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워낙 펀드에 대해 잘 몰라서요

펀드 가입 조회수 : 1,217
작성일 : 2007-08-01 15:43:40
워낙 잘 몰라서요 요즘 다들 펀드,펀드 하는데 좀 물어볼께요

1. 제가 장기주택마련저축에 넣는 돈 지금 5백만원 저축되어 있어요
   만기는 2010년이구요
   요거 해지하고 5백만원 2-3년이상짜리 펀드에 넣는게 나을까요?
   그렇다면 기간은? 또 괜찮은 펀드 종류는요?


2. 그리고 매월 10만원-20씩 정도나 펀드를 넣고자 한다면 기간을 얼마로 잡는게 나은가요?
    어떤 펀드가 나은지도 좀..^^






IP : 210.103.xxx.29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런
    '07.8.1 3:46 PM (61.38.xxx.69)

    질문은 누가 답을 다셔도 절대 믿을 수 없어요.
    주가의 향방은 신도 모르지요.

    모든 펀드 계약서 말미에 쓰여있어요.

    모든 결과는 투자자에게 귀속 됩니다.
    모네타 가서 공부하셔서 원글님의 의지대로 선택하세요.
    누가 답을 다셔도 맞을 수도, 안 맞을 수도 있습니다.

  • 2. ..
    '07.8.1 3:47 PM (220.121.xxx.35)

    관심은 있지만 잘 몰라서 답답!!
    제 생각엔 82쿡보다는 moneta나 다른 재테크 사이트에서 도움을 받으시면 ???

  • 3. 하나 더
    '07.8.1 3:47 PM (61.38.xxx.69)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를 절대로, 절대로 보장해 주지 못합니다.

  • 4. .....
    '07.8.1 4:08 PM (122.40.xxx.49)

    다른 님들 말씀대로 결정은 본인이 하시는 겁니다.

    장마저축 일정기간 내에 해지하면 그동안 소득공제 받은 거 다 토해내야 하는 것 아닌가요... (한번 확인해 보시지요)

    만약 그렇다면 장마저축 해지보다는 장마펀드라고 또 있어요. 금액이 그리 크지 않게 다달히 불입가능한 걸로 알고 있으니 장마저축 금액을 최소한으로 불입하면서 두개 같이 유지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똑같이 비과세되는 거고 수익율은 일반 펀드만큼 좋지는 않으나 은행이율보다는 좋다고 하더군요. 단 유지기간은 7년이상이어야 하지요. 원글님의 상황에 들으면 도움이 되는 상품인지 한번 찾아보세요.

    펀드같은 경우 요새 2000찍고 나서는서 조정이 들어왔네 어쨌네 하는 기간인데도 거치식으로 (한방에 큰 금액) 넣으시는 분들도 간혹 있지만 공격적인 투자가가 아니시라면 3년 이상 적립식이 가장 좋을 듯합니다. 금액도 10-20만원이시구요. 꼭 어떤 펀드를 언급한다 하면 3년 이상 적립식으로 한국밸류가 평이 좋은 평입닏. 그러나 물론 예전 만큼의 수익률까지는 기대하지 마세요.

    인터넷 이곳 저곳 다 찾아보시고 공부하시는 것이 마음 편하실 거에요

  • 5. 조르바
    '07.8.1 7:28 PM (219.251.xxx.171)

    장기주택마련저축은 소득공제혜택을 받으려면 적어도 5년동안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장기주택마련펀드 하나 더 들으시고 장기주택마련저축이랑 합쳐서 한달에 62만 5천원씩 넣으시면 되구요.
    요즘 예금,적금 들으려면 세금우대혜택 한도도 줄어들었는 데 장기주택마련저축은 비과세혜택도 있으니 해지하기에는 아깝지 않나 싶네요.
    펀드는 거치식으로 목돈 넣는 것보다는 요즘과 같이 불확실한 때에는 적립식으로 꾸준히 넣는 것이 옳지 않나 싶습니다.
    저라면 장기주택마련저축에 30만원, 장기주택마련펀드에 30만원 넣겠습니다.
    그리고 장기주택마련펀드는 http://cafe.daum.net/fundschool 기타금융상품메뉴 에 들어가보면
    많이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 6. ..
    '07.8.1 10:08 PM (59.1.xxx.199)

    다른분들이 좋은말씀 해주셔서 저는 2번에 대해서만..

    펀드는 적금과 달리 기간이 별로 중요하지 않아요..
    언제 환매(파는것, 적금의 해약..정도의 의미)하느냐가 중요하죠..
    대부분의 펀드는 가입후 90일 내에 환매할때 이익금의 70%를 수수료로 가져갑니다.
    수수료를 선취 (가입시 미리 떼어가는경우) 하는경우는 90일 이내 환매..이런 조건이 없는 경우도 있구요.. 즉 이런 수수료만 면제되는 때가 온다면.. 그 시점에 획득한 이윤을 그날 바로 찾을 수 있다는 얘깁니다.. 1년을 들고 있어도 1%도 이익이 안나는 경우가 있고.. 두세달만 지났는데도 2-30% 가 나는경우도 있습니다..

