회창은 어디가고~) 4 이상해요 2007/12/18 553
    161834 역시 선거 때는 인물이 중요한가 보네요. 14 그밥에그나물.. 2007/12/18 853
    161833 남자 아이용 침대 캐노피 만드는 방법 아세요? 엄마는 어려.. 2007/12/18 182
    161832 가구(책장,책상,피아노등..) 옮길때...도와주는곳 있나요? 3 가구 옮길때.. 2007/12/18 398
    161831 일본 NHK뉴스의 한국대선 분석 10 ... 2007/12/18 1,021
    161830 베란다 확장에 대해서 여쭤볼게요 4 아파트 2007/12/18 484
    161829 세탁소 이젠 못 믿겠어요.ㅠ.ㅠ 3 섬유린스 2007/12/18 1,043
    161828 구매대행 어떻게 하면 성공할까요? 1 구매대행 2007/12/18 365
    161827 집을 어찌해야 할까요 이사 2007/12/18 370
    161826 한가한 여러분 안녕^ㅁ^ 2 호호 2007/12/18 381
    161825 내일 이맘때 생각하면...ㅠㅠ 7 답답합니다... 2007/12/18 616
    161824 노무현대통령의 실책... 28 몰라서 여쭤.. 2007/12/18 2,185
    161823 크리스마스 선물..어떻게 받아낼까요?^^ 2 앙큼~~ 2007/12/18 289
    161822 방금 2번 찍으라고 이웃할머니 다녀가셨네요,,ㅜㅜ 16 아무래도,... 2007/12/18 1,383
    161821 인테리어시.. 1 궁금 2007/12/18 194
    161820 치과서 견적을 받고왔어요 3 크림치즈 2007/12/18 544
    161819 저도 아미쿡 대열에 끼였어요.^^ 4 아미쿡 2007/12/18 530
    161818 문후보 지지자들만 보세요 19 종각유세 2007/12/18 985
    161817 부동산 버블 붕괴 남의 일 아니다 . 2007/12/18 722
    161816 MRI 사진이 잘못 나왔을때 푸르른날 2007/12/18 268
    161815 시래기를요.. 글쎄.. 2틀이나.. 깜박잊고.. 물에 담그어 두었네요.. 1 어쩜좋을꼬?.. 2007/12/18 388
    161814 “‘나’라고 한적 없다” 나경원 대변인 패러디 화제 15 코미디야 2007/12/18 1,391
    161813 인터넷으로주문하고인천공항에서인도받을때 4 면세점 2007/12/18 308
    161812 낼 은행 쉬나요? 1 궁금 2007/12/18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