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도가니 끊이기

김은희 조회수 : 698
작성일 : 2007-11-12 13:06:15
처음으로 장터에서 도가니를 구입해서  끊여보려고 하는데요..
  도가니를 처음해 보는거라 걱정이 앞섭니다.

요리법을 찾아보니 1.5 kg기준으로 양파 1개 무 1/4개  물 2L 이더라구요.
저는 5 kg를 구입할건데 그럼 5kg를 모두 다 한꺼번에 하면  양파 4개 무 1개 물 6.5L 정도 넣어서 한꺼번에 끊이면 되나요?

그리고 물은 어느정도 보충해 주나요? 요리법은 적당히 보충해 주라고 하는데 잘 모르겠어요.  만약 6,5 L의 물를 넣었을 때  완전히  긑난 상태에서  어느정도의 도가니가 나와는 것이  좋은가요?  예를들어 전체 6.5 L의 1/3정도가 쫄은 것이  좋나요 아니면 물이 1/2 정도 쫄이는 것이 좋나요?

또 끊인다음에 냉동실에 넣어두었다가 꺼내 해동해서 도가니에 물을 한 컵 정도 넣고 끊여서 먹는다고 쓰여 있는데  물은  왜 넣는 건가요?  그리고 도가니 어느 정도  양에 물 한컵인지 잘 모르겠어요..  

이미  해 드신 분 도가니 끊이는 방법 좀  자세히 알려주세요..
IP : 125.241.xxx.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도가니
    '07.11.12 1:21 PM (211.218.xxx.61)

    끓이기 입니다... 자판을 잘못 치셨나 봐요
    그리고 잘 모르지만 사골이나 곰국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 2. ㅋㅋ
    '07.11.12 1:27 PM (61.81.xxx.120)

    저두 끊...이게 계속 걸렸었는데..ㅎㅎㅎ

  • 3. ^^
    '07.11.12 1:41 PM (125.129.xxx.105)

    가끔보면 끓인다를 끊인다로 쓰시는 분들이 계세요

  • 4. 방법요.
    '07.11.12 3:10 PM (125.143.xxx.44)

    도가니 레시피에 중량으로 표기는 되어있지만 대게 눈대중으로 끓이죠 일단 물의 양이 중요하긴 하지만 불의 세기에 따라 줄어드는 물의 양은 다릅니다.
    첫물은 팔팔 끓여서 거품 및 불순물 제거하시어 버리신다음 다음 물을 한시간 정도 센불에 끓이세요 다음은 중불에 한시간 끓시고 난후 물의 양은 반정도로 줄어 있을것 같네요.
    그후 도가니를 꺼내서 잘발라 내시고 뼈는 다시 들통에 담가서 다시 국물을 내시면 됩니다.
    원 국물은 진하게 드시려면 그데로 드셔도 되고요 첫물과 도가니를 발라낸 후 우려낸 국물과 섞어서 드시면 더 좋습니다.
    첫 국물은 너무 진하거든요.
    남은 뼈는 삼탕 내지는 오탕까지도 해서 먹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3925 친구의 귀차니즘 3 친구얘기 2007/11/12 1,025
363924 주목할만한 훈육법 1 하늘 2007/11/12 732
363923 그리스 친구가 한국에 왔어요~ 선물 해주고 싶은데.. 뭐가 좋을까요? 4 그리스 2007/11/12 244
363922 피죤, 섬유유연제 쓰시는 분께 질문요.. 7 향이좋아 2007/11/12 1,046
363921 국산청소기중에 미세먼지 안나오는 청소기는 몰까요? 청소기 고민.. 2007/11/12 222
363920 중국어 2 메일 2007/11/12 193
363919 시어머니가 편찮으셔서 음식을 좀 해가려고 하는데... 1 부탁드려요~.. 2007/11/12 367
363918 제노비탈이란 화장품 아시는지요? 화장품 2007/11/12 278
363917 흑인여성들이 가발을 정말 많이 쓰나요? 6 ... 2007/11/12 1,825
363916 형제들과 부모님 공동의 펜션......솔로몬의 지혜를 부탁드려요 22 지혜를 주세.. 2007/11/12 1,438
363915 도가니 끊이기 4 김은희 2007/11/12 698
363914 직장맘에서 전업하신분들 후회 없으신가요?? 9 지쳐요~~ 2007/11/12 1,480
363913 명품시계 가지고 계시거나 잘 아시는 분께 질문요... 16 명품시계 2007/11/12 2,024
363912 임신 중 음식에 넣는 맛술도 사용제한하셨나요? 3 맛술사용 2007/11/12 2,136
363911 스탠드형 lg 김치냉장고 사용하시는 분들... 4 김치냉장고 2007/11/12 704
363910 이런 경우를 어떻게 해석해야할 지... 4 블로그사기?.. 2007/11/12 658
363909 주식이 많이 빠지네요. 8 펀드 2007/11/12 3,031
363908 저도.. 두돌 갓지난 아이, 혼날것 같으면 머리를 스스로 때려요, 1 ㅠㅠ 2007/11/12 217
363907 어린이집에 보내는 이불.. 어떤거 보내야 하나요? 5 이불 2007/11/12 395
363906 서초동 우성5차 아파트요~ 4 ^^ 2007/11/12 828
363905 아기가 이제 바로 걷기 시작할까요? 8 ... 2007/11/12 230
363904 아기가 기어다니는데 배를 닿게 하고 기어요 9 핫도그 2007/11/12 552
363903 냉장고 1 드디어결정 2007/11/12 192
363902 허리 인공디스크 삽입술에 대해 아시는분 계신가요? 5 ... 2007/11/12 232
363901 시어머니 생일상 6 - 2007/11/12 949
363900 아기엄마들 만나고 싶어도...아이가 스트레스받는다면.. 5 돌쟁이맘 2007/11/12 463
363899 집들이 선물로 그릇을 해달라고하네요. 4 선물 2007/11/12 733
363898 남동생 결혼식날 쪽머리하면 오버일까요? 16 동생결혼식 2007/11/12 1,536
363897 사위를 별로 맘에 안들어하시는엄마에게 어떻게 해야할까요? 7 우울 2007/11/12 1,381
363896 제평에 빅사이즈 이쁜 곳 아시는 분? 2 뚱뚱맘 2007/11/12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