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주택보유세 외국은 어떤가요?

영국집주인 조회수 : 1,534
작성일 : 2007-12-02 21:23:41
저는 영국에 집이 있습니다. 영국에는 보유세는 없고 1주택자는 양도세도 없습니다. 2주택 중 1주택을 팔게 되면 양도차액의 20~40%의 세금을 낸다고 합니다. (보통 30% 내외를 내게 되죠...)

평소에 거주세라고 집주인이 아니고 거주인이 내는 지방세인 Council Tax가 있습니다. 집값에 따라서 한 달에 100~200파운드, 대충 20~40만원을 냅니다. 집값 얼마 이상은 200파운드... 이렇게 집값 아무리 싸도 100파운드 정도는 내고, 아무리 비싸도 200파운드 이상은 안 냅니다. (지방마다 세액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학생은 안 내고요... 저소득자나 연금생활자도 혜택이 있습니다. 걷힌 세금으로는 거리 청소관리, 소방서, 경찰서 뭐 이런 것을 운영합니다.

한국에 와 보니 재산세에 보유세까지... 그 것도 누진으로... 영국도 집값 폭등일 때가 있고 런던은 서울 저리가라하고 집값이 비싸지만, 정부가 세금으로 집 값을 잡겠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입니다.

미국은 주마다 다르지만 산 집값의 1%를 내고 양도세에서 제한다 뭐 이런 식이라고 들었는데요...

82에는 여러나라 분들이 계시니 다른 나라 보유세를 소개해 주실 분 계신가요...
IP : 219.255.xxx.183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7.12.2 9:58 PM (212.120.xxx.146)

    혹시 Capital gains tax 말씀하시는건가요?

    http://en.wikipedia.org/wiki/Capital_gains_tax
    여기 가면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데요..제가 사는 동네는 offshore로 이 택스가 없어서 부동산 투기 한 사람들 돈 많이 벌었죠~

  • 2. ㅎㅎㅎ
    '07.12.2 10:01 PM (211.196.xxx.56)

    사회주의 국가인 영국하고(소위 페이비안사회주의라고 하죠) 자유주의 국가인 우리나라를 비교하면 안되지요. 그럼 공산주의국가는 아예 세금도 없으니 더 좋겠네요.

  • 3. 영국집주인
    '07.12.2 10:07 PM (219.255.xxx.183)

    다른 나라 집 가지신 분 안 계신가요? 원하는 답이 없네요.

  • 4. 영국집주인
    '07.12.2 10:28 PM (219.255.xxx.183)

    영국도 집값 폭등으로 문제가 많습니다만 정부와 국민이 그걸 풀어 가는 모습은 정말 다르네요. 어쨌든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다른 나라 보유세에 관한 것인데, 미국이나 일본 사시는 분 안 계신가요.
    원하는 답을 가진 분의 답글은 없고......

  • 5. 미국은
    '07.12.2 10:31 PM (61.99.xxx.247)

    카운티 (우리 나라로 치면 군과 구?) 마다 지방세로 대략 1% 내외로 걷지요. 그 중 40% 정도가 그 동네 학군 교육에 투자되고 나머지는 동네 공원, 소방서, 경찰서, 각종 시설 등등에 쓰입니다.

    그러니까 종부세 이전 우리 나라 지방세와 유사하죠.

    보통 첫 집 마련이나 이런 경우 모기지 이자에 대해 세금 감면 혜택이 있어서 실제 내는 세금은 많이 줍니다.

    양도세는 따로 없구요. 집 팔 때 양도차익 (판 집값?) 만큼이 소득으로 계산되어야 해요. 그래서 소득세 보고 할 때 함께 하죠. 하지만 보다 비싼 집을 사면 그게 또 비용으로 처리되어 낼 필요 없구요.

    딴 걸 몰라도 미국에서 집 사면 세금을 1.5% 낸다고 종부세를 정당화 하는 건 별로 도움이 안되는 거 같아요. 걍 사회정의니 한국적 상황이니.. 이런 게 말이 되지요.