    근데 적금은 1년짜리 들면.. 1년간은 돈 못빼고.. 1년이내에 돈을 빼면 이자 거의 안주고.. 만기 지나도 쬐금이지만 이자 더 붙고 이런식이잖아요..
    하지만 펀드는 매일매일 기준가가 달라지기때문에 환매시 내가 받을 수 있는 돈도 매일매일 달라집니다..
    많이 올랐을때 팔면 좋고요.. 많이 떨어질때 팔면 원금에서 손해가 나기도 합니다..
    즉. 펀드에서 기간이라는것이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이죠..


    난 10% 정도 이익나면 팔겠다.. 한다면 이 10%가 두세달 만에도 달성될 수 있고.. 5-7월사이의 활황장에는 단 1주일 사이에도 이런 이익이 나기도 했습니다..
    장기투자가 유리하다는 것은... 주식은 어차피 상승할 것이므로 (얼마나 걸릴지.. 그사이 조정이 몇차례나 있을지는 모르지만..) 묻어둔다는 개념으로 둔다면.. 이익이 많이 날것이다..라고 생각하는 일종의 관념적인 표현입니다..
    정확히 얼만큼의 이익이 어느기간안에 나느냐는 그 누구도 모르는 일입니다..

    직접 주식투자하시는분들 입장에서 펀드는 참 손쉬운 투자입니다.
    개별종목의 주가는 하루에도 매분, 매초마다 변하니 HTS를 하루종일 봐야하지만..
    펀드는 하루에 한번 기준가가 나오니.. 하루에 한번만 확인하면 되니까요..올랐나..내렸나..
    하지만 적금드는것에 익숙해진 분이라면 이거 정말 귀찮은 일이죠..
    적금은 연 5%.. 하면.. 만기일만 기억해 놓으면 은행이 망하지 않는한 이 이율로 돈을 주니까요..

    기간을 고민하시는것 같아.. 원론적인 펀드의 성격.. 에 대해 (저도 잘 모르지만..) 아는대로 적어보았습니다..
    윗분들 말씀하신 사이트들 (저는 www.moneta.co.kr 추천) 둘러보시고 결정 잘 하시길 바랍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1073 17개월 아이랑 무얼 하고 노셨나요? 6 엄마 2007/08/01 514
351072 남편 직장 동료들과 가족동반 모임? 4 궁금.. 2007/08/01 835
351071 남편이 아이를 원하지 않는대요 11 2007/08/01 2,800
351070 세탁기 청소후... 6 암담... 2007/08/01 1,150
351069 우체국 해외소포 배달 몇번 방문하나요? 3 문의 2007/08/01 346
351068 듣기싫은 임신소식.....ㅠ.ㅠ 28 넋두리 2007/08/01 4,422
351067 제일 작은 디카는 무엇인가요? 3 하나더 2007/08/01 847
351066 워낙 펀드에 대해 잘 몰라서요 6 펀드 가입 2007/08/01 1,217
351065 청옥산 자연휴양림 다녀 오신 분 계신가요? 3 ^^ 2007/08/01 512
351064 실크벽지... 시트지.. 2007/08/01 410
351063 지갑을 잃어버렸어요.......................... 7 T.T 2007/08/01 1,185
351062 애기가 잠을 푹 못자요 (돌쟁이) 5 아가맘 2007/08/01 439
351061 영주~~통영 영주댁 2007/08/01 289
351060 내일 가려고 하는데 사람 많을까요? 3 롯데월드 2007/08/01 410
351059 삼성카드포인트결제되는 피자집.. 3 !!! 2007/08/01 928
351058 제 핸펀 번호로 다른 사람한테 문자가 온대요 3 핸드폰 번호.. 2007/08/01 861
351057 가족회비의 회계보고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7 소심녀 2007/08/01 605
351056 할아버지들 미워요 으흐흑....ㅠㅠ 5 뽕짝 시러~.. 2007/08/01 1,351
351055 정년이 어느정도인지(S보험사 계열) 1 궁금 2007/08/01 309
351054 이케아 장난감 정리함 써보신분 어떤가요? 1 이케아 2007/08/01 1,171
351053 정규직이랑 계약직이랑 다른거 아닌가요? 11 2007/08/01 1,265
351052 현대M카드 쓰시는분 28 카드 2007/08/01 1,507
351051 우리 아기 이름좀 봐주세요^^ 12 이름 2007/08/01 713
351050 음악회 축하로 뭘 가저가야 좋을까요? 6 문외한 2007/08/01 7,811
351049 8월 4일 설악산에서 서울로 올때 몇시쯤 출발해야 덜 막힐까요? 코알라 2007/08/01 199
351048 이런 전화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11 사기 2007/08/01 1,136
351047 요구르트 ? 3 딸기 2007/08/01 464
351046 23개월 아들때문에 답답합니다. 10 블랑쉬 2007/08/01 960
351045 커피프린스에 나오는 차요~ 10 커피프린스 2007/08/01 1,689
351044 친정집에서 쓰레기를 갖고 옵니다. 29 친정 2007/08/01 4,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