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결혼할때 돈주는 문화?

흠. 조회수 : 416
작성일 : 2007-02-01 14:32:24
얼마전 TV에서 혼수문제에 대해 나오는 프로를 봤어요.

터무니없는 혼수요구와 그때문에 생기는 갈등...

그러다가 옛 우리 선조들은 여자들이 결혼하면서

자기가 필요하고 꼭 쓸 물건만 몇가지 준비해서 결혼을 했고

그 외적으로 돈이나 다른 허례허식이 곁들어져 오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게 생각 했다는 내용이 나오더군요.

또한 지금의 결혼문화 중 여자들이 혼수 해가는 문화는

일제시대에 잘못 받아들여진 일본의 문화라던데...

혼수가 여러가지 말썽을 일으키는게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그것과 좀 다른 얘기인지 모르지만

보통 형제들이 결혼할때 혼수품을 해준다 뭐 돈을 준다...등등.

나이가 어려서 결혼을 하는 관계로 사회생활을 못하고

돈을 벌지 못해서 힘든 상황이라 형제들이 조금씩 보태는 상황이라면

모르겠지만

성인이 된 나이로 사회생활 오래해서 수입원이 있다가

결혼할 시기 되어서 결혼을 하는 거면

굳이 몇백만원 혹은 작게는 50부터 그 이상으로 얼마씩 꼭

보태야 하는가..의문이 들때가 있어요.

좋은 일이고 축하할 일이니 축하하는 의미로 선물이나 현금으로

주는 거...이해는 하면서도

그걸 너무 당연시 하는게 약간 이해가 안가요.

특히나 거의 장남들이 아래 동생들 대부분 챙기는 게 많잖아요.

부모에게 받은 것 없이 정말 힘들게 결혼 시작해서 현재 상황도

그닥 좋지 않은데  동생들 결혼한다고 한달 월급 내놓고 뭐하고 하는게.

본인들 결혼할때 동생들 사회생활 하고 있었고 나이도 좀 되었지만

축하한다고 돈은 커녕 밥그릇 하나라도 선물로 해준 적 없는데

형이나 언니, 오빠라는 이유로 동생들 결혼할땐 얼마씩 하는 분위기가

전 사실 가끔 이해가 안가요.

저도 결혼을 했고  저는 제가 모은 돈으로 얼마가 됐든 그 안에서 해결을 했기

때문에 더욱 그런지는 몰라도

내가 내 앞가림할 나이가 되면 내가 할 수 있는 건 남에게 의존하지 않는 주의라

결혼할때도 부모님께 도움 받은 거 하나 없고  형제들에게도 부담주기 싫어

뭐 바라지도 않았구요.   살림이 없으면 없는대로 시작했구요.

남편도 마찬가지구요.

제가 이렇게 생각하는게 참 정 없는 생각인가 싶기도 하지만

반대로 뭘 해줘야 정 있는 건가 싶기도 하고...

그냥 전 저도 그랬고 또 남도

나에게 해당되는 일은 남의 손이 아닌 , 남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그 안에서

적당히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데.

물론 가족을 남으로 분류하는 건 아니지만  가끔 자기 결혼하면서  부모나 형제

또는 자식에게 은근히 얼마라도 보태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심리를 가진 사람들

볼때마다 좀  안 좋아 보여서요.

IP : 211.221.xxx.248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07.2.1 4:48 PM (59.8.xxx.248)

    그건 사람마다 다른거 같아요.

    저희는 장남이라서 받은게 많거든요. 도련님도 어머니가 주시겠지만
    지방에서 다니시는데 저희만큼 주실까 싶기도 하고...

    이번에 여동생이 결혼하는데
    남편보고 당신 동생 결혼식할때도 줄테니 얼마정도 쓸까~하고 얘기한적있어요.

    쇼부는 200까지 봤는데 막상 준건 120짜리네요.
    더는 안받겠다구 해서요. 아마 나머지 돈은 결혼할때 틈틈히 준비하면서 건네 주겠죠.

    글 쓰신분과 제 입장이 다른건
    여동생 내외 모두 준다고 해도 싫다고 싫다고 그러는걸
    억지로 사준다고 협박해서 가져간다는거죠.

    ^^*

  • 2. 저도
    '07.2.1 6:57 PM (210.223.xxx.177)

    원글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조금씩 바뀌었으면 합니다...사실 많이 바뀌어야지요......
    왜 이리 나쁜 관습들은 오래 가는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2957 샤넬 클래식 답글 답니다... 8 ^^ 2007/02/01 1,565
102956 ♡♥ 부부가 함께보면 좋은 글 ♥♡ 4 믿음 2007/02/01 747
102955 상호명 좀 골라주세요 16 미용실 2007/02/01 420
102954 임신바이러스 쏴 주세요!! 13 아가 2007/02/01 396
102953 근육과 지방의 차이 가 뭘까요?? 3 헬스~ 2007/02/01 387
102952 남편이 애가 되어가고 있어요... 6 휴~ 2007/02/01 918
102951 루비똥 인지 뭔지 하나 사다가 국제 미아 될뻔 했어요 10 흐흐 2007/02/01 1,868
102950 시엄니한테 하고싶은 얘기 좀 쓸게요. 16 임금님귀당나.. 2007/02/01 1,644
102949 어느학교 어느학과? 5 간호사 2007/02/01 759
102948 명절에 얼마나 드려야할까요? 1 명절 2007/02/01 345
102947 애들(아이들)을 얘들이라 쓰는 거 참 거슬려요^^;; 8 @.@ 2007/02/01 666
102946 영화'괴물'에서 4 비디오보고 2007/02/01 534
102945 4443 글 주신 분께~ 전직 보험사.. 2007/02/01 353
102944 부동산 알아보려면 어느 사이트가 좋을까요? 3 봄이오면 2007/02/01 675
102943 고급 5종 파우치 무료로 주네요~ 1 김은숙 2007/02/01 604
102942 이사비용이 어느 정도인가요? 6 행복하루 2007/02/01 606
102941 그럼.. 친정부모님 용돈은 어쪄지요? 3 용돈 2007/02/01 897
102940 아동용스케이트화(스피드)가격? 3 아이스링크 2007/02/01 279
102939 살면서 집수리하기 3 집고치기 2007/02/01 725
102938 컴에서 멜을 보냈는데요,글 칸이 이상해졌어요...@@ 어휴 2007/02/01 61
102937 중2때 돌아온 학생은 중학교 내신 산정을 어떻게 하는 건가요? 3 이모 2007/02/01 348
102936 아래 시댁에 용돈드리는 글 올렸던 사람입니다 13 jj 2007/02/01 1,357
102935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엄마를 위해 4 초등 2007/02/01 674
102934 (급) 잡곡밥으로 3 식혜 2007/02/01 212
102933 시어머니한테 전화 안한지 한 달 됐는데.. 7 .... 2007/02/01 1,287
102932 연말정산문의 1 정산 2007/02/01 158
102931 행사때 사용하기 위해 형제들끼리 돈을 모으면... 10 그럼~ 2007/02/01 802
102930 결혼할때 돈주는 문화? 2 흠. 2007/02/01 416
102929 동경 디즈니랜드 11 일본여행 2007/02/01 609
102928 얘들 방을 안방으로 할까하니 남편이~ 10 방바꾸기 2007/02/01 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