  • 6. 조금만
    '07.12.2 10:33 PM (125.129.xxx.178)

    기다리면 답변다는 분 계실겁니다.

    그리고 일본에 대해서 저도 아주 약간 아는 데요.... 우리나라 주택문제가 일본처럼 흘러가면 정말 주변에 자살할분들 많을 겁니다.
    일본 부동산 거품 깨진것이 사실 몇년 전이거든요. 그로 인해 일본 은행들 한때 상당히 위험했고 10년 불황으로 인한 경기부양책으로 지금 일본 경제가 겉으로는 좋은 것처럼 보이지만 정부국채가 과도해서 상당히 위험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 7. 영국집주인
    '07.12.2 10:34 PM (219.255.xxx.183)

    아... 반가운 답글이네요.
    그러게요... 영국도 보유세가 없는데 종부세 시작하면서는 영국 보유세가 2%대라고 거짓 자료를 내더라구요.

  • 8. 미국은
    '07.12.2 10:43 PM (61.99.xxx.247)

    왜 전세계 거의 다수의 부동산 폭당한 해당 나라가 금리로 집 값 잡으려는데 (대출규제야 금융기관별로 어차피 시스템상 이루어지고 있었으니...) 세금으로 때려잡으려고 하니 좀 갑갑~하죠.

    니들 부동산 투기로 돈 벌여먹었으면 집 팔고 이사가! 이렇게 윽박지르는 게 잘 먹히겠어요?

  • 9. 영국의
    '07.12.2 11:33 PM (203.81.xxx.93)

    집값은 거의 상상초월이던데요..특히 런던은.
    그리고 월세도,,우리돈 300-500은 우습던데..
    제가 아는 영국인 40 노총각 한분은 집살돈이 없어서 전문직임에도 걍 죽 연애만 하시공..

    런던에 2달여 있으면서 궁금했던건...
    결혼하면 집을 어떻게 살까?
    하고, 낮에 아기데리고 놀이터와서 노는 주부들을 볼때, 저집 남편은 얼마나 벌길래 월세 내가며 와이프는 아이만 키울 수 있을까? 하는 거였구요

    런던이나 기타 다른 유럽의 집값에 충격을 받아...우리나라 집값 결코 거품아니다를 주장하며 지난해 12에 꼭지잡아 집샀어요..
    지금, 그 대출이자에 휘청거리고 있지만..아직도 서울 집값 거품아니다를 우기고 있음다..

    거품아닌 집값 잡는다고 어리석은 대책만 내세우는 정부가 한심스럴 뿐이예요..이러다 월세랑 전세만 더 올라가고..결국 집값은 더올라가고...악순환 아닐까요?

  • 10. 밥통
    '07.12.3 12:38 AM (69.248.xxx.24)

    집 보유세인지는 모르겠지만, 집에 관련해서 내는 세금이, 주마다 지방마다 도시마다 다르지만 대충 법적으로는 1%-5% 입니다. 저희는 집이 2 있는데, 하나는 법적으로는 1% 내고 하나는 3% 냅니다. 그렇지만, 실제 집값에 비하면 약 1% 랑 1.5% 냅니다.

  • 11. 밥통
    '07.12.3 1:20 AM (69.248.xxx.24)

    우아...다시 확인 해 보니까... 더 높아 졌네요. 그 사이에...

    3.757%

  • 12. ...
    '07.12.3 8:48 AM (116.64.xxx.89)

    일본은 1가구 1주택이라도 무조건 양도차익의 50%는 세금을 내야 한다고 들었구요
    보유세에 해당되는 격인 토지세도 무척 세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워낙 집값이 오르지 않아 어차피 50%의 양도세를 내는 경우는 별로 없어서 양도차익의
    50%는 유명무실한 애기입니다.

