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수학 학습지 처음시작할때 연산위주로?
아니면 창의력으로 시작해야 하나요 둘다 병행하면
좋겠지만... 구몬이나 눈높이는 반복학습이여서 애가
지루해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1. 복사꽃
'06.2.1 4:30 PM (211.217.xxx.66)연산과 창의력을 병행해서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연산학습은 학습지보다는 주산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요즘은 인터넷서점이나 일반서점에서 주산교재를 쉽게
구할수가 있습니다. 엄마와 놀이하듯이 한다면 연산은
지루하지 않게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굳이 학습지로 연산을 가르쳐야한다면 스스로학습을
할 수 있는 "재능수학"을 추천합니다.
학교입학하기전 큰아이와 작은아이 모두 재능수학을
1년동안했었는데요, 효과를 많이 보았습니다. *^_^*2. 제 경우는
'06.2.1 4:40 PM (219.255.xxx.246)올해 8세인데요,
한 6개월전부터 연산위주로 공부시켰더니
창의력(해법수학)을 이해를 못합니다, 물론 어른이 봐도 어렵더라구요.
책 많이 읽는게 중요하지만 문제자체를 헷갈리게 내니까 여러문제를 다각도로 읽을수 있는
창의력을 위주로 연산이 이루어져야 균형이 맞아요.3. 햇살~
'06.2.1 6:18 PM (221.142.xxx.91)6세는 구체적 조작기로서 연산도 좋고 창의력도 좋지만
모두 구체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아이들이 수개념을 익히는 과정은 물체를 손으로 만지면서 수를 입으로 헤아리고 머리 속으로 그 상을 떠올리면서 숫자 3을 손으로 쓰면서 읽는 것입니다.
학습지를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으나 아이가 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잃지 않도록
성장 과정에 알맞게 하는가....조바심이 많이 생깁니다.
제일 좋은 선생님은 어머니십니다.
밥 먹으면서 수저를 가지고 3까지 가르칠 수 있고 그 숟가락을 더하면서 놀이로 연산 기능을 익히는 등 놀이를 통한 수학 교육이 아이에게 수학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4. 엄마공부^^
'06.2.2 2:52 AM (218.232.xxx.89)올해 8세인 저희 아들은 한글은 일찍 깨쳤는데 수는 약한 듯 해서 거의 방치 하다가
6살 여름에 눈높이 수학을 시작했지요. 근데 연산 위주의 초등학습지가 아니라 흔히
서점에 가면 널려 있는 유아 수학을 얇은 소책자로 만들었다는 느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습니다. 정말 돈 아까웠습니다.6개월간 끌다가 그만두고 기탄수학을 시작했습니다.
제가 예전에 미술학원(유치원개념의)을 해봐서 유아학습지를 좀 많이 봤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탄은 처음 보는지라 당황스러웠는데요.
우선 A단계에서 아이가 재미 없어할 만한 것 한 두 권은 뺐습니다.
그리고 정말 꾸준히 여지껏 해오고 있습니다.
쉬운 것은 6쪽, 어려운 것은 2~3쪽, 물론 이차 저차해서 빠지는 날도 있었지만
지금은 E단계 끝에 와있어요. 속도가 저보다 빠르고 정확합니다.^^
햇살님 말씀대로 머리 속에 구체물을 떠올리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합니다.
지나고 보니 아이가 이해 못하는 고비가 몇 번 있었지만 가랑비에 옷젖듯이 실력이 쌓였네요.
참, 저도 처음엔 기탄 수학(연산학습지)만 하다가 기탄사고력수학도 병행했습니다.
역시 책을 훝어 보고 필요 없는 듯 한 것은 빼고 난이도에 맞게 학습량을 조절했구요.
사고력수학은 연산과 달리 같은 단계에서도 난이도가 다르게 느껴질 수 있어요.
전 너무 어려워하면 빼 뒀다가 한참 지나서 다시 시키기도 했어요.
아이가 발달단계상 이해를 못하는 때라 그럴 수 있거든요.
전 해법수학 1학년 2학기도 풀게 해봤는데 사고력수학을 풀던 터라 잘 하더라구요.
꼭 기탄은 아니더래두 연산학습지와 사고력학습지 병행해서 시키세요.
채점도 예쁘게 해주시고 틀려도 찍 긋지 마시고 다시 풀게 해서 예쁜 별 그려 주시고
푸느라 애썼다고 격려에 칭찬도 많이 해주시면... 저희 아들 거의 기고만장 수준이나
아무렴 어때요?^^