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사기업의 불안정성은 과장된건가요

-.- 조회수 : 400
작성일 : 2006-02-10 00:36:10
저번에도 비슷한 질문이 올라왔던 거 같은데..
어떤 친구는 그럼 사기업 다니는 수많은 사람들은 다 바보겠냐??? 언론에서 짤리네 뭐네 불안정하네
이런거는 대표적인 사례를 가지고 그러는거라고... 사기업 간다고 금방 관둬야 하는거 아니라고...

남편이 많이 불안해 하는거 같아서요..
유학을 가야할까 공사나 공무원 준비를 해야할까 제가 보기에는 실행에 옮기지도 못하면서 고민만 하고 있는 거 같아요..지금 32세..

제가 공무원이라..남편이 벌지 않아도 정말 최저 생계는 되겠지요..집도 있구요..
근데 남편은 미래를 많이 불안해 하는거 같아요..
외국계 IT 업체에 있어서 그런지 구조조정 소문이 무성한데 그때마다 동요하고..
사실 남편 나이로 보나 연봉으로 보나 지금 당장 어찌되지 않겠지만..
40에 나와서 새로운 것을 하느니 지금 그만두고 하는게 어떨까 하는 거지요..
향후 저출산 시대가 오면 지금 30대도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지 않겠냐고 했더니 자기는 낀세대라 힘들꺼라고..지금 4-50대랑은 또 다를 수도 있지 않을까 희망적인 관측을 얘기해보지만 먹히지 않네요...

님들, 저희 남편에게 힘이 될수있는 말 머 없을까요?
야근으로 지친 남편이 미래까지 고민하는 모습 보니 참 안쓰럽네요...
IP : 58.140.xxx.126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6.2.10 12:42 AM (218.148.xxx.118)

    저도 대기업다니는데, 저희는 승진이 좀 빠른편이라..
    40전후에 팀장(차장, 부장급)이 안되면 나가구요...
    팀장되면 5년정도 괜찮다가 45세 전후로 senior manager(직급을 뭐라표현할지..임원인 경우도 있고
    임원이 아니더라도 대우는 임원비슷해요)가 안되면 나가요.
    신문에서 얘기하는 38선, 45정 이죠^^
    팀장이 되는 경우가 10%가 안될껄요.
    저희는 야근으로 지치지는 않구요, 회사분위기도 수평적이고 좋은데..
    불안정한 미래가 가장 어렵네요.
    남편분도 과장된 걱정아닐겁니다. 아마..

  • 2. 근데...
    '06.2.10 1:49 AM (211.177.xxx.181)

    공기업도 꼭 정년이 보장된다는 법은 없어요.
    저 철밥통 공기업 다니다 아이엠에프 때 어이없이 잘린 사람이거든요.
    의외로 이런 경우가 많아요.
    이때 이전에도 정부 지시로 대대적 인원축소 이런 게 십여년에 한번씩 있었대요.

  • 3. ^.^
    '06.2.10 10:17 AM (221.154.xxx.94)

    과장된 건 아닌 건 같아요.대기업 다니는 남편 친구 선배들 얘기 들어보면 40까지 버티기 어렵다는 말 많이 하고 실제로 45까지 남아있는 경우 별로 없고 그전에 다른 일 찾던걸요.
    제 동생들이며 남편은 공기업 다니는데 지금 공기업도 정년까지 보장 안 돼요.
    해마다 조금씩 어떤 해엔 많이 구조조정하고 있고 명퇴 받고 그랬어요.
    전에는 명퇴 안한 경우 보직을 받지 못해도 그냥 버티고 있으면 또 새로 보직을 받기도 했으나
    요즘은 그렇지 않다고 해요.
    최근 들어 남편회사 상사분들(45세~50세)이 건강상의 이유로 병원에 입원하는 분들도 많고
    퇴직하는 경우도 많아서 남편도 걱정이 많아요.
    보통 28살쯤 취직해서 거의 20년이상 건강을 소홀히 하고 회사일에 몰두하다 보니 회사에서 어느
    정도 지위에 올랐으나 건강을 잃는 경우가 많아진 거죠.
    건강을 잃으면 다 잃는 거니 남편도 요즘 운동도 꾸준히 하려고 하고 자기 몸에 부쩍 신경쓰는 거
    같아 다행이다 싶기도 해요.
    현재로서는 영어 공부도 더 열심히 하고 노후에 대비해서 자격증 준비하고 운동 열심히 하고 그러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3565 82에 부잣집 마님들이 많았군요!! 17 부러움 2006/02/10 3,637
303564 어떻해야 잘닦아질까요?(급!!) 5 렌지후드 2006/02/10 499
303563 사기업의 불안정성은 과장된건가요 3 -.- 2006/02/10 400
303562 주택담보대출을 1억 정도 받으면 7 대출 2006/02/10 1,187
303561 그만 헤어지자고 하네요... 19 어쩌지요 2006/02/10 2,835
303560 갑자기 치아가 이상해서 보니 1 앞니 2006/02/09 909
303559 가족사진 가격대는? 1 자연맘 2006/02/09 432
303558 짐보리.. 3 ... 2006/02/09 581
303557 남의글에 댓글올렸다가 엉뚱한 항의성쪽지받으시는분도 계신가요? 4 쪽지기능 2006/02/09 1,268
303556 돈암동 사시는 미시님들 도와주세요 2 유치원 2006/02/09 348
303555 요가 배울곳 추천 부탁드려요(강남권) 3 요가 2006/02/09 318
303554 유아... 한자능력검정시험 시험쳐보신분.. 4 딸자랑 2006/02/09 544
303553 내조에 대해 나온 글을 보다가... 5 냠냠 2006/02/09 973
303552 학생인데요 과외비 문제요 ^^;;; 7 학생 2006/02/09 934
303551 위가 너무 아파요..임신가능성있는데 어떻게 하죠? 10 위통 2006/02/09 553
303550 우체국택배 이용료에 대하여 10 배보다 배꼽.. 2006/02/09 1,109
303549 이튼알렌 중고가구요. 7 중고가구요 2006/02/09 1,260
303548 경기도권 전문대 와 지방 4년제 8 대학 선택.. 2006/02/09 889
303547 늘푸른님께 상궁마마 2006/02/09 190
303546 니 돈 어디 빼돌리나? 19 정말 웃겨 2006/02/09 2,309
303545 아이를 계성초등학교에 보내시는분들께 15 계성 2006/02/09 5,825
303544 웃기는 하나로 통신 2 3 저두요.. 2006/02/09 798
303543 사춘기 자녀를 두신 분들께 묻고 싶습니다. 12 답답.. 2006/02/09 1,162
303542 자동판매기 2 궁금이 2006/02/09 254
303541 17개월된 아이와 함께 여행 조언구합니다. 2 김민희 2006/02/09 142
303540 짐보리나 칠드런스 플레이스같이 어른옷 살만한 해외사이트 없나요? 4 나도 2006/02/09 479
303539 아웃백에 3명이서 가는데 메뉴 추천해주세요~^^ 4 아웃백 2006/02/09 1,010
303538 피자에땅 피자 맛 어떤가요? 12 피자얘기가나.. 2006/02/09 1,521
303537 별로 안보고 싶은 남편 16 궁금 2006/02/09 1,830
303536 이삿짐 센타 어디가 좋을까요... 1 이삿짐센타 2006/02/09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