    동경이 집값 안 오르기로 유명하지만 그렇다고 싼거는 아닙니다.
    오래된 낡은 집은 싸지만 위치 좋은 신축 맨션은 무지 비쌉니다.
    비싼집은 우리나라 못지 않습니다

  • 13. 호주맘
    '07.12.3 11:04 AM (220.238.xxx.157)

    호주는 보유세는 없구요, 카운실택스가 일년에 백만원정도? 카운실 마다 다르구요. 땅값이랑 생활수준이 높은 곳은 좀 더 비싼 거 같았구요.

    실거주주택 한곳에 대해서는 매매시에 전혀 세금이 없습니다. 다만 구매시에는 누진세 비슷하게 % 세금이 있구요.

    실거주 주택 1이외에 투자로 구매한 부동산에 대해서는 모두 capital gains tax 가 붙습니다.
    다만 개개인의 소득에 따라 %로 매겨지구요.

    호주 세금시스템이 젤 복잡하다지요, 매해 법이나 세율또한 바뀌구요. 소득에 따른 평형성을 주기 위해서 그렇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8211 아기들 분유 몇개월까지 먹이셨나요? 5 하미 2007/12/03 474
158210 김수연 아동발달센터 하시는 김수연 선생님이요... 12 부모 60분.. 2007/12/03 1,521
158209 저 학교 다니던 시절의 선생님들... 4 ㅠㅠ 2007/12/03 912
158208 [스크랩] 무서운 나라입니다.-정치 컨설턴트의 분석(펌) : 삼성은 이명박을 밀고있고, 가.. 5 .. 2007/12/03 720
158207 (급)인감도장 분실?? 도와주세요 2007/12/03 145
158206 에휴~~ 종부세 종부세 하는데 지방은 영~ 딴 나라 얘기네요.. 6 지방사람. 2007/12/02 781
158205 유치원방학 방학 2007/12/02 169
158204 23평형 거실에 소파 놓으면 많이 좁을까요?? 10 가구가구 2007/12/02 1,064
158203 목돈을 굴린다면 잠시동안 2007/12/02 247
158202 7세가 다닐 영어학원 추천해주세요(서초동) 2 큐브 2007/12/02 632
158201 조상꿈을 꾸면 나쁜일이 있나요? 4 궁금이 2007/12/02 677
158200 특목고 진학을 하기 위해서 14 궁금.. 2007/12/02 1,214
158199 어느 아침 방송에 미역귀가루에 대한 내용이 나왔나요? 2 미역귀 2007/12/02 459
158198 꿈을 꿨는데...뒤숭숭한 꿈이네요. 2 뒤숭숭 2007/12/02 255
158197 학교다닐때 맞았던 기억 5 29 2007/12/02 463
158196 조선일보 홈피 들어가긴 했는데... 거실을 서재로 행사 참여가 어려워서요 ... 2007/12/02 253
158195 ^6^ 문국현후보 tv용 홍보영상입니다 5 tomato.. 2007/12/02 215
158194 유치원 졸업 해야 하나요? 4 .. 2007/12/02 448
158193 태국 갈건데요, 몇 가지 여쭤 볼라구요^^ 13 여행 2007/12/02 692
158192 코스트코 3일부터 추가 쿠폰 알려주세요. 2 궁금 2007/12/02 662
158191 우리 올케가 예쁜 이유... 15 시누이 2007/12/02 4,432
158190 큰아이가 홍역같은데요...(급) 4 아기맘..... 2007/12/02 223
158189 구매대행 문의!! 1 ^^ 2007/12/02 300
158188 일산에서 쌍커플 잘하는 병원 3 쌍커플 2007/12/02 323
158187 초2 남학생이 읽을만한 책 좀 알려주세요 5 고민녀 2007/12/02 424
158186 유치원 졸업앨범 사주어야 할까요? 2 .. 2007/12/02 515
158185 1가구 1주택이 투기라는군요... 21 .... 2007/12/02 1,625
158184 닌텐도게임팩중에 6 .. 2007/12/02 492
158183 유모차 문의 5 진원맘 2007/12/02 390
158182 주택보유세 외국은 어떤가요? 13 영국집주인 2007/12/02 1,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